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dvlf94 [410828] · MS 2012 · 쪽지

2013-10-02 01:10:02
조회수 2,023

정지상 송인 질문이요!!!!! 국어잘하시는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55866

비 개인 긴 독엔 풀빛이 짙은데
그대 보내는 남포엔 슬픈 노래 울먹이네
<대동강 물이야 어느 때 마를 건가>
해마다 이별 눈물 푸른 강물 더하는 것을

에서 <>친 부분이 설의적 표현을 통해 시상의 흐름을 전환하고 있다는 것을 무슨 근거로 판단 할 수 있나요??.. 시상의 흐름의 전환이라는 것은 정서가 바뀌었을 때 쓰는것 아닌가요? 계속해서 슬픈 상황인데 흐름의 전환이라는것이 이해가 가질않네요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一生懸命 · 462500 · 13/10/02 01:13 · MS 2013

    선경후정이라 그런거 아닌가요??
    정서변화만이 시상의 흐름 전환이라고할 수 없어요

  • whdvlf94 · 410828 · 13/10/02 01:23 · MS 2012

    구체적으로 선경후정부분이 어떻게 나타나나요?

  • 메이렌 · 291092 · 13/10/02 01:24 · MS 2009

    간단무식하게 보면 한시중 절구(송인은 7언절구)는 기승전결로 이루어지는데, 기의 내용을 승에서 더 고조시키고, 전에서 흐름을 전환시켜, 결에서 결말을 맺는거에요.

    여기서 흐름의 전환이라는 게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정서의 전환(시 중간에 그러나 나오면 무조건 튀어나오는 그런 식의 정서의 전환)이 아니라 한시의 흐름상 전환이 되는거죠.

    한시의 기승전결에서 전은 원래 흐름을 전환하면서 쓸 때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