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력이 독해를 쉽게 한다 (예: 주형DNA)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908060
1
성적이 낮은 학생들 중에는 어휘의 뜻을 몰라서
지문을 잘못 이해하거나 문제를 틀리게 되는 경우가 제법 있습니다.
제가 겪었던 가장 충격적인 사례는 '정미소'를 사람 이름으로 착각한 경우였습니다.
[사례1] 정미소 = 여성 이름?
윗글은 염상섭이 쓴 소설 『삼대』의 중간 줄거리입니다. 조부(할아버지)가 아들 상훈을 건너뛰고 손자인 덕기에게 재산을 물려줬는데, 정미소를 두고 아들과 아버지가 다투는 내용이 전개됩니다. 딱히 어려운 부분이 없죠? 그런데 어떤 삼수생과 상담하다가 저는 깜짝 놀랍니다. 그 학생은 ‘정미소’를 여자 이름으로 이해한 것입니다. 그래서 윗글을 읽으며 다음과 같이 생각했다고 합니다.
“할아버지의 첩인 정미소가 얼마나 예뻤으면, 아들과 아버지가 서로 차지하려고 한 걸까? 어쨌든 소설은 아들, 아버지, 정미소 이 셋의 삼각관계가 중요할 테니 이를 중심으로 읽어나가자!“
(이게 왜 웃긴지 이해가 안 되는 학생이 없길 바랍니다...)
2
어휘력이 좋은 학생들은
어휘력을 바탕으로 낯선 지문도 좀 더 수월하게 읽어나갈 수 있습니다.
일례로 올해 6월 모의평가 PCR 지문에 '주형'이라는 단어가 나왔습니다.
[사례2] 주형 = 주 brother?
주형 DNA란 시료로부터 추출하여 PCR에서 DNA 증폭의 바탕이 되는 이중 가닥 DNA를 말하며,
_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14~17번 지문
이때 주형의 뜻을 몰랐던 학생들은, '주형 DNA'라는 단어와 그 뜻이 한번에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겁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기억해야 할 머릿속 짐일 뿐이죠.
반면 주형의 뜻을 알았던 학생들은, 단어로부터 뜻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으므로, 지문을 더 빠르게 읽고, 쉽게 기억할 수 있었을 겁니다. (혹 '주형'이 무슨 뜻인지 모른다면, 진지하게 아래 영상을 봐주세요. 54초밖에 안 됩니다.)
물론 '주형'의 뜻을 안다는 게 그렇게 대단한 어휘력은 아닙니다. 이미 시험에 몇 차례 나온 적 있으니까요.
이 기술은 한 쪽에서 판유리의 원료를 주입하면 다른 쪽으로 액체 유리가 나와 주형(鑄型)으로 가도록 탱크가마를 설계함으로써
_2005학년도 수능 33~36번 지문
반죽 상태의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부어 경화시키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_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 25~30번 지문
사람에게 직접 석고를 덧발라 형태를 뜨는 실물 주형 기법
_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 16~19번 지문
3
저는 어휘력이 독해를 쉽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결국은 어휘력'이라는 책을 내기도 했고요.
그런데 이런 책은 응급처치용이고,
더 중요한 건 모르는 단어가 나왔을 때마다 사전을 찾아보는 습관입니다.
사실 6평 칠 때 '주형'이 뭔지 알았냐 몰랐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수능 때 '주형'이라는 단어가 안 나오면 그만이니까요.
근데 시험칠 때 '주형'이 뭔지 몰랐던 학생들 중,
시험 끝나고도 '주형'을 사전에서 찾아보지 않았다면
이건 심각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모르는 단어 만났을 때
사전에서 찾아보는 습관을 들이길 바랍니다.
국어지문뿐만 아니라, 다른 과목, 신문기사, 유튜브 등
어디서든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대충 지나치지 말고
꼭 국어사전을 찾아보세요.
그런 사소한 습관이 시험장에서 한 문제 더 맞히게 해줄 겁니다.
사례3. 기꺼워 = 역겨워?
선택지 ①이 적절한지 쉽게 판단이 되나요? 굉장히 쉬운 문제인데 의외로 많은 학생들이 틀렸습니다. 선택지의 ‘기꺼워하다’가 무슨 뜻인지 몰랐기 때문입니다. 어감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라도 판단하기 위해 "기꺼워, 기꺼워, 기꺼워" 발음을 하다 보니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띠꺼워’, '역겨워'였고, 그래서 부정적인 뜻이라고 생각한 학생들이 매우 많았습니다.
하지만 ‘기꺼워하다’는 기쁘게 여긴다는 뜻입니다. “다른 사람도 아니고 네 부탁인데 기꺼이(=기쁘게) 해줘야지!” 할 때의 ‘기꺼이’와 사촌관계에 있는 단어입니다. 어른들은 익숙하게 알고 있지만, 학생들은 놀랄 만큼 잘 모릅니다. 그래서 이 쉬운 문제를 틀렸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절대 오르비 접속이 뜸해진 참에 도망가려는데 아님 ㅇㅇ 절대 오르비보다...
-
ㅍㅅㅌ 일반고 내신 2.3인데 모고는 지금까지 한번빼고 올 1이고 이번 3모 국수영...
-
일단 난 개념베스트 강좌는 발췌독으로 들음 그리고 CSAT 완강, DEEP 강의...
-
이번3모 화작80(화작 2틀) 미적1컷 영어3 탐구 1 3인데 탐구 3등급인건 아직...
-
졸업생인데 주소지 타지역에서 볼 수 있나요?
-
아예 전범위맞나요??
-
권위에 추가적인 어드벤티지가 없네 캬캬
-
시대컨 질문 1
엑셀 공통 ㄱㅊ음?
-
아마 없긴 할 것 같은데 찾으시면 ㄱㅅ.
-
영어 기출에 모르는 것부터 외워보세요 단어장을 따로 두면서 외우기 시작하면 분명...
-
잇올 쉬는시간도 참아보고 집에 와서도 참아볼게요 수학 2까지 올렸는데 여기서 더...
-
n제 추천 0
3모 공통1, 확통1틀인데 n제 볼텍스, 드릴, 4규, 펀더멘탈 n제 중에뭐가 좋을까요?
-
그날부터 운동시작할게
-
잇올은 무조건 올라인 신청만 되는거예요? 직접가서 신청 못함?
-
오늘 수능 국어 노베이스 친구에게 수능 국어를 잘 볼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주고 왔습니다 히히
-
는 옛날에 올린거 Max{3x, 2y}=5 Mid{3x, 2y}=3 Min{x,...
-
삶이판타지
-
뭐가 제 아이덴티티를 대표한다 생각하시나요?
-
뉴런언제해요 3
지금 수분감 반정도 했는데 뉴런이랑 병행해도 될까요 아니면 걍 수분감 1회독다하고...
-
올해 차영진 N제게임 어타 저만 좀 쉬운 거 같나요 0
공통은 무난했고 미적은 적분빼곤 괜찮았음 문제퀄은 근본적이면서도 낯설어서 다 좋은듯...
-
쉬울수도?
-
닉 추천받음 4
앙망
-
그냥 쉬지않고 쳐먹는거같은데
-
오르비 정도야 뭐
-
치킨 먹고 싶다 0
지금 먹으면 소화 안 될 듯 ㅜㅜ
-
외대만 까이는게 아니라 경희대도 이젠 뭐 동국,홍익대한테도 쳐발리는데 중건시동...
-
3모 때 미적 27번부터 4개 틀렸고 뒤에 2 3단원은 더 자신이 없어서 확통할까...
-
질문받음 7
없으면 자러감
-
이번 3모 수학이 작수보다 어렵다는 평이 많은데 이번3모가 실제 수능이었다면 등급컷 어느정도일까?
-
진짜 대체 왜 존재하는지 모르겠다
-
예전에 풀었을 때 한번 낚였었는데 또 낚임.. 아 백옥루 보면서 깨달은거구나 ..
-
군침이 피젯스피노 24
-
4덮까지 쉴까 8
비호감 게이지도 줄겠지 그러면 성적도 올리고오면 더 좋고
-
눈팅만 하다 글써봅니다 잘부탁드려요!
-
뭐지 수1은 이해원 시즌2로..? 샤인미 풀고 풀려 했는데
-
쌍사 0
쌍사 작년 기준으로 3등급이면 탐구 그냥 다른 거로 옮길까요..?ㅠㅠ
-
컨셉질 끝 4
좋은 밤 보내세용
-
김승리 커리탔는데 문학은 ㅈㄴ좋은데 비문학은 현장에서 못써먹겠음 메가대성 둘다있는데 ㅊㅊ좀
-
방송 보고싶다 1
돌아와 푸바오
-
11모 성적유출 사태 이후로 아예 5월에 내나 보네 한번만 그럴줄 알았는디
-
나는 사람들 못속이겠네..
-
휴릅 쉽지 않다 9
사는데 재미를 느낄만한게 너무 없다 요즘은
-
흠...
-
작수 39고 사문은 작수 때 지나치게 꿀이어서 낌새 이상해서 배제할 거임
-
깝치지마 12
자러갈거니까
-
확 풀어버릴라니깐
-
학교 1년 다니다가 군대다녀오고하면 5수쯤 나이쯤 됨
-
제 전닉 아시는 분 14
전생닉이라도
-
흠
-
담임이 공동체를 위해 노력해라~ 이렇게 은연중에 세특에 꼽써놨던데 이거 영향...
국어의 기술 잘 보고있습니다.ㅎㅎ
선생님 어휘력에 관하여 한자 학습이 도움이 된다는 모 유튜버가 있던데 이에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저는 다음과 같이생각합니다. 혹시 몰라서 영상설명에 있는 헌재 판결문도 인용해둡니다.
7강. 한자공부 필요없다! [부모의 어휘력이 자녀의 이해력]
https://youtu.be/VEXyQYIDDwM
“한자어는 굳이 한자로 쓰지 않더라도 앞뒤 문맥으로 그 뜻을 이해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낱말에 담긴 뜻은 결국 그 단어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실제 생활에서 그 단어를 사용하는 과정을 통해 정확히 이해하게 되는 것이므로, 그 낱말이 한자로 어떻게 표기되는지를 아는 것이 어휘능력 향상에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고 보기 어렵다. 독해력이나 사고력의 향상도 근본적으로는 꾸준한 독서와 다양한 경험 등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한자지식이라는 하나의 요소가 학생들의 독해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_국어기본법 제3조 등 위헌확인 [전원재판부 2012헌마854, 2016. 11. 24.]
2
한자뿐만 아니라, 뭐든지 공부하면 다 어휘력에 도움이 됩니다. 그런데 수험생에게 가장 중요한 자원은 시간입니다. 그런 점에서 어휘력을 위해 한자를 우선순위로 공부한다는 건........ 여기까지만 말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헌재 판결문에 다 답이 나와있기도 하고요.
국가공인 3급 딴 학생인데 확실히 도움 됩니다. 근데 어휘력 때문에 중3, 고등학생때 그걸 시작하는 건 효율이 별로라 생각합니다.
기꺼워는 처음 알았네요..ㄷㄷ
보자마자 "껄끄러워"랑 어감이 비슷하다고 생각했는데 정반대였구낭

주형을 제외하고는 많이 보던 사례들이네요아 정미소 보고 현웃터졋어요ㅠㅠ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