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561601
0 XDK (+0)
-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2 
- 
        
        #공지#국어#독학생 9모 '두 출발' 떠 먹여드림 100 30 
- 
        
        2보 유입을 위한 1보 후퇴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56160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2
#공지#국어#독학생 9모 '두 출발' 떠 먹여드림 100 30
2보 유입을 위한 1보 후퇴인가...
저라면 전자
이유도 알 수 있을까요?
개인적으로 외교관
이유도 알수 있을까요?
판검은 언제나 톱으로 인식되었지않나요. 제가 외교관쪽은 문외한이네요
근데 둘다 탑이라... 일반적으론 판검사를 선호하죠.
일단 두 직군 다 문과 탑급
다만 사법고시가 존재하던 시절에는 법조인 쪽이 더 강세였으나 현재 로스쿨 제도로 전환이 되었고, 외교관 선발은 외무고시에서 외교관후보자선발시험으로 이름만 바뀌었다 뿐이지 5급고시로 1년에 50명도 안되는 인원을 선발하는 지옥의 관문임에는 변함이 없어서 변호사 포함한 ‘법조인’자체로 외교관과 비교하면 당연히 외교관
변호사 제외하고 검사로만 놓고 보면(판사는 어차피 처음부터 못하니까) 지금 기준으로는 둘이 비등비등한듯?
외교관은 불가피하게 이곳저곳 옮겨 다니는데 본인이나 가족들이 그런 생활에 안 맞으면 스트레스 받지 않을까요
대신 외교관 본인 + 그 가족들이 받는 혜택이 개오짐 면책특권 포함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