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아직도 수학 기출분석 의미를 잘 모르겠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891639
그래서 1컷에 머물러있는 걸까
근데 이제 깨닫기엔 늦은 듯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891639
그래서 1컷에 머물러있는 걸까
근데 이제 깨닫기엔 늦은 듯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기출 분석은 우리가 문제가 바로 풀리지 않을 때를 대비한다고 생각합니다.
모고에서 한 번에 풀리는 문항은 사실 기출 분석을 하지 않아도 맞출 수 있지만
한 번에 풀리지 않는 문항
Ex) 220915(역추적) 유사문항 나형 210921+ 211121 같은 문항을 풀 때 나열로 풀었으니깐 그냥 나열로 풀자 이런 태도(과거 기출에서도 이렇게 나왔으니깐 나열은 ㄱㅊ다)
220922 22번 미분계수에 대한 조건=>16학년도 나형 9평21번에 출제된 적이 있는데
16학년도 문항에서 미분계수에 대한 조건을 이용해서 =>f'(a)=0 or f(a)=0이 되는 지점찾기인데
혹시 내가 막히는 조건이 과거 기출에서 출제된 소재라면
내가 그 기출에서 막힌 부분(약점)=> 이 때 이 점을 이용해서 약점 해결 한 경험을 이용해
그 조건을 해석할 때 과거 기출 문항에서 풀었던 관점으로 해석을 시도한다? 이런 느낌인 것 같습니다.
헉 이런 정성 댓글을 써주셨었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기하러인데 같이 승리해야죠 ^^ 파이팅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