전과목 9등급이었던 내가 공부를 시작한이유, 정신차리는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524272
안녕하세요
9등급에서 가형 1등급을 달성하고 현재는 수학과 장학생으로 재학중인 우석몬입니다.
제가 자주 듣는 질문중에 하나가
"선생님 정신 차리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선생님은 왜 공부를 시작하셨나요?"
입니다.
학생들 입장에선 본인들도 정신차리고 공부하고 싶은데 그게 잘 안되니 궁금하겠지요.
그리고 수능이 끝난 이 시기, 재수를 결정한 학생들이 지금 바로 하셨으면 하는것들을 좀 작성해봅니다.
중1~고3 학창시절 저는 공부를 아예 하지 않았습니다. 고등학교땐 알바를 하며 지냈구요.
시급 4110원 당시, 고등학교 다니며 월급 105만원 정도 받으면서 일을 하였지요. 서빙, 주방, 배달 등등 여러 일을 해보았고, 직업학교로 이동하고 나선 학교 대신 투잡을 뛰며 일을 하였습니다.
그로 인해, 머릿속에 공부에 대한 지식은 정말 1도 없었습니다. 중1부터 꼴등이었어서 중1 개념조차 없었습니다.
(지난 글에 중고등학교 성적까지 전부 인증 다 했었습니다.)
고등학교 알바하면서 벌던 100만원이란 돈이 그 당시엔 크게 느껴졌었는데, 졸업함과 동시에 회의감이 오더군요. '내가 100만원씩 벌어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뭔가를 이룰 순 있을까?'
알바를 하면서 갑질도 많이 당하고 진상 손님들도 많이 만났었습니다.
이 일을 계속하면서 살고 싶진 않았습니다. 노동의 강도에 비해 급여가 굉장히 낮았습니다.
그 당시만 해도 할줄 아는것도 딱히 없으니, 공부를 통해 인생을 바꿔보고 싶었습니다.
물론 공부란것도 자신감이 넘치는 상태에서 시작했기보다, 후회하기 싫어서 도전해본것이 컸습니다.
그리고 마음 먹고 공부를 시작하게 된겁니다.
저는 9등급에서 공부를 시작했다보니, 1년만에 1등급까지 올리진 못하였습니다.
그래서 수능이 끝나고 다시 다음해 수능을 준비 했어야 했는데, 수능이 끝나고 잠깐 쉴때, 저는 바로 알바를 구했었습니다. 그리고 더 정신 차리기 위해 몸을 더 혹사시키자는 생각으로 하루에 13시간씩 배달을 시작하였습니다. 아침 10시~저녁6시까진 롯데리아에서 일을하였고, 퇴근하고 바로 피자헛으로 가서 저녁 6시30분~11시30분까지 일을 하였습니다.
그 해 겨울은 왜 그리 추웠는지 영하 15~20도를 왔다갔다 하였습니다. 넘어지기도 많이 넘어지고 사고도 났었지요.
(사진 밑에 내용 더 있습니다.)

고등학교 시절 배달할때는 스스로 뭔가 잘 나가고 오토바이 타는 쎈 캐릭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성인이 되고나서 고졸이란 신분으로서 다시 배달을 하니 스스로 피해의식 같은것이 생기더라구요. 인터넷상에서 봤던 배달일을 비하하는 댓글들 때문이었을수도 있구요.
남들은 수능 끝나고 쉴때 저는 좀 더 몸을 혹사 시켜가며 일을 하였고, 그때 더더욱 맘을 굳건히 먹곤 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신 돌아오지 말자. 이 일보단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자.' 라는 마음을 먹었습니다.
3개월간 주6일 13시간씩 일하며, 그 당시 300만원돈이라는 월급을 받았고, + '열심히 안살면 큰일난다, 능력을 못 키우면 내가 하고 싶지 않은일을 하며 살 수도 있다' 라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수능이 끝나고 재수를 생각하시는 고3분들, 이제 예비 고3이 되는 고2들.
애매하게 공부하고 정신 못 차릴빠엔, 한번 교훈도 얻을겸 알바를 해보십시오. (현재 공부 열심히 하고 계신분들한테 드리는 말씀이 아닙니다. 지금 열심히 하시는분들은 계속 열심히 하십시오.)
그리고 돈 벌기 힘듦을 직접 겪으십시오. 부모님이 대주시는 그 돈들이 가벼운 돈이 아니라, 정말 힘들게 땀흘려서 버시는거고, 여러분이 그 힘듦을 몸소 겪어보라는겁니다.
그리고, 알바도 애매하게 3~4시간씩 하지 마시고, 10시간 이상 주6일 이상 해보십시오. 그러면 여러분도 아실겁니다.
왜. 왜. 왜. 사람이 능력을 키워야 하는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기vs해산물 3
난 해산물
-
대학 다시 가볼려고하는데 뭐 해야할까요? 전에는 생지하긴했는데 4등급이였어서 별로...
-
아직 조악하지만 더 발전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뜻깊은 조언
-
잠시나마 행복했습니다. 수능 국어는 항상 고득점을 받아와서 혹시 나도 작가가 될 수...
-
[칼럼]2028학년도 수능 통합사회 예시문항 분석 및 해설 1
안녕하세요. 카이스프랙틱 사회탐구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2028학년도 수능...
-
주석 그만 보고싶어요
-
잠실애니메이트옴 9
공기부터 다름
-
하나같이 다 부실함 개념설명 이런 부분이 없고 지문,문제 그리고 그 지문 분석과...
-
최근 명지대 문예창작과 시험을 봤다. 결과는 합격이었다. 기대를 하지 않았던 만큼...
-
난 도저히 불가능인ㅣ
-
그냥 문자만 읽어도 어느 정도는 이해가 되는 게 한국어 아님? 구조 독해가 뭐길래...
-
빨리 답을 추측할수는있지만 그게 정답이라는 보장을 찾기가 수능보다는 좀 더 어려운...
-
담배 1보루 넘 비싸다 14
담배도 유통기한이 있구나 2025년 10월까지라니
-
한낱 상반어와 반의어로 점철된 문장이 아니라 이야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거시다...
-
여긴 오르비라는 곳이야. 그리고 너는 그저 뻘글이고 언젠가 사라질……
-
여자들아 0
원래 여자들은 연애하면 뭐 생기는 일마다 다 말함? 친구가 자꾸 안궁금한 지 연애...
-
마주나기로 자란 잎이었다나는 그것에 행복을 달아주고꼭 리본모양으로 깃들도록...
-
쌍윤러인데 24수능 이후로 인문에서는 철학을 피해서 내는 것 같고, 법 지문에서도...
-
(1) 모든 과정에 대한 앎 (2) 시작과 끝, 전제와 결론에 한한 앎 (3)...
-
내신문젠데
-
과민성대장증후군같은데 지사제 뭐가 좋은지 모르겠음 예상질문: 자힐하면 안됨? 답변: 무면허임
-
기출스럽고 평가원틱한 입문N제 ㅊㅊ좀
-
제가 직장 다니면서 수능 준비 중인데 계약 문제 때문에 올해 수능은 못보고 내년...
-
사문 19강× 18강 절반
-
미뤄뒀던 애니메이트를
-
올해 드디어 가나형 인문,철학,예술 아니고 딴거에서 나오나?
-
내가 구조독해에 대해서 잘 몰라서 하는 말인데 그냥 수학 유형 분류하듯 나올 만한...
-
https://naver.me/GV2aa8N8 아 근데 27년은 모르긴해 ㅋㅋ
-
고려대학교 수학과 (당해 가형 100점, 수리논술 최초합) 고려대, 서강대 등...
-
14-17 정보보안 지문 25leet 트랜잭션 출제진이 낸 것으로 의심됨
-
작수같이 쉽게나오면 모르겠는데 평상시에 30분은 넘는듯함
-
남자라면 무조건 공감하는일상에서 한번쯤 겪는 통증 ㄷㄷ 남자라면 무조건 공감하는...
-
김치 먹고 싶은데 묵은지돼지고기찌개, 묵은지참치김치찜, 묵은지곱도리탕 이런 건 안...
-
초딩때부터 매년 영어 교과서마다 Earth Hour 있어서 해야지만 하고 계속...
-
지엽적인 사실일치 이런 것보다는 구절들 정확히 읽었는지 문제로 확인하는 방향으로...
-
수학 끌올 0
수학 감 어떻게 빨리 끌어 올릴 수 있을까요 미련하게 공부 좀 놨더니 수학 잘...
-
이거 참고에 있는 공식 고1 공통 교육과정에 나오는 내용인가요?
-
국어 수학에 이어서 영어도 재미로 만들어봤습니당 모의고사 기능도 추가해봤어요!...
-
(x=실패)->(x=성공을 낳음) 대우명제 (x=성공을 안낳음)->(x=성공) 즉,...
-
와 6모 망했네 0
6모 학교에서 보려고 연락했는데 며칠뒤에 다시 연락준다고 해서 기다렸는데 마감일까지...
-
이감 질문 1
이감 페키지 다 사야하나여? 어디서 구매하나요? 이감하기전에 기출을 끝내는 게 먼저죠?
-
꼬츠 1
-
과년도 지인선 0
올해 지인선 다 풀었는데 맛있어서 작년 지인선 풀려고 하는데 ㄱㅊ나요? 아니면...
-
불수능일수록 이해 없는 얄팍한 구조독해는 씨알도 안먹힘
-
더프 직전에 실전감각 샤프하게 만들고 가고싶네요 공통만 보는걸로 하고 모래주머니...
-
오르비언들의 눈은 소중하니까
-
나 호1감고닉인가
-
요즘 문창과 갈 까 진지하게 고민중임 재능 없는거 같으면 빨리 마음접게 독설 ㄱㄱ
수능판에 나가있으면 수능이 생각나는게 참 그렇네요..
정말 멋진 분이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