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부인 [1077012] · MS 2021 · 쪽지

2021-11-13 20:44:17
조회수 1,386

심각한 오개념..도와주세여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522929


학원쌤이 플랑크 곡선과 다르게 B처럼 튀어나오면 면적은 광도를 나타내는거다 라고 예전에 알려주셨는데 이 문제에선 아래 면적이 겉보기 밝기라는데 .. 면적=광도 인 문제랑 이문제랑 뭐가 다른건가요? ㅠㅠㅠ 왜 겉보기 밝기를 나타내는건지 모르겠어요ㅠㅠ차이점이나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거면 알려주세욥...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추나장인김덕배 · 839535 · 21/11/13 20:45 · MS 2018

    밝기=광도죠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실 필요 없어요

  • 추나장인김덕배 · 839535 · 21/11/13 20:47 · MS 2018

    정확히는 절대등급을 보통 광도라고 해요. 모든 별을 10pc 위치에 놓고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값. 그냥 별 자체의 밝기를 나타내고,
    겉보기 등급은 그냥 말 그대로 관찰되는 값을 표현한거에요 거리의 개념이 반영된 값이죠

  • 김기현부인 · 1077012 · 21/11/13 20:47 · MS 2021

    문제 보면 A가 B보다 광도가 크다고해서요ㅠㅠ

  • 추나장인김덕배 · 839535 · 21/11/13 20:50 · MS 2018

    저기에서는 두별 다 주계열성이라는 정보가 나왔고, A별이 B별보다 표면온도가 높기 때문에 A별이 광도나 반지름, 표면온도가 모두 높다는 걸 이용해 푸시면 됩니다.
    그래프에서 위로 튀어나온 형태를 궁금해 하신다면, 저 그래프는 겉보기 밝기를 반영해서 그래요. 즉, B 별이 A별보다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원래 광도가 더 작더라도 특정 파장에서 조금이라도 더 밝게 보이는 경향을 나타내는것 뿐이에요.

  • 김기현부인 · 1077012 · 21/11/13 20:53 · MS 2021

    아하 그럼 주계열성이라는 정보때문에 면적=광도라고 단정지으면 안되는거군요..! 이제 이해된것 같아요 감사합니다ㅠㅠ
  • 추나장인김덕배 · 839535 · 21/11/13 20:51 · MS 2018

    참고로 절대밝기를 이용해 그래프를 그리면, 마트료시카 인형처럼 B가 A를 절대 넘지 못하고 모든 파장대에서 더 약하게 관측됩니다

  • 아옥 · 917135 · 21/11/13 20:50 · MS 201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경제고정50 · 864675 · 21/11/13 20:50 · MS 2018

    저 곡선이 의미하는 바가 주로 세 가지가 나오는데
    1.단위시간단위면적당,밑면적은 온도의 네제곱에 비례함.
    2.단위시간당,밑면적은 광도에 비례함.
    3.지구대기권밖에서관측한(단위시간당),밑면적은 겉보기밝기에 비례함.

  • 김기현부인 · 1077012 · 21/11/13 20:54 · MS 2021

    2번이랑 3번이랑 정확히 구분을 안지었었네요 정말 감사해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