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마 [348398] · MS 2019 · 쪽지

2013-12-10 22:09:31
조회수 4,037

[고구마칼럼] 10. 자신의 의지를 과신하지 말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56160



안녕하세요.

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박병성입니다.


2014학년도 재원생 수능 성적상승률 100%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확실한 N수 성공을 위한 2015 수능 가이드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N수성공을 위한 2015 수능 가이드]

1. 명확한 목표의식이 N수성공의 핵심입니다.

http://orbi.kr/0003964895


2.
독학N수의 성공요소는 "자신감"이나 효율적인 "학습계획"이 아닙니다.

http://orbi.kr/0003966918


3.
효율성과 위험은 동전의 양면과 같습니다.

http://orbi.kr/0003970458


4.
판단기준의 오류에 빠지지 말자.

http://orbi.kr/0003972966


5.
고등학교 생활태도를 통해 독학성공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http://orbi.kr/0003977526


6.
평정심 유지가 N수 성공의 핵심이다.

http://orbi.kr/0004006575


7.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핵심요소 - 반복


http://orbi.kr/0004029044 


8. 자신의 의지를 과신하지 말자.


이번 칼럼은 치명적인 실패로 이어지는 사항에 대해 조언을 드리겠습니다.

N수를 시작하는 지금 시점은 어느 때보다 의지가 넘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많은 N수생들이 자신의 의지를 과신하다가 실패하곤 합니다.


작년 이맘때도 이 시기는 정말 열심히 해야겠다고 의욕에 불타있었을 겁니다.

(만약 이 시기에도 의욕이 없다면 그것도 문제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의욕은 대부분 여름 가을이 되면 무너집니다.


겨울 시기의 수험생은 의지를 과신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의욕이 넘치고 자신감이 넘치다보니 과감한 판단도 성급하게 합니다.


수험생의 학습의지는 쉽게 불타오르기도 쉽게 꺾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지금 학습의지가 넘친다고 해서 나중까지 그러리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사실 끝까지 유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지금의 학습의지를 잘 활용할 수 있을까요?


답은 자신의 학습의지가 지속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에 있습니다.


본인의 근본적인 생각 변화에 의해서 학습의지가 생긴 경우는 대체로 지속성이 높습니다.

가령 스스로가 정말 공부를 해야겠다고 절실히 느끼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내가 정말 바뀌고 달라져야겠다.’ 는 생각을 특별한 사건이나 계기가 없이

어느날 문득 생각이 바뀌어서 자연스럽게 열심히 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외부 요인과 상관없이 꾸준히 열심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독학으로 성공하는 케이스가 대부분 여기에 속합니다.


반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학습의지가 생긴 경우는 대체로 지속성이 떨어집니다.

가령 시험성적이 낮게 나오거나 어떤 사건이나 경험을 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내가 정말 바뀌고 달라져야겠다.’ 는 생각을 특별한 사건이나 계기에 의해

타율적으로 열심히 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시간이 지나면 의지가 줄어드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무리 충격적인 사건도 보통 시간이 지나면 잊혀지고 무뎌지기 때문입니다.

독학으로 실패하는 케이스가 대부분 여기에 속합니다.


물론 외부환경에 의해 학습의지가 생긴 경우에도 지속성이 있기도 합니다.

그것은 자극이 된 외부환경이 변화가 없거나 지속적으로 자극을 주는 사건이 일어나야 가능합니다.

가령 집안 형편이 어려워서 공부를 시작했다면

집안 형편이 점점 어려워질수록 학습의지는 높아질 수 있습니다
.


하지만 갑자기 집안 형편이 좋아진다면 언제든지 학습의지가 떨어지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위 사례의 학생이 꾸준히 공부하기 위해서는 계속 집안이 어려워야 합니다.

결국 외부환경에 의한 자극은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외부환경은 의지와 상관없이 언제든지 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이번 칼럼의 내용이 실제 공부에는 큰 도움이 안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이번 칼럼의 핵심을 실제 학습방향 설정에 적용해 보겠습니다.


즉 우리의 의지가 가지고 있는 속성을 바탕으로

자율적인 방향이 유리할 지 타율적인 방향이 유리할 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자율성과 타율성 중 어느 쪽이 맞을지는

실제 상담이나 지도과정에서 보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궁금해 하는 중요한 사항중에 하나입니다.



[실전적용팁 학습] 자신의 학습 의지 속성으로 효율적인 학습방향 판단하기


모든 의지가 지속적인 것은 아닙니다.

즉 지속적인 의지와 일시적인 의지가 있습니다
.


지속적인 의지는 대체로 내적인 깨달음에서 발생합니다
.

일시적인 의지는 대체로 환경의 변화에서 발생합니다.



지속적인 의지가 있다면 자율적인 학습이 효율적입니다
.

일시적인 의지가 있다면 타율적인 학습이 효율적입니다.


수험생 여러분께서는 자신의 의지가 무조건 지속될 것이라는 과신을 안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대신 자신의 의지가 지속적인지 아닌지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세요.

그리고 상황에 맞게 자율적인 학습방향 또는 타율적인 학습방향을 세워야 합니다.


입시 분야에는 많은 실력자와 전문가 분들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자신의 자율적인 판단이 최고라는 생각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자율성과 타율성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일이 바로 성공적인 입시의 핵심 열쇠입니다.


감사합니다.


 


 


 


글의 내용이 도움이 된다면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수험생 여러분께 도움이 되는 좋은 칼럼으로 보답하겠습니다.


끝으로 N수생을 대상으로 1215() 13:00 위자듀 재수설명회가 있습니다.


설명회 1부는 재수성공학습계획이고 2부는 학원소개로 진행이 됩니다.

설명회를 통해 N수 성공을 위한 조언을 아낌없이 전해 드리겠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