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센가드 [427512] · MS 2012 · 쪽지

2013-10-02 00:25:21
조회수 611

문과출신 대학생이 이과생에게 생명과학 질문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55786

1. "치사 유전을 갖는 사람은 성인이 되기전에 다 죽어서 자손을 남길수 없다"는
참인가요?

2. 혈우병 환자와 혈우병 보인자, 혈우병 환자와 일반인, 보인자와 일반인이 자손을 낳으면 자손은 어떻게 되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검사프린스 · 305132 · 13/10/02 00:39 · MS 200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검사프린스 · 305132 · 13/10/02 00:49 · MS 2009

    잘못 알려드린거 같아서 다시 쓸게요 ㅠㅠ 문과의 객기...
    1번은 확실치 않아서...
    2번은
    첫째경우는 딸은 보인자거나 치사입니다. 아들은 정상이거나 보인자입니다. 둘다 확률은 반반이구요.
    둘째경우는 딸은 반드시 보인자구요. 아들은 반드시 정상입니다.
    셋째경우는 딸은 정상이거나 보인자구요. 아들은 정상이거나 환자입니다. 확률은 역시 반반입니다.

  • 플라시보 · 441821 · 13/10/02 17:40

    혈우병이 반성유전이었나요?

  • 검사프린스 · 305132 · 13/10/02 20:08 · MS 2009

    혈우병, 적록 색맹 등이 반성유전 아닌가요? 이거 1년전 기억에 의존하는거라^^;;; 이젠 정말 문과가 다된거 같네요 ㅋ큐ㅠ

  • 가면의 몽상 · 432278 · 13/10/03 01:04 · MS 2012

    맞아요 반성유전 ㅋㅋ 혈우병 여성 호모의 경우 치사였을 거에요

  • 가면의 몽상 · 432278 · 13/10/02 09:21 · MS 2012

    말 그대로 치사, 즉 죽게 만드는 유전형질을 가진 사람은 성인이 되기 전에 즉 자손을 남길 수 있기 전에 죽기 때문에 그 유전자를 전달하지 못한다는 겁니다 그 유전자는 도태되겠죠^^
    다만 보인자의 형태에서는 발현이 안되거나 치사가 아닌 열성 유전인 경우 혈우병 유전처럼 계속 존재할 수 있는 것이고... 유전병 중에 우성유전인 경우가 별로 없는 이유겠죠? 우성유전병의 예로는 헌팅턴 증후군이 있는데 이것은 중년 이후에 발병하는 병이라 심각한 유전병임에도 자손을 남길 수 있는 것입니다 옛날엔 발병 전에 이미 수명이 다 되어 죽었을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