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급물리] 물1 역학 메뉴얼/꿀팁 대방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963805
<1. 등가속도 메뉴얼>
1. 평균 속도 이용하기
2. 공식 적용하기
(예외: 거리가 주어지고 처음 속도와 나중 속도가 모두 나왔을 때, 가속도를 묻는 경우 ==> 3번째 공식으로 바로 해결)
3. 그래프 이용하기
(가속도가 중간에 변하는 경우, 평균 속도를 이용하는 것이 힘들어 보인다면 곧바로 그래프를 그린다. 또는 그래프가 문제에 이미 그려져 있을 때는, 그래프를 이용한다.)
*** 그래프를 이용할 때 주의점 !!!!!
우리는 그래프를 그린 뒤에 대충 보는 것이 아니라, 닮음/합동/넓이 등등 “도형적” 관점에서 접근하기로 하자.
왜냐하면 그게 압도적으로 편하기 때문이다.
<2. 평균 속도의 비율이 나와 있을 때 풀이>
(예시: 걸린 시간이 같은데 이동 거리 비가 주어진 경우)
1. 나중 속도를 미지수로 놓고 그 다음에 평균속도 비를 이용하기
2. 평균 속도를 바로 적기 (5v, 2v 이런식으로)
3. 평균 속도까지 시간 간격이 같다면, v+x, 3v-x 이런 식으로 평균 속도가 중간 시점의 실제 속도임을 이용해서 문제 풀기 ****** 생각보다 굉장히 중요. 이 관점은 풀이 호흡을 상당히 짧게 만들어줌.
예시: 21학년도 6평 12번 (직접 풀어보시고 아래의 손글씨 해설 참고해주세요)
<3. 실이 끊어질 때>
F=ma에서 항상 질량이 일정하므로, ΔF=mΔa을 이용한다.
실이 끊어질 때 끊어진 실의 양쪽 물체를 보면 힘의 변화는 장력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질량 비와 가속도 변화량의 비가 반대이다.
예시는 엄청 많으므로, 실이 끊어지는 아무 문제를 가지고도 풀 수 있다.
예를 들어 19학년도 수능 18번을 보자.
A와 B+C를 잇는 실 p가 끊어졌는데, 처음 가속도가 0이다.
따라서 A의 나중 가속도가 g이고, A와 B+C의 질량비가 1:2이므로 B+C의 나중 가속도는 1/2g임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그냥 눈으로 문제를 읽자마자 ㄱ은 맞다.
<4. 운동량 메뉴얼>
1. 대부분의 경우, 물체 여러 개가 충돌하는 경우 mΔv가 동일하다는 걸 이용한다.
이건 두 물체의 질량 비를 통해 속도 변화량 비를, 아니면 속도 변화량 비를 통해 질량 비를 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물체의 질량비나 속도 변화량 비가 확실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예 충돌 전후 전체 운동량 합이 같다는 것을 이용해야 한다.
2. 운동량 보존 법칙을 순서대로 사용한다는 고정 관념을 버린다.
운동량 보존 법칙은 말 그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경우에 대하여 운동량이 보존되는 경우를 일컫는다.
따라서 충돌이 만약 3번 일어났다고 치면, 보통은 본능적으로 1->2->3 이렇게 순서대로 생각을 할 것이다.
그렇지만 이렇게 해서 문제가 쉽게 풀리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에는 1->3->2로도 생각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오히려 그게 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대표 문제: 210917)
기출의 파급효과 물리학1의 해설은 이렇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1->2->3 풀이)
이 책이 나올때까지는 몰랐는데, 제가 분석하다가 생각한게 1->3->2 풀이입니다.
위 문제 상황에서 m=1, v0=1이라고 가정하면
처음 상황에서 (사람+물체+물체) 전체의 운동량은 4가 될 것입니다.
이제 사람이 물체를 한 번 밀어버린 뒤에는 (사람+물체) + 물체의 상황이 되어,
미지수 두 개를 도입해야 하는 상황이 나옵니다.
그런데 그건 복잡하죠.
(미지수 두 개를 가정하면 원래 복잡해서, 웬만하면 다른 풀이로 풀려고 하는게 맞습니다.)
사람이 물체를 한 번 밀어버린 뒤를 잠시 뛰어넘고, 물체 두 개를 다 밀어버린 마지막 상황을 봅시다.
마지막 상황에서 사람의 운동량은 2/3이므로, 속도와 질량이 같은 물체는 둘 다 운동량이 5/3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두 번째 상황에서도 물체의 운동량이 5/3이므로, (사람+물체)의 운동량은 7/3이 됩니다. 질량이 3이므로, 속력은 7/9이 될 것입니다.
짜잔! 식을 하나도 안 적고 사칙연산만으로 문제가 풀렸습니다! 히히
3. 힘과 시간이 엮여 있을 때는 “무조건” 운동량-충격량의 관계 mΔv=FΔt를 떠올린다.
이렇게만 보면 쉬울수 있지만, 만약 전반적인 문제 양상이 일-에너지처럼 보인다면 이걸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19수능 14번이 있다.
<5. 용수철 메뉴얼>
1. 힘의 평형식 적기
힘의 평형을 이루는 지점을 찾은 후에, F=-kx를 이용하여 mg=kd처럼 힘의 평형 식을 적는다.
2. 역학적 에너지 보존식 적기
문제에서 용수철이 압축되어 있다가 풀린다거나, 당겨져 있다가 압축된다는 식의 변화가 나올 것이다.
그걸 전후로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식을 적는다.
이렇게 식 두개만 결론으로 도출해내면 모든 문제가 풀린다. 진짜다. 하나도 어렵지 않다.
그런데, 앞서 나온 1, 2번이 잘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다.
물체가 수직/빗면 등등 평면에 있지 않을 때는 탄성 퍼텐셜 에너지와 중력 퍼텐셜 에너지를 모두 고려해야 하는데,
그게 복잡하기 때문이다. (퍼텐셜이 두 개가 엮여있기 때문)
이럴 때는 평형점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건 6번에서 설명할게용
<6. 용수철 평형점>
1. 평형점 찾기
용수철에 연결된 물체들 중 수직 또는 빗면에 위치한 물체의 중력과 용수철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을 “평형점”이라 하자.
2. 그 위치가 사실은 용수철의 원래 길이였다고 생각하자.
3. 그러면 원래 수직 또는 빗면에 있던 물체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변화를 무시할 수 있다.
(사실상 평형점이 익숙하다면, 앞서 5번에 쓴 용수철 메뉴얼을 모두 간단하게 압축시킬 수 있는 셈이다.)
<7. 용수철 평형점의 특징>
1. 물체가 평형점을 지날 때는, 퍼텐셜 에너지가 0인 셈이므로 이때 운동 에너지가 가장 클 수밖에 없다.
2. 용수철에 연결된 물체가 왔다갔다 하면, 그 진동의 중심점이 평형점이다.
3. 평형점은 중력과 탄성력이 평형이 이루는 지점이다.
**** 주의점!!!!!!!!! 평형점은 "중력"과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이다. 제발 이걸 인식하자.
그리고 왜 평형점을 쓰냐면!!!!!!!!!!!!!!!!!!!!!!!!!!!!!
퍼텐설 에너지가 두 개라서 복잡하니까, 그걸 하나로 묶기 위함이다.
목적도 절대 까먹으면 안된다 !!!!!!!!!!!!!!!!!!!!!!!!!!!!!!!
반응이 괜찮으면 평형점 관련해서 문제에 적용도 해보고, 칼럼을 더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역학 꿀팁이 좀 더 있긴 한데, 제일 중요한 것만 뽑아서 추려봤어요 ㅎㅎ
그럼 다들 파이팅입니다! :)
0 XDK (+10)
-
10
-
굿바이 굿나잇 3
즐거운 하르 신나는 하르는 이제 끝났다 즐겁지도 않고 신나지도 않는데 왜 쓰고 있냐...
-
인민만세 0
인천시민만세
-
굿나잇 1
잘자
-
잘려고누워있는데 머리속에서 드럼 사운드체크하는소리가 끊이질않음... 자꾸 탐이랑 햇 칭칭칭 치는중
-
난 팀플과제는 3
ppt 만드는게 좋은데 근데 왜 내가 자료조사하고 보고서쓰고 ppt까지 만들고 있냐?
-
제가 입시판을 오래 떠나있어서 전형요강 정리해 두신걸 읽어도 도통 감이 안오네요...
-
생각해보니까 작년28번도 좋앗늠 내년이 기대되는걸 같은분이출제하셧을수도잇나
-
잠이안와 1
.
-
자야되는데 9
하
-
신기하다 46
스다밤 본인인데 올만에 들어와서 제 닉을 검색해봤는데 3년이나 지난 지금 아직 절...
-
요즘 이틀에 한번씩 자는중
-
의사의대생 커뮤에는 쓰고싶지 않은데
-
리스펙 ㄹㅇ 간만에 물건보네
-
6평 목표 7
국어 1등급 수학 100점 영어 2등급 탐구 33
-
레어 싹쓸이 0
국기 레어들 일단 눈에 보이는 거는 다 산 것 같네요~
-
보이스톡이나 사진으로 여자인거 인증 안하면 절대 안 당해주더라 ㅋㅋ
-
메인 머임 2
이제봣네ㅋㅋㅋㅋ
-
11911 2
되려나
-
시립대 뱃지를 달고 있었어서 나에게 시립대는 의미가 있었지
-
열심히 하겟습니다.
-
그리운 오르비언 0
연공알파남지망생
-
안녕하세요 성균관대학교에 재학중인 사람입니담.. 설문조사를 해야하는데 사람이...
-
화해하고나서 더 좋아졌어
-
모두가 그러니까
-
한교시는 수면이고 물론 내가 정한거임
-
흐흐흐흐
-
어차피 정시고 수시 필요없긴 한데 수시러들 내신 미적 1등급 한 자리 뺐어먹는 거 개꿀잼 ㅋㅋ
-
牛步萬里 1
한걸음 나아갑시다.
-
행특은 입시 이후에 마감이라서 본 적이 없는데 보면서 우는 중 막줄보다 중간에 웃픈...
-
1.퇴학위기썰 2.사채업자썰 3.군대 상병 전역썰 4.KTX 할배 맞짱썰 5.중딩때...
-
국영수 454 한국사4 통사4 통과 1
-
인정하죠
-
10번을 아예 모르겠어요 손풀이로 된 해설을 봤는데 사고과정이나 풀이방법 자체가...
-
아파도 계속 반복하죠 I can't stop lov3 lov3 lov3
-
수학 질문 1
한완기 2회독 -> 스블 -> 다시 기출로 실전개념 적용 이거 ㄱㅊ?
-
D-45ㅇㅈ 3
오르비 잘자요~~
-
예상댓) 3년동안 오르비 쳐박혀있네 ㅉㅉㅉ
-
탐구 과목 추천 2
현재 고3이고 지구과학은 지질시대까지 끝냈고 사탐은 노베입니다 사문을 지금부터 하는...
-
고마움
-
친구가없다 7
진짜친구가없다 나는개똥벌레
-
이왜진?
캡쳐했습니다 글 내려주세요
꼬북꼬북
++) 평형점을 지날때 속력이 가장 빠른 것을 생각하는 또다른 견해!
평형점은 합력이 0이 되는 지점, 즉 가속도가 0이 되는 지점이고
가속도를 적분하면 속도가 나오므로, 평형점을 지날때 물체의 속도는 극댓값을 찍게 됩니다.
따라서 그때 속력이 가장 빨라요!
물리추

물리컷 또 높아지겠네 흑흑 그래도 개추여기나와있는 팁들 전부 파급책에 있나요??
파급효과를 보지 않는 물리러들이 없기를
용수철 문제에서
힘(합력)-거리 그래프 활용법도 올려주실 수 있나요..??
물리최고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됐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