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에 대한 나의 이해-[품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888456
수능 국어의 기본인 단어[품사]에 대한 나의 이해를 적었습니다.
단어[갈래]
단어는 세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단어는 형태로서 뷸변어, 가변어로 나뉜다
기능으로서 체언,용언,수식언,독립언,관계언으로 나뉜다.
몸의 기능을 해서 체언
활용될 수 있어서 용언
수식하는 기능을 해서 수식언
독립적인 기능을 해서 독립언
단어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해서 관계언
의미로서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용언
세 가지를 조심하자
1.동사/형용사 구분
동사는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가능
2.본+본용언, 본+보조용언
본+본은 뛰어씀
본+보조는 뛰어씀, 다만 붙여쓰기 가능
본+보조는 사이에 ‘-서’나 다른 문장 성분 못 옴(워낙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가 긴밀해서)
정확히는 ‘못 옴’보다는 ‘의미가 바뀜’이 맞다.
본+보조에서 ‘서’나 다른 문장 성분이 올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인과관계같이 의미가 바뀌니까 안된다는 것이지.
3.용언의 활용
용언=어간+어미
어미는 두 가지로 나뉜다.
1.어말어미
2.선어말어미
여기서 어밀어미는
1-1.종결어미(말을 끝내는)
평서형: -오(하오체, 격식높임)
의문형: -오(하오체, 격식높임)
감탄형
명령형:-오, -시오(하오체 격식높임), -십시오(하십시오체 격식높임)
청유형:-시지요(하십시오체 격식높임)
Q.왜 종결어미 설명하는데 –오,-요를 설명하는가?
조결어미 ‘-오’는 ‘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
대등적 연결어미 ‘-이요’와
비격식 높임 해요체에 쓰이는 보조사‘-요’와
발음이 헷갈리기 때문에
종결어미에 ‘오’
대등적 연결어미에 ‘-이요’
비격식 높임 해요체 보조사 ‘요’를 미리 알아두자.
1-2.전성어미(성질이 변하는)
명사형 전성어미:-(으)ㅁ, -기
관형사형 어미(시제가 있음):-(으)ㄴ, -는, -(으)ㄹ, -던
부사형 어미:-게, -도록
1-3.연결어미(연결 시켜주는)
대등적 연열어미(대등적으로 이어진 문장, 인과x)
종속적 연결어미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인과o)
보조적 연결어미(본+본/보조용언)
2.선어말 어미
2-1높임
2-2시제
았었시는겠더
규칙활용과 불규칙 활용
규칙활용에는 두 가지가 있다.
1.모습이 바뀌지 않는 경우
1-1:먹어, 먹니, 먹자
2.바뀌어도 설명 가능
2-1:이중모음화(모음 축약)
가리다, 두다, 되다
2-2:ㄹ탈락, ㅡ탈락, 동음탈락
울다(cry)->우니, 살다(alive)->사니 날다(fly)->나니
쓰다, 끄다
가아->가(동음 ㅏ탈락), 서었다->섰다(동음 ㅓ탈락)
불규칙 활용은 어간이 바뀌는지 어미가 바뀌는지를 기준으로
세 가지로 나눈다.
시다바리ㅠ 열어 헿
(욕설 버전)시발롬들아 열어 헿
ㅅㄷㅂ르우 여러 ㅎ
1.어간이 바뀌는 경우(어간이 “ ”물규칙‘에서’ 바뀐다)
ㅅ탈락
ㄷ->ㄹ
ㅂ->ㅗ/ㅜ
ex)돕다
르->ㄹㄹ(어간에 받침 ‘ㄹ’이 생긴다고 생각하면 ‘러’불규칙과 혼동x)
ex)부르다(call)+러->불러, 이르다(yet)->일러, 이 사냥터는 너에게 아직 일러
2.어미가 바뀌는 경우(어미가 “ ”불규칙‘으로’ 바뀐다)
어미가 ‘여’로
어미가 ‘러’로
3.어간과 어미 둘다 바뀌는 경우
ㅎ불규칙
<사람들이 불규칙인줄 알고 혼동하는 규칙활용들>
벗다, 솟다, 묻다(땅에)->묻어, (값을)치르다->치러, 주다->줘, 막다->막아, (집에)들르다->들러
관계언
조사는 세가지로 나뉜다.
1.격조사
주격:이/가,께서,에서
서술격:이다
목적격:을/를
보격:이/가
관형격:의
부사격:에게,에서,에,로,와/과,
로서 로써 처럼 같이 보다 만큼
(로서처럼 같이 본 만큼)
장소 부사격 조사:에게,에서,에,로
비교 부사격 조사:와/과,처럼,같이,보다,만큼
도구 부사격 조사:로써
자격 부사격 조사:로서
원인 부사격 조사:에,로
변성(바뀜) 부사격 조사:로(A에서b로)
인용 부사격 조사:고,라고
호격 조사:아/야,이시여,이여
2.접속조사
문장체:와/과(부사격 조사와 혼동x)
구어체:랑/이랑
<‘와/과‘가 부사격조사인지 접속조사인지 구분하는 법>
문장을 나눌 수 있으면 해당문장을 겹문장이고, 접속조사 쓰인 것
나눌 수 없으면 해당문장은 홑문장이고, 부사격조사 쓰인 것
ex)나는 국어와 수학을 잘한다
나는 철수와 비슷하다
나는 철수와 축구를 하였다.
3.보조사
엄니는 만두부터 마저 까지요
은/는, 만, 도,부터, 마저, 까지, 요
수식언
관형사와 부사
관형사
1.지시 관형사
2.수 관형사
3.성상 관형사(성질과 상태)
↘옛헌새 아 ↗이그저~ 아 ↘한두세~ 다른↗여느↘어느↗ 온갖↗모든
부사
성분 부사(위치 자유롭게 옮길 수 없다),문장의 한 성분이 되어서 위치 움직일 수x
성상부사 아주, 잘
지시부사 이리, 곧,요즘
부정부사 안/못 -> 안 부정문, 못 부정문
의성/의태부사->의성어, 의태어 ->현대시에서 찾을 수 있어야 함
문장 부사(위치 자유롭게 옮길 수 있다).문장 자체를 꾸며주는 부사라 위치 움직일 수 o
양태부사(양상과 태도),과연(나루호도) , 접속부사,츠기만, 하지만, 게다가
체언
명사
자립성의 유무, 사용되는 범위, 감정 표현 여부
자립 명사
의존 명사(관형어가 필요 홀로 쓰일 수 없음)
고유 명사
보통 명사
유정 명사(사람과 동물)
무정 명사(식물과 무생물)
<’의존‘이란 말에 ’의존형태소‘와 혼동주의, 의존명사도 ’명사‘라서 자립형태소이다>
++)이제 어미, 조사, 의존 명사에 대해 배웠으니 이를 응용해서
사람들이 자주 혼동하는 조사, 어미, 의존명사를 배워보자
바 뿐 만큼 데 대로 지 만
나는 “바쁜만큼 손대(로)지마”라고 외운다.
바쁘니까 손대지망!
(1)’바/-ㄴ바‘
의존명사/연결어미
(2)뿐
의존명사/보조사
(3)만큼
의존명사/비교부사격조사
(4)데/-ㄴ데
의존명사/연결어미
(5)대로
의존명사/조사
(6)지/-ㄴ지,-(으)ㄹ지
의존명사/연결어미
(7)만
의존명사/보조사
의존명사는 체언의 수식을 받고, 조사가 붙을 수 있다.
연결어미는 어간과 붙어있다.
(심화), ’-ㄹ지, -ㄴ바, -ㄴ데‘와 같은 연결어미를 볼 때,
ex)
되다/될지, 된바, 된데 같은 경우
되다/되지, 되바, 되데 가 말이 안되기 때문에 어간의 받침에 어미가 포함됨을 알 수 있다.
보다/볼지, 본바, 본데
이다/일지, 인바, 인데
도 마찬가지 이다.
조사는 체언에 붙는다.
위의 의존명사/연결어미/조사의 성질에 근거해 띄어쓸지 말지를 알 수 있는데
가끔 위의 원칙을 알아도 의미를 모르면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몇 개는 의미도 외워야 한다
(!)만
시간,횟수 의미이면 의존명사
제한, 강조 의미이면 보조사
(2)지/-ㄹ지
시간 의미이면 의존명사
궁금 의미이면 연결어미
(3)바/-ㄴ바
~했더니 의미이면 연결어미
방법이나 앞에 말한 내용 가져오면 의존명사
각각 둘 중 하나만 외워도 된다.
대명사:명사를 대신하는 품사 4가지가 있다.
(1)지시 대명사
이,그,저 (지시 관형사와 똑같은 게 있으니 혼동 주의)
이것 그것 저것(지시대명사+명사’것‘이 합쳐진 합성어)
지시 관형사 ’이‘,’그‘,’저‘ 와
지시 대명사 ;이’,‘그’,‘저’를
구분하는 방법
이,그,저를 이것,그것,저것으로 바꿔서 말이 되면 지시대명사
말이 안되면 지시관형사이다.
(2)인칭 대명사
1인칭:저, 저희
2인칭:당신, 자기
3인칭
(3)재귀 대명사:한 번 앞에 나온 명사를 다시 가리킬 때 쓰임
저, 저희 자기, 당신
**인칭 대명사와 재귀 대명사는 사람들이 많이 혼동하고
심지어 재귀대명사 ’당신‘이 있는 줄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
이를 보여주는 일화로
지난 2021년 5월 14일
국회에서 문정복 의원이 말을 하던 중
존중의 재귀 대명사 ’당신‘ 이라는 말을 썻는데
이 말을 들은 류호정 의원은 ’당신‘을
낮춤의 2인칭 대명사로 알아 들어
곧바로 “당신?” 이라고 소리쳐서
국회가 시끌벅쩍해진 일화가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연합뉴스>류호정 "당신?" 문정복 "야! 감히"…본회의장 고성
https://www.yna.co.kr/view/AKR20210514098900001
기사를 참고하자
(4)부정칭/미지칭 대명사
대상이 정해지지 않아서
아닐 부(不)
정할 정(定)
일컬을 칭(稱)
대상이 누구인지 몰라서(아니 알아서)
아닐 미(未)
알 지(知)
일컬을 칭(稱)
구분하는 법은 쉽다.
문장에서 대명사가 가르키는 대상이 궁금해서 미치겠으면 미지칭
딱히 대상이 정해져 있지 않아서 별로 안궁금하면 부정칭
수사
서수사(차례 서)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
양수사(헤아릴 양)
양을 나타내는 수사
수사와 수관형사의 구분은
체언과 수식언의 구분이므로
’조사‘가 붙을 수 있는지/없는지로 구분한다.
이제 마무리로 문법 단어의 ’품사‘에서 나올 수 있는 포인트 들을 정리하면 끝마친다.
1)동사-형용사구분-현재형 선어말어미
2)본+본/보조 구분, 띄어쓰기 및 ’-서‘나 붙을 수 있는지 없는지
3)주격 조사 ’에서‘와 부사격 조사 ’에서‘의 구분
부사격 조사 ’와‘와 접속조사 ’와‘의 구분
4)수관형사 수사 구분
5)성분부사와 문장부사의 구분
6)자립명사 의존명사 구분
유정명사 무정명사 구분->ex)갈매기도 동물이라 유정명사이다.
7)의존명사 조사 어미를 구분해서 띄어쓰기를 해야하는지 구분
8)지시관형사 지시대명사 이그저 구분
9)용언과 관형사 구분 ->구별법이 있긴 있는데, 그냥 관형사 암기가 더 편하다
10)용언의 활용형 규칙/불규칙 구분
어근이 바뀐 뷸규칙/어미가 바뀐 불규칙 구분- 특히 ’ㅂ‘불규칙은 애들이 어미가 바뀐걸로 혼동함
11)인칭대명사와 재귀대명사의 구분(류호정 의원을 기억하자)
12)부정칭/미지칭 구분
등이 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혹은 일반적인 사람들의 생각과 다른 생각을 하는거 좋게말하면 세상을 바꿀수있고 그럴...
-
서서히 3점부터 쉬4까지 맞출 능력이 되니까 (1~11) (16~19) 이제 13...
-
보기도 꼼꼼히 봐야하나? 보기를 그대로 문제에 내는지 안내는지 모르겠넹
-
선배님들이 반말 안하시고 ㅇㅇ님~ 이렇게 부르심 처음에는..
-
동기일 경우에 ㅇㅇ 먼저 말 편하게 하라고 해야 스타트인가 아니면 그냥 처음부터 편하게 하기도 하나
-
이 글을 보면 서서히 당신의 아이피가 110.12로 바뀌게 됩니다 11
재키와이 손심바 만나고 귀여워진거 같지 않냐
-
열품타키기귀찮아 2
오늘은열품타안할래
-
보통 학벌보단 예쁜 여자선생님이면 ok가 대부분인듯 한데
-
제가 사설 문학은 퀄리티에 대해서 논하기에 부족하기도 하고, 딱히 복기하거나...
-
현재 공군에 와서 군수를 준비해보려합니다. 내년에 전역하고 27학년도 수능을 응시할...
-
내최애곡
-
현직자들은 별 느낌없겠지
-
너무 메타인지가 떨어지는 것같아요 1등급인줄 알았는데 3등급이고 4등급인줄 알았는데 2등급이고
-
옯찐따라 안끌릴 것 같긴 함
-
다이카 개신은 645 다이카 갸신은 645 일본 천황 칭호 7세기말 자 요 건국 송...
-
수능보고 일하다가 2월부터 시작했는데 오른게 맞을까요,, 무보정보니까 너무 처첨한데
-
정석민이면 모를까
-
생각했는데 대학만 다니면 시간 남음 공대여도 풀공은 2주전에 하는게 정배인지라 그냥...
-
현생에서 깔거 없으니까 나이가지고 후려치는새끼들은 어이가없음 오빠 나 오빠보다 5살...
-
1. 그래서 내가 뭘 잘못했는데? 2. 처음부터 관상이 쎄했어 3. 내가 이런 거...
-
대구사람이라 모르는데 ㅎㅎ
-
수능 3은 못하는 거 아니지만 3모 3은 못하는거맞음
-
꽉잡아~
-
요즘 과외는 거의 다 한완수네
-
문학 시간 하… 0
금방 재보니까 독서는 지문당 6-7분걸리는데 현대소설푸는데 9분, 고전소설 푸는데...
-
어느어느 과목 자신없다고 그거 아예 버리고 다른 과목 집중하겠다 이게 무슨 비겁한...
-
My love 6
다시 사랑해요~
-
대성패스 판매 0
46+ 교재캐쉬 366,500 남아있는데 80에 팝니다. 교재캐쉬만 구매하셔도 돼요
-
진짜 큰일났네
-
초딩들 보면 그냥 애같음 ㄹㅇ 늙어벼렷다
-
물어보면 공부 안 해서 안 힘들다고 구라침 ㅈㄴ 이렇게 하는 거 애들이 아는데 대학...
-
헐 맞다 6
친구 생일 선물로 그림 그려주기로 했는데 내일이 생일임..
-
현 입시메타상 불가촉 천민 이제 저 앞에 ‘나형출신‘까지 붙으면 난이도 3배쯤 오름
-
하 이놈의 인기란...
-
새로 과외 받게 되었는데 과외수업을 수학의정석으로 수학 상부터 나갈꺼라는데 이게...
-
집중하고쓰면 이쁜 담요단 글씨에서 KMO연속3회금상쟁취중등수학천재체 등 다양함
-
고1 첫 중간고사를 치는데 완전 쌩노베 그자체라 기초가 하나도 없어서 수학이 1도...
-
편순이 지금 쪽지 남겨놓고 장실 왔는데 못 나가겠음 7
밖에서 손님이 개빡쳤는지 문인가 벽인가를 코캌ㅎ카ㅏㅇ쾅 치는데.. 나가고 싶어도...
-
오늘은 여기까지 4
좀 쉬자
-
이투스 모의 컷 0
4월 이투스 모고 컷 어디서보나용?
-
글씨잘쓰고싶다 3
글씨좀 깔끔하게 쓰고싶음
-
수능날 까지 N제는 보통 몇개 푸시나요?(1개=수1+수2+선택)
-
수능날 준비물 0
다들 수능날에 국어, 수학 시험전에 뭐 들고가서 보셨나요…? 국어는...
-
사람이 나른해지니까 예전에 불안감과 피해망상에 쫓겨서 미친듯이 공부하던 폼이 안나옴...
-
머리 빨리 굴러가라고..
-
24수능 국어 27번 담쟁이덩굴 이해가 안 가요... 3
4번이 적절하다는 것이 이해가 안 갑니다. 시에서는 '수양 가지'에 대해 얘기하고...
-
얘는 공부랑은 담 쌓으려나 봄...
-
어으윽
-
신발은 깔끔한 더비 여름에ㅡ이렇게 입고다니려는데 어떻게 보심???
와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