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적인마인드 [130789] · MS 2005 · 쪽지

2013-10-30 20:06:46
조회수 456

윤리 고수님들 한수 부탁드립니다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96570

김성묵t가 질문 게시판에 올려도

며칠째 답변을 안해줘서요 ㅜ 미치겠네요...

질문해서 죄송합니다ㅠ 여기 말고는 물어볼데가 없네요...



1. 동학은 서양의 과학 기술을 수용하는것에 찬성 했나요? 반대했나요?

2. 한나라 초기 황로학파는 개념교재에 유가,묵가,명가,법가 등을 통합한 현실적인 학문 이라고
   나오는데요.

   이때까지만해도 도교가 현실에 대한 방관적 태도와 사변철학,신비주의에 빠지지는 않은건가요?
   후한 말기인 오두미교 부터 위와 같은 성향으로 점차 빠진건가요?


3.   [인] 보다 [의]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맹자가 공자한테 한 비난이라는데 이건 무슨뜻인가요?
      맹자는 인보다 의가 중요하다고 본건가요?


4. 불합리한 제도의 개선을 통한 문명 사회를 추구한다
    
     이건 누구의 사상인가요?


5.  예치를 통한 부국강병을 추구한다.

    순자의 예치는 알고 있는데..순자가 부국강병도 주장했나요?
    부국강병은 한비자 아닌가요?
 
6.  ' 현실적 속박을 벗어나기 위해 사물의 본성을 따른다'
     이거는 누구의 사상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선천 · 421142 · 13/10/30 21:20

    동학은 반대하고요
    순자는 부국강병 추구하지않고요
    맨마지막질문은 도가이구요
    2번은 수능에 나오지않는주제라 신경안쓰셔도될듯하네요
    그리고 불합리한제도개선이라고하면 듀이인것같네요

  • 긍정적인마인드 · 130789 · 13/10/30 21:22 · MS 2005

    감사합니다..

    근데 "예치를 통한 부국강병을 추구한다."

    해설지에 예치를 강조한 사람은 순자라고 나오는데..

    부국강병은 틀린거군요...

  • 한선천 · 421142 · 13/10/30 21:2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soooe · 450855 · 13/10/30 23:43 · MS 2013

    2번에서 현실을 벗어난 태도와 사변철학, 신비주의 쪽인 것은 도교 중 죽림칠현에 해당합니다~ 그들은 현실과 동떨어져서 청담론을 즐겼죠 출제 포인트는 아니니 너무 신경 쓰지 마시구요

  • 흠냐... · 77297 · 13/10/31 00:15 · MS 200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