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198664
양적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의도가 배제된다는 비판을 받는다.
OX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198664
양적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의도가 배제된다는 비판을 받는다.
OX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X 아님?
연구대상자 아니고 연구자여도 X일듯
연구자의 주관적의도 배제는 좋은거라서 비판이 아니다?
연구 설계하고 주제 선정하면서 주관 배제가 불가능
ㅇㅎ
요 해설은 어캐 보시나욥
맞네요 이거 올해 수특에도 써있는 표현입니다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었음
양적 연구의 특징 중에 '사실과 가치의 구분'이 있는데 이게 그거랑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맞습니다 EBS 해설도 저 얘기 써있고요
혹시 첨부 가능할가여..ㅠ
양적 연구는 행위 주체인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의도를 배제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해당 문제 해당 선지 EBS 작성 해설입니다.
~, 행위 주체인 인간의 주관적 의도나 동기를 배제한 연구를 함으로써 사회 문화 현상에 대한 피상적인 연구에 그칠 우려가 있음
올해 수특 19쪽 양적 연구의 장점과 단점 중 단점 부분에 쓰여 있는 부분입니다.
조금 다른 내용이지만
인간의 동기나 가치로부터 분리하여 사회 문화 현상을 연구함으로써 심층적인 이해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비상교육(신) 교과서에 써있는 이야기입니다
1406
에 의도라는 워딩이 쓰여서 질문드렸어엽
그럼 밑줄 친 해설은 틀린 걸까요?
파급입니다
저도 강조하는 점에선 동의하는데
배제라는 워딩이 신경쓰여서요.
요 해설은 어캐 생각하시는지요..ㅠ
선지에서 "피상적"이라는 단어의 유무에 따라 달라질 듯
지금 이 글 본문만 따르면 X라고 볼 수 있는 게 양적연구여도 주제는 실험자가 정하는 거고, 그 실험 설계도 실험자가 정하는 거라 주관 배제한다고 단언 불가능함
연구자랑 연구대상자 헷갈리신듯,,
저도 이게 맞다 보는데 본문을 좀더 상황에 맞게 정리해주셔야할듯
이 고수들
근데 저런 뉘양스로 선지 나오면 장난질 걸지는 않을 듯
물론 전 씹허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