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1 항원항체와 음수림 관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38639
학교 내신을 복습하다가...
항원 X를 2회 주사한 생쥐 A로부터 기억세포를 분리하여 생쥐 B에게 주사하고, 4개월 후 생쥐 B에게 항원 X를 주사하였다. 단 생쥐 A와 B는 유전적으로 다르며 실험전에 항원 X에 노출된 적이 전무하다.
ㄴ 생쥐 B에게 항원 X를 주사했을때 1차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이 보기가 왜 맞는건가요?? 기억세포를 주사했으니 바로 2차로 들어가는거 아닌가요?
다음은 어떤 식물 군집의 천이 과정이다
초원-관목림-A-혼합림-B
ㄱ A보다 B에서 토양의 수분 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이 보기는 왜 맞고 맞다는걸 어떻게 알수가 있는건가요?
내신문제라 그런지 문제가 참 아리까리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는 문제를 보니까 함박웃음. 정작 푸는 당사자는 혼돈! 파괴! 망가 ㄱ! 옛날에...
생쥐 A와 B가 유전적으로 다르기때문에 항체생성여부와 관계없이 B는 A의 기억세포를항원으로 인식합니다
따라서 비자기세포인 기억세포에서항원 X에 관한 항체생성반응이 일어나기전에 죽을겁니다
따라서 B에게 X의 침입에따른 1차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될것입니다
만약 유전구성이같은 일란성인경우에만 2차면역반응이 일어납니다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기억세포나 항체 주입류에 관한 문제들을 많이봐왔는데 그런것들은 모두 유전적구성이 동일하다고 보고 푸는건가요? 이런문제 많이 봐왔지만 유전적구성 이야기는 첨 듣는거라...
항체는 항원으로 인식되지 않기때문에 주입할수있어요 이같은경우는 면역혈청이라하여 2차방어작용과는 먼 경우이구요
기억세포같은경우는 아마 괄호속에 유전구성이 같다라는 글귀가 들어있었을거에요
2번문제는 아마 양수림의 피도가 상대적으로 음수림보다 크기때문에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광의 양이 감소, 그에따라 토양내 잔류수분량의 증가가 아닐까라고 추론해봅니다
잘모르겠네요ㅜㅜ
★★★★
에고고 제가 이상한답변을 드렸네요 제가 생태계를 제일 못해서ㅜㅜㅜ 이제와서 삭제해서 내빼는건 예의가 아닌것 같아서 이렇게 남겨요
제답변 무시하세요ㅜ
천이가 진행될수록 비옥해진다는의미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