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문제 만들때 조오오금 주의할 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480881
근데 몰라도 딱히 큰 문제가 없는...
모고 만드시는 분들만 조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추가할 내용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열린 구간, 닫힌 구간 이 아니라
열린구간, 닫힌구간 으로 해야 한다고 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480881
근데 몰라도 딱히 큰 문제가 없는...
모고 만드시는 분들만 조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추가할 내용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열린 구간, 닫힌 구간 이 아니라
열린구간, 닫힌구간 으로 해야 한다고 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후후 나중에 혹시 묶어서 배포하실 생각있으신가요?
여기 올렸던 여러 문제들 말인가요?
0 < ceta < pi/4
이거는 몰랐네요 굿굿
저도 최근에 알았습니다ㅎㅎ
theta 아닌가요
맞아용 별생각없이 쳤네요
이번에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닫힌구간은 붙여쓰기로 바뀌었습니다! 2019까지는 띄어쓰고, 2020 이후론 붙여쓰고 있어요
오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괄호들 잘못쓰는거 한번씩 본거 같은데 ㅋㅋㅋ 다른 n제에서요
저도 괄호 부분 많이 헷갈려서 잘못 적은 적 많아요ㅎㅎ
님 항상 자작문제 늦게 봐서 덕코는 못받아가요 한번씩 보이면 풀고는 있어요 재밌더라구요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 더 좋은 문제 올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거 괄호 은근 모르심 키보드로 치면 안되고 수식 상단 괄호 해야하는데
그쵸ㅎㅎ
알고 있어도 습관적으로 키보드 괄호로 치는 습관 때문에 어쩔수 없는거 같아요ㅎㅎ
네 수식입력기 켜서 상단바에 괄호들 있음

그냥 괄호 왼쪽에 left right 치면 되는소괄호랑 대괄호가 각각 열린, 닫힌 알려주는거 아닌가요? 왜 꼭 열린, 닫힌을 한글로 써야하나요? 평소에 그냥 궁금했어서..
저도 잘 모르겠네요ㅠㅠ
(0, 2]같은 경우는 그냥 구간이라고 하는데
(0, 2)같은 경우는 열린구간이라고 친절하게 알려주네요
보통 우리가 열린구간으로 알고 있는 것을 해석학에서 segment라고 표기하고 닫힌구간으로 알고 있는 것을 interval이라고 표기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참고로 한쪽경계는 포함, 한쪽경계는 미포함인 형태는 half-open interval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선분도 세그먼트라고 해서 이거도 헷갈리긴 할 거 같은데 단순히 표기의 명확성을 위해서일까요
단, 괄호 안에 위아래로 큰 사이즈가 있어도 괄호를 크게 만들지 않는군요 오늘알았습니다 ㅋㅋㅋ
사실 저때 괄호를 크게 만드려면 한글부분도 수식입력기로 입력해야해서 좀 골때리죠
+ 닫힌구간 열린구간 띄어쓰면 빨간줄그어지더라고요
그리고 2018였나 2017까지는 닫힌 구간, 열린 구간 이렇게 썼다고 합니다!
그쵸ㅋㅋㅋ 단 부분까지 괄호를 길게 만들면 조금 많이 불편해지죠ㅋㅋ
'만족시키는' 이거 대표적인 틀린 사동 표현임. '~조건을 만족하는' 이런 식으로 쓰는 게 맞음.
국어 공부할 떈 이게 틀리다고 배우는데 수학 문제 풀 땐 대놓고 문제에 적혀있으니 참 아이러니함ㅋㅋㅋ
평가원이 틀리고 있는거에요?
평가원이 그렇게 쓰고 있다면 평가원이 문제임. 수학하는 양반들이니까 국어에 좀 신경을 못 쓰고 있을 수도 있음.
진짜 개인적으로 평가원이 고쳤으면 하는 발문....
"만족하는"이라고 해도 의미상 차이가 생기지 않을 경우, "만족시키는"은 불필요한 사동 표현임. 평가원이 불필요한 사동 표현을 쓰고 있다면 평가원이 고쳐야 할 것이지 잘못된 것을 따라할 필요는 없음.
원 rmO는 가능한 표현이고 평가원에도 나온 바 있습니다
머시써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