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실시간 시행 1) 시행 사이트 : OrbiQ 2) 2017년 8월 29일...
-
[행키] 17EBS 수특 화1 분석(3단원) 및 적중 사례 5
*해당 단원을 한바퀴 돌리고 나서 보시길 권합니다. p110 #5 '가연성'과...
-
[행키] 2016 수능 화학I 총평 및 적중 사례 (데이터 주의) 27
안녕하세요. 화학 문제 만드는 행키입니다. 2016학년도 수능을 위해 저도 열심히...
-
HX는 1몰에 6개 들어있고, HY는 1몰에 8개 들어있는 건가요? 둘 다 6개라고...
-
갓와부님과 갓행키님 탓은 아니지만 기다리는입장으로써는 좀 그렇네요 ㅠㅠ 어서빨리 오길...
심지어 저거도 균형을 위해 문과 뽑는거 ㅋㅋ
요즘 학벌 정말 의미없음. 하
이왕이면 좋은게 좋은거긴 한데 단순 학벌가지고 목숨거는 시대가 지나긴 한거 같음
근데 삼성 네이버 이런 쪽은 문과가 할 일이 없는 거 아님? 미술 쪽이 더 경쟁력 있을 것 같은데 저쪽은
삼성 lg 네이버 현대 sk 빼고나면 대기업 질이 확 떨어짐 그리고 그 나머지마저도 이과를 더 뽑음
다 이공계 선호할만한 회사들 같은데 그냥 카카오도 마찬가지겠고
그나마 신세계 현백 농협? 여기는 계열 상관 없어 보이는데 여기도 실상은 그냥 마찬가지려나
문과인데 취업 생각 강하면 이과쪽 복전해서 취업하는 경우도 꽤 있는 것 같아요 물론 이공계 복전 안하는 사람이 더 많겠지만
문과생이라도 코딩이나 데이터사이언스적 역량 갖추고 있으면 취업할 때 딱히 차별받는 일은 없을 듯
문제는 그런 문과생이 얼마나 되냐는 거지
이게 맞다
저 이상이라네요. 대기업 팀장닝 이야기들어보니 심지어 경영지원 인사 이런쪽도 공대출신 뽑아서 가르쳐서 쓴다네요. 지잡공대라도 포트폴리오갸 회사 기술연구랑 맞으면 그사람 뽑는게 자연스럽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