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이상주의 현실주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897884
둘다 세계을 무정부 상태로 보는 입장 아닌가요?
"국제 사회는 국가를 통제할 상위의 중앙 권위가 없는 무정부상태인가" 이 부분에 대해사 이상주의는 반대를 한다는 선지가 있는데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 부분인지 궁금합니다
덕후분들 도와주세옹 ㅜ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택포 1에 팔아요 쪽지주세요
세계 정부가 없다랑 무정부 상태랑은 다르죠?
똑같은 말 아닌가요? 제가 잘못알고 있는거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ㅜ
물어본 건데 다음에 올 사람들한테 ㅋㅋㅋ
네 무정부 상태임은 모두 인정해요
대신 리버럴리즘은 네트워크와 신뢰, 제도 등을 통해 거버넌스가 형성되어 있다고 주장하기는 하는데 고딩 수준에서는 이건 몰라도 될 것 같아요
그럼 저 선지는 오류가 있는 선지가 맞는거네요?
아니요. 둘 다 무정부는 무정부예요.
음... 쉽게 설명하자면 강약차이?
국제 사회는 국가를 통제할 상위의 중앙 권위가 없는 무정부상태인가 - 여기에 이상주의가 반대를 한다는게 옳다는 말씀이신가요?
이상주의에서는 무정부상태라고 하기보다는 연합체라고 보는게 올바르지 않을까요
몰라도 되거나 원전에 안써있거나 일듯?? 그냥 연합체라고 알아도 충분하지 않을까요
국제 사회에 개별 국가들 위에 군림하여 강제력을 독점한 주체가 없다는 건 그냥 건조한 fact로서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모두 동의하는 바입니다.
반면 국제 사회가 무정부 상태라는 진술은 현실주의만의 입장으로 알아두셔야 합니다. 이는 무정부 상태라는 말 자체가 혼란과 무질서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건조한 fact 진술이 아니라 일종의 가치 판단이 들어간 거예요. 그래서 이상주의는 여기 동의하지 않을 수 있는 거고요.
참고로 무정부 상태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부가 없는 것과 같은 상태. 정부가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법이 무시되며 사회가 무질서하게 되는 상태를 이른다."
생윤 질문은 오르비에 제 이름을 언급하여 질문글을 쓰신 뒤 쪽지로 글 업로드 사실을 알려 주시면 댓글로 친절히 설명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이상주의는 무정부 상태보다 강제력을 독점할 수 없는 느낌으로 알아주고 현실주의의 국제사회는 무정부상태. 이렇게 알아두면 되는건가요?
그러면 제가 질문한 선지에 이상주의도 긍정하는거 맞죠? 감사합니다 ㅎㅎㅎ
아뇨, "강제력을 독점한 주체가 없다."라는 진술은 둘의 공통 입장, "무정부 상태이다."는 현실주의만의 입장입니다. 올려주신 선지는 현실주의에서만 동의할 진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