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시험지를 뒤적이고 있다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636306
세상에 글을 정말 잘 읽으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어떤 분이 나와 잘 맞고, 어떤 분이 나와 다르고 등등이 있지만 저는 학습을 할 때 남들이 듣는 강의, 남들이 읽는 방식과 차별화되는 지점이 있어야 더 나은 성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읽는 방법은 크게 바꾸기 어렵습니다. 태도를 바꾸는 것은 직접적인 도움이 됩니다. 제가 수업에서 가장 강조하는 부분이자 국어 시험 전반에 중요하게 적용되는 가장 큰 원칙을 말하고 싶습니다.
저는 국어에서 문제를 통해 지문을 보는 것, 문제에서 많은 정보를 뽑아내는 것을 강조합니다. 같은 독해 실력이라도 다른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를 활용하고, 5지 선다의 규격화된 시험을 다루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읽는 것’은 분명 수험 시절 개선될 수 있지만, 우리가 막상 시험장의 긴장되는 상황에서 글을 얼마나 잘 읽을 수 있을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올해 수능장에 가면서 ‘제발 컨디션이 좋아라, 체화가 잘 되었기를’ 기도만 하고 있기는 어렵습니다. 내가 글을 잘 못 읽는 상황이 와도 문제를 통해 이를 매꿀 수 있고, 지문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한 첫 원칙은 정답일 가능성이 높은 선지부터 접근하는 것입니다. 어쩌면 당연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적용을 제대로 하지 못합니다. 나중에 올릴 칼럼 등 모든 내용에 적용되는 가장 중요한 원칙입니다.
우리는 지속적으로 국어 시험지를 뒤적 뒤적 거리고 있습니다.
예시)
<기존>
문제, <보기>, 지문이 있다면
① 지문의 내용, <보기>
② 지문의 내용, <보기>
③ 지문의 내용, <보기>
④ 지문의 내용, <보기>
⑤ 지문의 내용, <보기>
이런 구성에서 우리는 보통
1번 선지의 지문 내용, <보기> 보고,
2번 선지의 지문 내용, <보기> 보고,
3번 선지의 지문 내용, <보기> 보고, .....
이렇게 순서대로 쭉 읽어나갑니다.
지문을 뒤적이면서 말입니다. 여러분이 선택률 10퍼센트 이하의 선지를 찍을 확률은 적습니다. 그렇게 모든 선지를 뒤적거리는 것은 비합리적입니다. 당연히 정답일 가능성이 높은 선지부터 확인하고 검증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시간을 줄이는 가장 빠른 길입니다.
<목표>
① 지문의 내용, <보기>
② 지문의 내용, <보기>
③ 지문의 내용, <보기>
④ 지문의 내용, <보기>
⑤ 지문의 내용, <보기>
1) ①~⑤까지 스캔.
그 중 정답의 가능성이 높은 선지를 찾습니다. 그동안 풀었던 문제의 내용, 지문의 정서,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2) 정답일 가능성이 높은 선지부터 우선 확인
예를 들어 2번, 4번 선지의 정답 가능성이 높아보인다면 해당 내용을 우선해서 지문 전체, <보기>와 확인합니다.
3) 나머지 선지 빠르게 보기
나머지 선지를 빠르게 보면서 지문에 대한 이해도를 더할 수 있으면 더합니다. 예를 들어 옳지 않은 문제는 4개의 맞는 선지, 지문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다루고 있는 선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와 함께 정답 및 오답의 근거를 찾아주는 분석을 병행한다면 정확도가 상승합니다. 우리는 시험장에서 모든 선지를 논증할 필요가 없고, 그럴 수도 없습니다. 정답만 찾고, 점수만 챙기면 되는 시험에서 정답을 위주로 생각해주세요.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6모보고 나서 진짜 너무재밌을듯 오르비
-
정신과 가면 0
기록 남으면 못하는 직업같은거 있나요
-
확통런 0
수2 그래프추론?하는 문제 나오면 ㄹㅇ 못풀고 수2 그냥 개버러진데 미적 계속...
-
김기현 현실 4
다른 강사는 호불호 갈려도 김기현 별로라는 사람은 한번도 못봄 ㄹㅇㅋㅋ
-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그리고 이전에 치뤄졌던 수업 강의를 결제할 수 있나요?
-
이미지 강의랑 고민 중임
-
뉴런 아이디어 중 뭐들을까요? 김기현샘 풀커리 타려하는데 수1 뉴런 교재가 있어서...
-
테스트 수준이 어케 될까요..? 저 2등급이라고 말씀 드렸는데도 면접 보자셔서…...
-
유니클로 비엉신 0
돈주겠다는데안받네ㅅ1ㅂ
-
글을 시작하기 앞서, 논리화학님 글들을 보고 감동받아서 정리한것들도 몇개 있으며,...
-
박광일T 문학 훈련도감 말고 다른 강의도 듣는 게 좋겠죠? 0
실력 다듬으려면
-
남친 자퇴생이라 부모님이 반대하면서 맞을래 헤어질래 하니까 맞겠다고 하고 진짜로...
-
진짜 부르기 어렵네... 얘만큼은 목 갈라지더라
-
맞팔구합 4
니다
-
200916(나) 인데 개병신같음
-
화학인가 사문인가 물1은 필수로 할거고 일부러 지금 국수영물만 공부중 화1은 어차피...
-
둘 다 메인감 이거 진짜에요?
-
아니 설수리 3
왜이래?? 하 차라리 설약 목표로 할까 설수리만 보며 왔는데 컷;;허탈하네
-
예 뭐 화1만물어보는 질문방임 필요하면 쪽지해 뭐더쓰기귀찮다 도움은될거임
-
초반엔 괜찮았는데 이번주 어싸가 ㅋㅋㅋ...맵다 매워
-
불수능으로 거의 확정인가요???
-
사탐런하면 불이익이 크진 않을까요? 꼭 공대나 컴공 가고 싶은데 사탐 때문에 문제 생기진 않나요?
-
대구사람입니다.
-
활동 4일만에 저격먹고 심지어 하나는 념글감 ㅎㅎ
-
사탐으로 학부가서 설공가는것도 가능한거임?
-
다들 오랜만이어요ㅎㅁㅎ
-
강기원 스1 0
강기원쌤 미적 스1 언제 끝나는지 아시는 분 있나여?ㅠㅠ
-
금테두리 가지고싶습니다
-
제가 입결표 볼줄은 모르는데 혈육한테 보여줬더니 (혈육 의대 21학번) 예전보다...
-
중앙대 에타 빌려주실 분 계신가요... 재가입이슈때문에.....제발요 눈팅만 할게요ㅠㅠㅠㅠㅜ
-
오늘먹은것 15
국밥과 막걸리 트렌디한 mz푸드
-
이미 체화한 일관된 풀이로 풀어주는 강의는 재미없고 지루하고 내 일관된 풀이에서...
-
상위권 최상위권 할거없이 모두 탈주함->6모 끝->예상 1컷이 43?->꿀통냄새맡고...
-
언제외우지
-
진작 말하지 ㅋㅋㅋㅋ 아니,, 내가 진작 설명을 잘 읽어봤어야하는구낭 히히 먄
-
진짜미치겠음 이틀째아무것도안함
-
씹련들 탕수육 ㅈㄴ 어렵노
-
오늘 봤는데 내가 뭐가 그렇게 싫었지..? 게시글 쓴 것도 얼마 없는데
-
딱대
-
재수하면서 스카에서 공부하고 있는데 제 옆자리분께서 많이 산만하시더라구요 1....
-
미적 파데,킥오프 수2아디어 듣는중인데 진짜 너무 좋네요…..말로 형용할수없음...
-
화1하고싶다 3
지1 노잼임
-
하늘의 기운이 돕길 바라며 오늘도 선업스택 +1 했다
-
3,4 등급 대상으로 할건데 수학 폼 다 죽음 걍 과외 해도 되려나.. 요즘 다시...
-
엠창 20세 개백수생활하다가 여동생에 의해 여중딩으로 TS되어버리고싶엉~~♡
-
수면 6시간 식사 5시간 공부 13시간 이 정도면 상타치겠지 ㅎㅎ
-
남들 레어 NTR해야지 흐헤헤헤
-
역시 야구선수들 하체가 지리네요
-
우웅....

기출분석을 통해 정답일 가능성이 높은 선지를 판단하는 능력 기르기도 필요하쥬네네! 맞아요!!
저도 문학 부분을 풀 때는 작성하신 글과 비슷한 방법을 종종 사용하는 편입니다. 극단적이거나 이질적인 것은 거르고 완곡한 표현 먼저 보는 방법이요. 그런데 비문학을 풀 때는 문학에 비해 선지 하나하나의 길이가 길고 이질적인 표현이 눈에 안 들어오는 것 같아서 이 방법을 사용할 수가 없었는데, 혹시 비문학을 풀 때는 어떻게 선지를 답일 가능성이 높은 선지로 분류해서 먼저 확인하시나요?
비문학은 조금 문제의 종류마다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내용일치 판단 추론 적절한 적절하지 않은 등등에 따라서요ㅠ
선생님!
1.고밀도 지문(BIS, 미트콘드리아 지문등등)
을 읽을때 당연히 머리터지는게 당연한가요?
2.전체풀이 시간에 지문읽는시간은 어느정도로 가져가야할까요?
1번은 당연한 것 같습니다. 애초에 그래야 변별이 되겠죠!
2번은 글을 못 읽고 이해를 못 한다 싶으면 최대한 글을 천천히 읽는 것이 좋습니다. 못 읽을수록 급하게 읽으면 날려치는 것 같습니다. 문제풀이 시간을 줄이려하고 지문 시간은 많이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주는 것 같습니다.
고난도 지문도 무조건 완독하고 푸시나요?
아니면 읽다가 조금씩 푸시나요?
가나형 지문제외하구요!
아 모든 지문은 끝까지 다 읽어야 지문의 흐름을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답변감사해요!!질문 있으면 최근글에다가 질문 자주해도 될까요??
네네!! 시간이 될 때마다 도움이 될 수 있는 답변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긴장되는 상황속에서 얼마나 글을 잘 읽을수 있을까라는 점에 의문점을 던지시고 해결방안으로 정답의 가능성이 높은거 부터 읽으라고 해결책을 이야기 하셧는데 이또한 긴장되는 상황속에서 얼마나 잘 될지 모르는거 아닌가요...?
제가 말한 내용은 긴장되는 상황에서 확인을 전부 하는 것이 아니라 정답인 선지 중심으로 생각한다면 확인해야 할 것이 준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긴장되는 상황에서는 더 많은 선지를 동일한 강도로 읽을수록 더 고민되는 지점이 많아진다고 생각해서요!
시험에서 긴장될 때 집중력이 떨어졌을 때 최선의 대처법은 새로운 글에 올렸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