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 논술 경영 샌드박스 뭐시기 관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764146
기존의 규제가 잇음에도 불구하고 제한적으로 샌드박스를 시행한거고 그래프를 보면 투자유치도 늘어나고 근로자 수도 늘어났으니 제시문(가)를 기반으로 평가해보면 옛걸을 아예업애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 보다는 기존의 것을 두고 제한적으로 만들어서 하면은 갈등론처럼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ㅇ의 갈등없이 상호이득을 취할수 있다라는 관점으로 대략 접근 한사람있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과에서 꿈이나 진로가 명확하지 않다면 전과가 답인가요?? 0
지금 예비 고3입니다 그냥 살면서 주위 사람들이 전부 넌 문과체질이라 하고 저도...
저요 근데 제한적 샌드박스에 요점을 두지는 않았어요
본문에 쓰신것과 비슷하게랑 실업문제는 정치 기득권 세력이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한 것인데 혁신 기업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길을 열ㅇㅓ주고 그래서 기득권과 사회 전반에게 이득이 됨다 ~뭐 이런식으로 썼어요
실업문제가 기득권의 미완수과제라는 내용은 제시문들사이에없지 않나요 약간 논지를 넘은 발상 아닐까요
완전 똑같은데요
그래프가 월별로 불규칙한게 단서라고 파악했습니다
점진적으로 시간을두고 시행을 완성시켰다구요
오 똑같음ㅋㅋㅋ
오 다들 비슷하신가보네용 이게 생각보다 커뮤니티 돌아다니다 보니 저랑 의견이 다르신분들이 넘 많아서 헷갈렸었거든요 ,,
(나)제시문에서 갈등과 대립이 일어날수밖에 없다라고 했다는점에서
갈등은 필연적인 걸로 보게되는 관점은 어떨까요
갈등 속에서
그냥 샌드박스가 혁신기업을 보호해준것아닐까요
저도 같은 맥락!
전 기존 세대와 혁신으로 새롭게 나타난 세대의 공존을 중시하는 내용으로 썼어요. 샌드박스 제도로 기업의 투자유치도 증가하고 고용률도 전년도 대비 상승한 것처럼 기득권의 전제가 없어야 기존 세대의 저항(앞에 다른 지문에 있던 내용)없이 혁신적인 개발이 가능하고 신구 세대가 상생할 수 있다~ 느낌으로. 비슷한 것 같네요!
공존을 중시한다는 맥락에서 저랑 거의 동일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