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과황들 커몬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881684
1. 남방진동지수랑 ENSO랑 다른거 앎?
2. 엘리뇨 때 동태평양에서 해수의 증발량이 증가한다 ox
토론해봅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881684
1. 남방진동지수랑 ENSO랑 다른거 앎?
2. 엘리뇨 때 동태평양에서 해수의 증발량이 증가한다 ox
토론해봅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ENSO나 남방진동지수나 자료마다 말이 조금씩 달라지는데 단순기압차로 하면 역전될 가능성도 커서 무슨 상수 넣어서 계산하는 걸로 알고 있음요
근데 딱히 필요없는듯
저는 ENSO랑 남방진동지수랑 같은 건 줄 알고있었어요. 근데 오늘 문제풀다가 다를 수도 있다는 걸 알았음. 무지성으로풀다 틀렸네요. 아직도 명확하게 개념이 잡히진 않는데 나중에 함 찾아봐야겠네용
굳이 구분할 필요가 있나요..? 전 아직까지 그런 문제 못봤는디
ENSO문제 자체가 요즘 잘 안보이고 안 풀게 되다보니 개념 빵꾸 좀 난 것 같아서요 ㅎㅎ 저도 문제로 틀리니 좀 충격먹어서요 ㅋㅋ
엘리뇨 때 증발량이 많아져서 구름 두께 두꺼워지고, 따라서 고도가 높아져서 기상위성으로 관측한 동태평양의 적외선 방출량이 줄어드는 거 아녀요? 머지
일단 답은 '엘니뇨가 발생할 때에는 동태평양 해류가 따뜻해져서 증발량이 많아지며, 이로 인해 태평양 동부 쪽에는 강수량이 증가한다.'
저는 이 부분이 좀 헷갈린 게 거의 대부분의 문제가 강수량으로만 묻잖아요. 근데 판단할 때 증발을 하면 건조해지는데 강수량이 많아지는 거랑 양립할 수 있나? 이렇게 판단했었어요. 인과를 잘못 설정한거죠 증발을 해서 구름 많아져서 비도 많이내린다. 님 판단과정이 맞는 듯용
아하 지1은 너무 몰입하시지 말고 최대한 1차원적으로 생각하는게 좋아영

넹 토론 굿진짜 지1은 해도 해도 끝이 없네요.. 새로 배워갑니다
그러게요 ㅋㅋ 뭐 계속 새로운 게 쏟아져내리니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