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1돈을벌거야! · 992854 · 21/11/16 17:38 · MS 2020

    5번인가여??

  • 큰1돈을벌거야! · 992854 · 21/11/16 17:39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한의대 or 약대 아님 재수 · 1081990 · 21/11/16 17:42 · MS 2021

    3번이라는데여

  • 큰1돈을벌거야! · 992854 · 21/11/16 17:43 · MS 2020

    아아 네 3번이여

  • 명언으로의대뚫기 · 884406 · 21/11/16 17:44 · MS 2019

    설명이랄게 없는데
    가 나 다 A B C 대응하면 되잔슴

  • 한의대 or 약대 아님 재수 · 1081990 · 21/11/16 17:44 · MS 2021

    어떤이유로 대응되는지를모름ㅠ

  • 명언으로의대뚫기 · 884406 · 21/11/16 17:46 · MS 2019 (수정됨)

    일단 가)가 가속팽창하니까 에너지밀도있는A고
    에너지밀도없는게 B C인데
    평탄우주가 열린우주보다 더 느리게팽창하니까
    B가 나) 죠

  • 홍익대 한의대 간 꿈을 꾼 사람 · 850790 · 21/11/16 17:45 · MS 2018

    ㄷ선지는
    (나)에서
    Z=1 거리지수가 클수록 시간이 많이 걸렸다고 생각

  • 한의대 or 약대 아님 재수 · 1081990 · 21/11/16 17:46 · MS 2021

    그냥아예 전체적인 해설을 모르겄음

  • 마제라티 · 732631 · 21/11/16 17:47 · MS 2017

    그럼 문제를 풀지말고 개념강으ㅏ를보세용

  • 한의대 or 약대 아님 재수 · 1081990 · 21/11/16 17:48 · MS 2021

    1,2,3단원전부 개념안듣고
    다한거라 마지막 소단원인 지금와서 하기엔 좀..,

  • 마제라티 · 732631 · 21/11/16 17:50 · MS 2017

    그럼 저희도 설명을 못드리죠..배경지식이 있어야 들어가능게있을건데

  • 화라브르 · 1076138 · 21/11/16 18:12 · MS 2021

    현재 우주크기는 모두 똑같은데 미래의 특정 시점에선 우주 크기는 A>B>C잖아요.(가 가래프 확인) 같은 시간이 지났을때 A가 가장 팽창됐으니 가속팽창(0.3-0.7) B가 열린우주(암E x)(0.3-0) C는 평탄우주(1.0-0)가 되는거구요. ㄱ선지는 이렇게 풀면 되고 ㄴ선지는 저 시점에서 접선의 기울기변화량 따지면 됩니다. 왼>오로 갈때 기울기가 감소하니 팽창속도 감소해요!
    ㄷ선지는 z=1인 곳에서 쭉 선을 그을때 거리지수가 B(0.3-0)가 C(1.0-0)보다 크잖아요. 그럼 B가 더 멀리있다는거니 각각 방출된 빛이 지구로 오는 시간은 B가 더 오래 걸려요.

  • 한의대 or 약대 아님 재수 · 1081990 · 21/11/16 18:20 · MS 2021

    B에서 0.3이 아니라 1보다 더큰 값이었다면 닫힌 우주가
    B는 닫힌 우주였겠죠?

  • 한의대 or 약대 아님 재수 · 1081990 · 21/11/16 18:21 · MS 2021

    아 거리지수는 클수록 거리가 크다는 뜻인가요?

  • 화라브르 · 1076138 · 21/11/16 18:43 · MS 2021 (수정됨)

    B에서 0.3이 1보다 큰 값이면 닫힌우주가 맞습니다. 거리지수가 클수록 거리가 큰것도 맞습니다.

    참고로 열린/닫힌/평탄 우주 구분은 (암E밀도+물질밀도)가 임계밀도보다 작냐 크냐 같냐로 따집니다.(가속팽창이라고 무조건 열린우주!>>x)

  • 군대다녀옴 · 1086067 · 21/11/16 18:58 · MS 2021

    어짜피 ABC는 (나)의 3개의 모형에 대응되자나여

    (가)에서 각 그래프의 접선 기울기가 팽창속도니까 기울기가 증가하는 A가 가속하는, 그니까 암흑에너지가 있는 (나)의 첫번째에 해당돼요

    그럼 ㄱ 맞는 선지이고 ㄴ 선지는 그냥 ㄱ시기 봐봐요 -> 접선기울기 감소하자나여 -> 그럼 저때는 감소했다는거지 -> 왜 감소하는지는 궁금해하지 맙시다

    현재 기준으로 오른쪽에서 더 위로 올라간 B가 열린우주이고요, C가 그럼 평탄한 우주네요 -> B 기울기가 더 크니까 더 많이 팽창했을거잖아요 -> 그럼 같은 거리에서 출발한 빛은 그 사이 공간이 넓은 B에서 더 늦게 도착하겠죠 -> ㄷ 틀림

  • Secondary · 1015187 · 21/11/16 19:02 · MS 2020

    저는 이해는 모르겠고 가속팽창우주가 과거에는 더 ‘느린’거니까 같은 겉보기등급에서 더 ‘느린’(적색편이가 작은) 넘이 가속팽창이다라고 이해함

  • lumos3 · 979991 · 21/11/16 19:08 · MS 2020

    암기와 자료해석을 곁들인 실전적 풀이

    (가)에서는 그래프의 개형을 토대로 A가 '현재 가속 팽창하는 평탄 우주'임을 확인합니다. (나)에서는 (m,^) 값이 '(0.3, 0.7)인 우주'는 '현재 가속 팽창하는 평탄 우주(실제 관측되는 우주)', (0.3, 0)인 우주는 열린 우주, (1.0, 0)인 우주는 평탄 우주입니다. 이때 첫 번째 것을 제외하면 모두 암흑 에너지가 없으므로 감속 팽창합니다. 다시 (가)로 돌아오면, A-B-C가 (나)의 (0.3, 0.7), (0.3, 0), (1.0, 0)으로 대응됨을 알 수 있습니다. ㄱ은 참

    ㄴ. A(현재 가속 팽창하는 평탄 우주)에서도 동그라미 ㄱ 시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억 년 전보다 앞선 시기로, 급팽창이 끝난 바로 다음의 시기입니다. 그래프의 모양을 통해서 동그라미 ㄱ 시기는 팽창 속도가 감소하면서 팽창하는 '감속 팽창'을 하고 있음을 판단합니다. ㄴ도 참

    ㄷ. (나)에서 z=1일 때(세로선을 그어) B에서의 거리지수가 C보다 더 큽니다. 따라서 z=1로 관찰되는 은하는 B 모델에서 더 멀며, 지구에 그 빛이 도달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릴 것입니다. 우주 모형 문제에서 '빛이 도달하는 시간' 관련한 변수는 그 은하까지의 거리(=거리 지수, 겉보기 등급)를 이용해 판단할 수 있습니다. ㄷ은 거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