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벳 [343103] · MS 2010 · 쪽지

2013-12-18 03:07:19
조회수 514

정치에대해 무관심하다가... 궁금한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94410

댓글보다보니까 광우뻥 얘기가 나오던데
결국 광우병 논란은 뻥이엿다는건가요? 그렇다면 누구에의해 퍼진논란이며 이를통해 그들이 얻는게 무엇이엇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Mr. Financial · 403364 · 13/12/18 03:08 · MS 2012

    이석기 의원이 왜 구속되었는지 찾다보면 알게 될 것입니다~

  • 알파벳 · 343103 · 13/12/18 03:10 · MS 2010

    네 알아보겟습니다! 이제 관심가져야될때가 온것같네요

  • WTFWTH · 433686 · 13/12/18 03:29 · MS 2012

    광우병 위험성 자체의 과장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이명박 정권의 독단성이였습니다


    http://mirror.enha.kr/wiki/2008%EB%85%84%20%EC%B4%9B%EB%B6%88%EC%A7%91%ED%9A%8C

  • Mr. Financial · 403364 · 13/12/18 03:57 · MS 2012

    음.. 관점의 차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ㅎㅎ 저는 과장에 따라 사람들이선동되었다고 보는 입장이라서..ㅎ 참고하겠습니다~

  • WTFWTH · 433686 · 13/12/18 22:58 · MS 2012

    관점의 차이 아닙니다 이명박이 처음부터 제대로 설득하려고 들었으면 저만큼 크게 안 일어났어요

  • Mr. Financial · 403364 · 13/12/19 03:50 · MS 2012

    ... 관점의 차이 존중해주시죠?? 일방적인 의견 ㄷㄷ함...

  • 빌링슬리 · 461231 · 13/12/18 05:15 · MS 2017

    갠적으로 정치 아는건 좋은데 아는사람들이랑 얘기해봣자 좋을거 없는거 같애요ㅋㅋ

  • reginahom · 278781 · 13/12/18 08:53 · MS 2009

    맞아요..아는사람과 정치,종교 이야기는 금지

  • 추억앨범™ · 6955 · 13/12/18 12:08 · MS 2002

    당시 떠돌던 인터넷 게시물들은 죄다 광우병의 과장된 위험성에 관한 내용이었지 정권의 독단성을 꼬집는게 아니었죠. 정권의 독단성은 자신이 선동당했음을 인정하기 싫은 사람들이 이후에 변명처럼 하던 이야기... 애초에 광우병의 위험성을 과장되게 인식하지 않았다면 정부가 독단적으로 어떻게 결정하든말든 큰 문제가 될건 없었거든요.

  • 윙첼 · 409658 · 13/12/18 12:23 · MS 2012

    뻥이었습니다

  • Salsa · 407237 · 13/12/18 12:33 · MS 2012

    제가보기엔 인터넷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듯요
    인터넷의 특성이 아무나 신뢰성이 없는 이야기를 올릴 수 있는 매체인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기자들이 통제된 기사들만 올리던게 문제였다면 요즘엔 아무나 전문가인양 글을 올리는게 문제인것같습니다.
    네이버에서도 뉴스에서도 기자의 자격이 없는 사람이 쓴 기사가 대부분이였고요..
    평소 사람들이 사회의 권위에 억눌린 분노가 그런 출처가 불분명한 게시글을 보면서 폭발한것도 같습니다
    또, 노무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스타일과 달라진 대통령의 스타일도 있을 수 있겠고..
    음.. 북한 사람들이 혼란을 더 휘저어 준것도 있을테고.. 또 뭐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