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햇갈리는데 생명황들 와봐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977527
길항적 작용이 서로 반대되는 역할을 의미 하자나요? 예를 들면 인슐린 글루카곤의 작용 하나가 증가면 하나가 감소
길항적 작용은 ㅇㅋ 인데 길항적 조절은 어캐 되나요?
인슐린이 증가하면 글루카곤이 감소하진 않자나요? 혈당량에 의해 조절되니까? 예를 들면 당뇨병 환자?
원인이 글루카곤 증가가 아니라 혈당량 증가니까 길항적으로 작용은 맞아도 길항적으로 조절은 틀린것 아닌 가요?
갑자기 헷갈리네 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생1에서 길항적<~~ 인슐린 글루카곤이랑 교감 부교감밖에없음
그러니까 작용하고 조절하고 다르자나요
그런걸로 안낚는단뜻..
혹시 모르니까 ㅠ
사설에 너무 데이신듯

맞아요 ㅠㅠ길항적 작용은 서로 일어나는 작용 역할이 다른거고 조절은 그게 분비되는 과정이 길항적이냐는 건데
인슐린이 직접 글루카곤의 분비를 조절하는건 아니고,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인슐린 분비량이 증가하면 글루카곤 분비량 작아지고 글루카곤의 작용이 억제됩니다
길항작용 : 하나의 기관에 서로 반대되는 작용
이정도만 아시고, 사설에서 비전문가 출제자들이 뇌피셜로 이상한 문제출제하는 경우가 많으니 신경쓰지 마세요
넵 감사합니다!
제가 찾던게 이건거 같네요
맞습니당 두 호르몬은 어느정도 range를 가지고 분비되지만 혈당량에 따라서 특정 호르몬이 더 분비되고 다른 호르몬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억제됩니다. 자세한 것은 소화생리학 혹은 내분비학의 내용이므로 고등학생 수준에서 알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별개로 인슐린과 달리 글루카곤은 그 자체로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혹시 궁금하실까봐..
글루카곤은 직접 분비 시키기도 하는군요!
지엽 정리 중이였는데 하 생물 너무 어렵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