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407024
1.주계열성 끼리는 행성의 표면온도가 높고 반지름이 클수록 밀도는 작은거로 알고있음
2.흡수선의 두께는 밀도에 비례한다고 알고 있음
3.A형 별이 G형 별보다 표면온도가 높으므로 밀도는 작고 흡수선 두께는 얇아야 하는거 아닌가? 왜 A형별이 더 두꺼움?
2번을 잘못 알고 있는건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스듀의 급성장 0
스카이에듀 지금 선생님들 엄청 끌어모으네요 ㅋㅋ 도대체 그 자금들이 어디서 날까요?
수소 가 포인트
이것도 맞긴 하구요
자료해석임 그리고 제가알기로 1번이 확실하진 않은듯
주계열성끼리의 밀도는 본적이 없는듯
1번은 이훈식t 한테 물어봤는데 확실히 맞다고 했음. 아무래도 2번이 같은 분광형일때만 성립하나 봄
아 그런듯
저도 하나 배워가네요 감사합니다
흡수선 두께 밀도로 따지는건 같은 분광형일때 광도 계급으로 가르는 용도로만 쓰라고 들었던거 같은
수소 흡수선은 G형 별에선 거의 안나타나서
a0은 HI가 두드러짐
표면 온도가 같을때만 성립
광도계급을 이용한 흡수선 두께 비교는 동일한 분광형일때고 표면온도가 다르면 그냥 온도에 따른 흡수선으로 봐야할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