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1) 시는 해석하려고 하지 마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234556
시는 해석하려고 하지 말고 우선 느껴라.
느낌은 대체로 모호하고 달콤하고 어딘가 아쉽고, 또 꺼림직하다.
프랑스의 학자 Gaston Bachelard의 말이고, 한국 문학계에는 김현 교수님을 통해 많이 전파되었습니다.
수능 문학을 풀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1. 일단 전반적인 '느낌'을 얻고,
2. 주요 시어들의 관계를 파악한 뒤,
3. 선지를 읽으면서 정오를 판단하면 됩니다.
수능에 나오는 현대시들은, 쉽게 쓰여서 해석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정확한 해석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일단 분위기를 느낍시다.
화자가 어떤 대상 혹은 상황을 긍정적으로 판단하는지/부정적으로 판단하는지 먼저 봅시다.
기출 지문들을 조금 볼까요?
한 줄의 시(詩)는커녕
단 한 권의 소설도 읽은 바 없이
그는 한평생을 행복하게 살며
많은 돈을 벌었고
높은 자리에 올라
이처럼 훌륭한 비석을 남겼다
그리고 어느 유명한 문인이
그를 기리는 묘비명을 여기에 썼다
비록 이 세상이 잿더미가 된다 해도
불의 뜨거움 꿋꿋이 견디며
이 묘비는 살아 남아
귀중한 사료(史料)가 될 것이니
역사는 도대체 무엇을 기록하며
시인(詩人)은 어디에 무덤을 남길 것이냐
-김광규, 「묘비명(墓碑銘)」-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인이 '묘비'에 대해 반어적인 표현을 사용하며, 은근히 비판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져야 문제에 대한 접근이 가능합니다.
한강물 얼고, 눈이 내린 날
강물에 붙들린 배들을 구경하러 나갔다.
훈련받나봐, 아니야 발등까지 딱딱하게 얼었대.
우리는 강물 위에 서서 일렬로 늘어선 배들을
비웃느라 시시덕거렸다.
한강물 흐르지 못해 눈이 덮은 날
강물 위로 빙그르르, 빙그르르.
웃음을 참지 못해 나뒹굴며, 우리는
보았다. 얼어붙은 하늘 사이로 붙박힌 말들을.
언 강물과 언 하늘이 맞붙은 사이로
저어가지 못하는 배들이 나란히
날아가지 못하는 말들이 나란히
숨죽이고 있는 것을 비웃으며, 우리는
빙그르르. 올 겨울 몹시 춥고 얼음이 꽝꽝꽝 얼고.
-김혜순, 「한강물 얼고, 눈이 내린 날」-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그런데 위의 시 같은 경우에는 해석이 어려울 뿐 아니라 느낌도 잘 모르겠습니다.
이런 작품이 나오는 경우, 평가원은 개념들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요소를 출제합니다.
(적절하지 않은 선지) ② ‘아니야’는 배가 훈련을 받고 있다는 추측을 부정하는 표현으로, 배가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 배의 내부적 원인에서 기인하고 있음이 이를 통해 드러난다.
배가 움직일 수 없는 것은 강이 얼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의 내부적 원인(배가 고장났다거나, 배에 구멍이 뚫렸다거나)이 아니라, 외부적 원인으로 인해 움직일 수 없는 것이죠.
시를 이해를 못해도 상황에 대한 객관적 이해(강이 얼었음->강이 흐르지 못함->배가 저어가지 못함)가 있으면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느낌이 안 오면, 개념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면 됩니다.
초라한 경력을 육지에 막은 다음
주름 잡히는 연륜마저 끊어버리고
나도 또한 불꽃처럼 열렬히 살리라
-김기림, 「연륜」-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적절하지 않은 선지) ② (가)에서 ‘불꽃’을 긍정적인 이미지로 표현한 것은, ‘주름 잡히는 연륜’에 결핍되어 있는 속성을 끊을 수 있는 수단이라는 의미로 재해석한 것이겠군.
시에서는 '연륜을 끊고' -> '불꽃처럼 열렬히 삶'을 얘기합니다.
'연륜을 끊음'이라는 행위가 '불꽃처럼 열렬히 삶'의 수단인 것이죠.
따라서, 수단과 목적, 선후관계가 뒤바뀌었으므로 2번 선지는 옳지 않습니다.
굉장히 객관적이죠??
보통, 수능에서는 현대시가 쉬울수록 내용 이해를 더 물어보고
현대시가 어려울수록 이해보다는 '객관적인 사실 판단'을 더 요구합니다.
쉬운 경우에는 '느낌'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어려운 경우에는 '관계 파악'의 중요성이 더 커지는 것이죠.
요즘 각잡고 제대로 된 칼럼 쓸 시간이 안 되어서, 이렇게 짧게 짧게 메모처럼 자주 올려볼까 합니다.
저는
만점의 생각 비문학편 저자
피램 문학 시리즈 공동 저자
조경민입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
여기서 죙일 뻘글 쓰던 분들이 휘황찬란한 뱃지 들고 오는 거 보면
-
링고아메님. 0
식사사진올려주세요
-
시간이 좀 걸려도 노트정리를 하고 그걸로 복습하는게 나을지 아니면 책 폈다 덮었다...
-
예비번호 3
예비번호 3배수까지 줬다하는데 아무리봐도 제 점공계산 상의 점수가 3배수 안으로...
-
문제 뭐냐이거 ㅋㅋㅋ 10
테토토 테토 테토리스~ 사문 교사가 출제한듯 채점형 넣으려고 ㅋㅋㅋㅋ
-
하위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25학번 아기 호랑이를 찾습니다 0
민족 고대❗청년 사대❗자주 교육❗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25학번...
-
릉주치 합격 11
강릉원주대 치대 붙었습니다ㅎㅎ 마음이 편안해지네요ㅋㅋ
-
ㅈㄱㄴ
-
경제뉴비 2410리뷰 10
9 16 19틀 42점 백분위80 개념 버벅거려서 28분컷 9 19 실수 병신 16...
-
[단독] "더는 못 버텨" 백강혁 같은 외상 전문의 46명 떠났다 1
중증 외상 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외상 전문의 자격을 포기하는 이들이 급증하고...
-
기다리고 기다리던 진격거 성지순례를 하러 히타행 버스를 탔습니다! 눈이 펑펑...
-
부산대 반도체랑 홍익대 기계 둘 중 어디 갈지 좀 고민중임... 집은 부산이고 나는...
-
뱃지확인용 10
으헤헤
-
뱃지를 받았어요 1
야호
-
연대 국캠 옆집이라서 알았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바로 옆집이다 까지는 물론...
-
건국대 물리 컴공 복전 생각중 (학점 어느정도 따야하는지 모름) 동국대...
-
의뱃달았씁니다!! 13
드디어 왔구나~ 어안이벙벙
-
4칸 서울대 상경대 합격 #“정시기다리는”컨설팅 후기 4
우선 4칸으로 서울대 상경대 최초합하였습니다~ 정시 컨설팅을 고민하다 오르비에...
-
헤헤… 2
헤헷…
-
시립대 합격 2
시립대 붙었습니다 수능끝나고부터 오르비에서 많은 도움 받았습니다. 다들감사합니다
-
NJZ
-
07입니다.. 제가 미쳐가지고 수능은 정법 사문인데 내신은 사문 윤사에요...^^...
-
164명 뽑고 다군입니다ㅠ
-
숭대 다군 자전 164명 뽑는데 충원율이 어느정도 될까여.. 한 300퍼 정도 되려나요.?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뱃지 왔네 0
이제 나도 설뱃이다
-
애가 숙제를 부담스러워한다고 내지말아달라고 함. 근데 수학과외고 예비중2인데다...
-
기만하지 마세요 8
-
어차피 고속 연초였다가 노랑돼서 최초는 기대도 안했으니 후보도 못받은거보단 다행쓰…
-
한림의 펑크 3
36명 최초합에 점공 20등내에서도 불합이 다수 나오고 점공 60등가까운 875가...
-
예비라니 2
시립 셈퍼 0.7->3번이네요 10명 이하 과는 아니긴 한데 뭐 1~2차 추합은 되겠죠 ㅋㅋㅋㅋ
-
시립대 최초합 2
으하하학
-
시립대 물리학과 2
앞에 빠져주시는분 있나요? 예비2번인데 작년에 1명돌아서 좀 불안하네요
-
숭실 점공 봐주세요.. 12
경희 자전이랑 중대 광홍이 저고 예비 19번이에요 제 앞에 점공 안하신분 3분 계심
-
투과목선택 도와주세요… 12
현역 화1생1하고 재수로 화1유지 생1을 바꾸려고 합니다 원래 사문으로 바꾸려다...
-
세계지리부터 사문까지 싹다 1컷 50인데 뭐냐
-
제발 빠져주세요……….. 1명 뽑는데
-
유니스트 떳네요 0
ㄱㄱ
-
입시 끝 11
으흐흐
-
기하는 유기한다고 했으니 그려려니 하는데 공통도 유기한거야...? 혹시 강의 언제쯤...
-
이어폰 오래쓰면 청력에 악영향 있을까봐 고민임
-
검은거 벅벅하는게 나음?
-
헌재 尹 탄핵 심판, 커지는 불신… “신뢰 못해” 2030 가장 높아 1
재판관 편향 논란에 절차도 문제… 여론조사서 신뢰 52 vs 43 불신 헌법재판소의...
-
홍대식 128.45인데 이 점수면 홍대 경영 안쓰는게 맞았던거겠죠? 홍대경영 대신...
-
대학 등록 0
최초합 한 대학교 등록 취소하려면 그냥 입학처에 전화해서 말하면 되나요..?...
-
집에서 따듯하게 라면먹기
-
성균관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성대25][G하우스 1인실]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요즘 특히 객관적인걸 많이 물어보더니 올 수능에선 사소한 디테일까지 엄청 묻더라구요••
시는 느껴라..메..모...
이거 원툴로 현대시에서 살아남앗습니다
개꿀팁임 ㄹㅇ루 ㅠ
만점의 생각 문학편 나오면 사야겠다
더 이상 수능 안 칠 것 같긴한데
비문학편이 너무 인상깊었어서.. 비록 수능은 못봤지만 ㅋㅋ
분위기(느낌)+사실 일치
시를 넘어서 수능 문학 전체의 핵심이라고 생각해요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좋은글이네용
여기에 제 생각을 덧붙이자면, 시의 전반적인 느낌도 자기 멋대로 얻지 말고 상식적인 선, 내신으로 쌓아온 베이스로 잡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동의, 또 동의합니다. 만점의 생각 문학편이 너무 기대되네요..
구구절절 다 맞는말같아요!
문학은 객관적 사실과 문맥 두개면 끝난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객관적으로 변별해야하는 수능시험이라
ㄹㅇ 그런거같아요
그래도 문학은 정형에서 크게 안벗어나서 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