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은N수생의도시 · 459169 · 13/11/01 21:50

    3번은 회전관성이 아니라 각속도 아닌가요..? 아무래도 지면에 계속 부딪치다 보면 시간당 회전량도 줄테니깐요..

    전 오히려 4번의 경우 쇠공의 질량요소가 플라스틱공에 비해 회전축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거라고 생각해서 4번에 더 끌렸다는..

  • Finnochio · 423891 · 13/11/01 21:57 · MS 2016

    뭔가 해서 찾아봤네요
    걍 읽으면 알 수 있지 않나요?
    시험장에서도 별로 고민했던 기억은 없네요
    3번과 4번 모두 회전 관성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 4문단에서 회전 관성을 설명하면서 대놓고 거리가 멀수록 회전 관성이 커진다고 말하고 있고, 4번 선지는 크기와 질량이 같은 공을 상정하고 있으니 당연히 속이 빈 철공의 회전 관성이 더 클 것이라고 생각해야죠.

  • 아니뭐그냥 · 417735 · 13/11/01 22:28 · MS 2012

    결국 '무엇이 회전관성를 작게(혹은 크게) 만드는지'에서
    '무엇'은 회전축과의 거리만 언급됐으므로
    딱 지우셨다는 것이죠?

  • Finnochio · 423891 · 13/11/01 22:36 · MS 2016

    그렇죠.

  • Zman · 363620 · 13/11/01 23:09 · MS 2010

    전 솔직히 이 문제가 오답률이높을거란 생각으을 하지 못했네요
    선지 지워내는데 고민도 없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