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요지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461971
White dwarfs (WDs) are the final evolutionary product of the vast majority of stars in the Universe. They are electron-degenerate structures characterized by no stable thermonuclear activity, and their evolution is generally described as a pure cooling process. Their cooling rate is adopted as cosmic chronometer to constrain the age of several Galactic populations, including the disk, globular and open clusters. By analysing high-resolution photometric data of two very similar Galactic globular clusters (M3 and M13), we find a clear-cut and unexpected overabundance of bright WDs in M13. Theoretical models suggest that, consistent with the horizontal branch morphology, this overabundance is due to a slowing down of the cooling process in ~70% of the WDs in M13, caused by stable thermonuclear burning in their residual hydrogen-rich envelope. The presented observational evidence of quiescent thermonuclear activity occurring in cooling WDs brings new attention on the use of the WD cooling rate as cosmic chronometer for low-metallicity environments.
1. 백색왜성은 차갑게 식어가는 죽은 별이다.
2. M13 은하의 중성자별은 M3 은하의 백색왜성보다 빠르게 식고 있다.
3. 백색왜성 내부에 수소가 핵융합을 일으킨다.
4. 백색왜성의 표면에 핵융합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5. 백색왜성은 다른 별들의 나이를 추정할 때 쓰인다.
출처는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50-021-01445-6
일부러 수능 영어에서 쓰는 방식으로 오답 선지를 내봤습니당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키 미달 ㅋ.. 쌤 죄송해요
-
머모 출판하시나요 아님 모의고사 인강 신청하면 주는건가요?
5?
사실 선지만 읽어봄
백색왜성으로 시간 추정하는걸 재고해봐야한다 아닌가요?
답은 4
캬
Residual envelope가 판단근거인거죠?

Yep
자, 그럼 1,2,3,5번이 왜 틀린지 찾아봅시다.1 죽은 별이 아닌 별의 마지막 진화 단계
2 M13이 천천히 식는중
3 그냥 틀림
5 틀린 말은 아니지만 이게 틀릴 수 있다는 attention을 부르는 연구가 있다<<이게 요지

ㄴㄴ 은근 다릅니다.1. 맞음.
2. M13과 M3의 '백색왜성' 비굔데 한 쪽은 중성자별 얘기하고 있음.
3. 백색왜성 '내부'가 아닌 '표면'에서 핵융합 가능성이 있댔죠.
5. 백색왜성을 통해 '은하'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는거지 '별'의 나이를 알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이런 식으로 기출도 오답선지 지워가보세요.
ㄷㄷ 5번을 아예 놓쳐버렸네요 2번은 중성자별을 백색왜성으로 혼자 고쳐읽었,,,
기출도 이런 근거가 다 있어요?? ㅎㄷㄷ하네 한번도 안해봤는데..
4
사실 유튜브 영상 봄 ㅋ.ㅋ
4같은데 단어 넘어려움ㅜㅜㅜㅜ문장구조는쉬운데

자, 그럼 오답 선지를 반박해봅시다. 1,2,3,5번이 틀린 이유는?new attention on > new attention to?
사실 별 상관 없어요 ㅋㅋㅋ 한국인이 세상에서 제일 이런 거 잘 잡아냄 ㄹㅇ ㅋㅋㄱㅋㅋ
애옹 ㅠㅠ Obsessed with grammar, a Korean monkey I am...
2
에잇
단어 70퍼는 모르네
어 이건 좀 큰일인데
vast
characterize
thermonuclear
chronometer
constrain
galactic
globular
cluster
overabundance
residual
observational
quiescent
metallicity
몰랐어요
모를법한 단어들 아닌가요?

4개 빼곤 수능 단어vast
characterize
constrain
galactic
globular
cluster
overabundance
residual
observational
이 정도는 필수 어휘입니다....외우십쇼...
네..
사실 여기 단어가 기존에 알고있던 단어가 어렴풋이 보여서 대충 뇌피셜로 이러겠지하고 단어뜻 추측해서 풀었는데 ㅎㅎ;
다시보니 형용사형이군여
답은 4 유투브 보고오

지식보관소 예전에 보던 채널이었는데요재 : 노예 곹곹

응애 나 아기감자답은 댓 보니 맞은거 같은데 단어 다몰라서 해석이 반도 안되네 단어 해야겟서..

요지는 ... 이쑤시개?
?!
이쑤시개를 요지라고도 부르기도 하는데...(정확히는 일본어에서 왔다고 함)
ㅈㅅ합니다.
오늘따라 힘들어서 잠깐 정신을 놨습니다.
hydrogen-burning이나 silicon-burning 처럼 특정원소는 많이 봤었는데
핵융합 자체는 thermonuclear 이라 하네요 생각해보니까 첨봤네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