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학습의 방법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07710
안녕하세요? 오르비 영어인강강사 상변선생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새벽에 심심해서 갑자기 합격증 올리기 .. ㅎㅎ 목표가 중경외시+이화..였어서...
-
심연이니까 취향선택좀 13
후타나리 vs 쉬메일
-
아빠안잔다. 10
나 ㄹㅇ 왜안잠? 시간 늦어지면서 아이큐 실시간으로 떨어지는중
-
도플러효과에서 헤맨 난 저능아
-
ㄹㅇ 황근출해병님과 전우애 실시하나요?
-
수능볼까요 13
말까요
-
주위에 레즈는 꽤 있음 15
게이는 못 봄
-
원래 계획은 미적 단과수업 + 스스로 수분감 풀면서 병행 이었는데 이번에 시대인재...
-
사랑해요
-
LGBTQ+ 3
-
먼가 무능한 남자 1같음
-
그냥 눈팅만좀 해보고싶은데
-
반수할까 2
미치겠다 진짜
-
숭실대가 떴노ㅋㅋㅋㅋ 아...인생..
-
난 게이 존중해 5
님들도 그렇지?ㅎㅎ
-
얼굴 오르비언처럼 생긴분 나올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예쁘셔서 놀랬던
-
서울 가고 싶다 4
클럽 가고 싶어
-
훌륭한 사업가가 되는법??
-
고려대 너무 조아
-
하아아아악 고양이가 이김
-
카톡 어차피 안와서 넣어논거임 ㅋㅋㅋㅋㅋ
-
집에서 과제할때만 필요한거임? 아님 매일 챙겨야되나?... 노트북 들고 두시간 통학...
-
라이브는 강의비는 저렴하던데 교재나 컨텐츠 이런거 다하면 보통 얼마나오나여 개학하면...
-
문과로 0
바꿀건데 확통노베면 미적은 그대로하는게 나을까요 미적을 잘하진않지만 확통은 아예노베라
-
현실에선 국숭세 부경인아곽 이 라인이 몇프로인가요? 4
한 15프로 하려나
-
좀 과한가 삼성 정품 65W 트리오 충전기임
-
이정도면 아싸히키맞냐?
-
흐흐흐ㅡㅎ
-
나도 자야겠네 13
-
기대된다
-
잠이 안 옴 9
진짜 어캄
-
아 자다가 깸 17
ㅈㄱㄴ
-
못버티겠다 15
자야지...
-
정혼 당함 3
2학년 1등해서 받은 교육감상 상장 엄마가 카톡 배사 했는데 우리동네 사는 어떤...
-
동물배틀 on 8
고려대 호랭이랑 한양대 사자랑 싸우면 누가이길거같음?
-
다 님들이 만드시는거에여?
-
솔직히 어린시절부터 내 이름 별로 안좋아했는데 모 고닉이랑 장난삼아 이름바꿔보니까 둘한테 다 좋아보임 13
그냥 이름바꾸고 싳다 진짜로
-
현재 모고 국영수 435에 탐구는 제대로 봐본적도 없는 그냥 공부 안하는 인생망한...
-
이제자러가야지 4
큰일남일곱시반에일어나야되는데 다망했어
-
뭐가 더 낫지 15
커피 vs 몬스터
-
맨전드 캬
-
여행이 땡긴다 2
미드나잇 인 파리 극장에서 봤는데 여행가고싶다
-
크하하하하
-
오야스미 4
네루!
-
방향이 잘못되면 성적이 안 나옴?
-
야식 ㅇㅈ 10
불닭큰컵+핫바
-
똑같이 푹 쉬었는데 왜 토트넘은 부상 복귀하고 우리는 멀쩡하던 4명이 사라져요???
[Chicken soup for the soul] 감회가 새롭네요!!
인도에 있을때 가장 감명깊게 읽었던 책들 중 하나......
오늘도 좋은 글 감사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역시 상변선생님!!
언어의 규칙을 나중에 정리한 게 문법일텐데
역으로, 변칙적으로, 문법 지식을 동원해 문장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학습한
저희 세대의 경우는 특히 말하기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언어는 역사적으로 봐도 95% 이상이 소리이고
소리를 종이 등에 옮긴 상징 기호가 문자인데..
연역적으로 공부하면 필연적으로 문자 사고에 사로잡혀
표현에 어려움을 겪게 되지는 않나요?
물론 수능엔 표현 평가 영역이 없다시피해서 논외로 해야 하지만요..
언어의 규칙을 나중에 정리한 게 문법일텐데
역으로 변칙으로, 문법 지식을 동원해 문장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배우면
직관적인 말하기가 어려울 수 없을 거 같아서요..
규칙이 원어민의 무의식속에 자리잡은 것과 유사하고, 충분한 읽기를 통한다면 연역적인 방법으로도 충분히 가능한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영작을 하는 부분에 있어서 정확성은 연역적인 방법에 의해서 더 빠르게 얻어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노출입니다. 문법은 그 자체로 나쁜게 아니라 문법 공부로 인해서 분석만 하고 정작 중요한 읽기를 안하기 때문에 나빠보이는 것입니다. 원어민들의 머리 안에도 규칙이 존재하고 있고, 그 규칙을 의식적으로 배운 후에 무의식화하는 과정 - 즉 읽기 - 가 존재한다면 한계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영어를 말로 표현 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춘다면 가장 좋은 것이 영어권 국가에 가서 생활하는 것일 것입니다. 아니면 따라읽기를 통해서 어느 정도의 유창성을 키우는 것이겠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입니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질 수 있어야 진정 영어를 말로 표현을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영어로 생각하는 훈련도 도움이 되지만 원어민과의 소통이 더 좋은 것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한국이란 환경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은 그나마 읽기가 아닐까 합니다.
청킹을 활용하면 좀 나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I love you나 excuse me처럼 청킹으로 덩어리를 외우는 것이지요
직관적으로 "풍부하게" 표현력을 기르지는 못하겠지만
독해를 하면서 패러프라이징등을 이용해서 청킹과 같은 메모리기법을 병행하면 충분히 그럴싸하게 직관적으로 표현하더군요
뭐하나 질문드려도될까요? 제가 단어가 부족한거같아서 지금 어휘끝을 2번째 보면서 EBS 병행하는 중인데요...어휘끝 3번까지 볼 작정이었는데 수능이 얼마 안남으니까 좀 불안해서요;; 기출은 거의안풀은 상태에요.. 어휘끝 한강 외우는데 1시간 30분? 정도 걸리거든요 매일 1강씩 하고 있는데 그냥 EBS에 있는 단어를 외우는게 나을런지 모르겠네여....
EBS단어를 외우는게 효율적이죠. 최소한 12지문은 그대로 나오니깐요... 듣기는 거의 다 나올 것이구요... 따라서 EBS 단어만 열심히 외워도 어휘에 문제는 안생길 것입니다.
EBS단어로 외우되, 기본적으로 같이 나오는 덩어리들도 같이 외우면 좋습니다.
physical의 경우
physical science의 경우 "물리"
physical pain, physical education과 같이 신체적 느낌
physical features와 같이 reality를 얘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본 이미지 (만질 수 잇고, 허상된것과는 다른것)
을 무조건 잡아주시고
확장 방향성을 같이 덩어리로 외워주는게 좋습니다
덩달아 내용도 기억나서 좋을겁니다
얼마전 최석호 선생님이 올렸던 외국어 정리방법과 같은 학습방법은 어떤가요?
위에서 설명해놨습니다 ㅋ 그 선생님 글 보고서 쓴 글이랍니다.
질문 좀 드려도 될까요...현재 저는, '고난도 구문'이나 '길이가 긴 문장'이나 '우리말 해석으로 어려운 영문장'을 읽을 때 참 영어가 어렵다고 느낍니다...
어릴적에 중학교 때부터 '영어공부'를 학원다니면서 하지 않았구요(문법 중심), 그냥 영어동화책을 매일 매일 듣고 읽었습니다. 영어 교과서도 꾸준히 읽었고 한동안 영어일기도 쓴 적도 있구요. 그리고 해리포터를 참 좋아해서 한글책으로 먼저 읽고 거의 외워졌을즈음, 원서를 읽었더니 아는 단어랑 알고 있던 뜻이랑 연결이 되면서 해석이 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더군요. 그리고 고등학교 1학년 때 첫모의고사를 쳤는데, 86점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로 영어 모의고사를 하루에 꾸준히 한바닥씩 읽고 푸니, 기본적으로 2등급이 나오고 가끔 1등급이 뜨더군요. 최고로는 95점까지 받아봤습니다. 참 상위권님들에 비하면 별 것없는 점수이지만요.
그런데 고3이 되고, 점점 뭔가 문장이 어려워지니까, 원래 하던 방식으로 그냥 읽으니 술술 넘어가지 않더군요. 그런데 해석 안되는 문장을 그냥 넘어가고 눈을 재빠르게 돌리면서, 키워드끼리 조합해서 또 어떤 해석인지 생각을 해보면 실제로 맞는 해석인 경우가 꽤 있었어요. 저번에 문맥을 타는 능력이 구문해석능력을 보완해준다고 하셨던 것 같은데, 딱 제가 그런 것 같았습니다. 6월 모의고사에선 간신히 90점으로 2등급받았습니다. 해석이 안되는 경우도 많았지만, 평소 알고 있던 유형별 해법을 무의식적으로 적용하면서 눈알을 재빠르게 굴려 흐름을 대충 파악하고 답을 체크하면 맞는 경우가 꽤 됐어요.
다들 구문공부를 하라길래 해 보았지만, 번역을 해도 해석이 안되는 걸요 ㅠㅠ... 고2때는 모의고사 풀고 해석을 대조하면서 공부했구요 ,문장구조 파악하기는 고3때 공부해서 마음먹고 번역을 하고자 한다면 할 수 있지만 해석이 안되요....그게 머릿속에서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안된다는 거죠. 다만 말하거나 그 말을 '생각'할지언정, 정작 그게 무슨의미인지는 전 모르겠단 말이죠ㅠㅠ조금 쉬운 지문은 그냥 읽어도 영어 자체로 이해가 되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EBS지문으로 제가 공부했던 방식으로 한다면 그것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제가 어렸을 때 그런 것처럼, 따로 구문이나 단어를 정리하지 않고, 먼저 EBS 지문의 해석을 읽고 이해한 후, 반복적으로 해당지문을 읽으면 남은 기간 70일동안 만점으로 도달할 수 있을까요...?(영어듣기는 모의고사 칠 때는,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거의 틀린 적이 없습니다...)
제가 느끼는 어려움이 개척가님이 느끼는 어려움이랑 정확히 같을지는 모르겠는데
이 글을 보면서 정말 저랑 비슷한점이 많다는 것을 느끼네요.
문장구조를 따박따박 따져가면서 해석하지 않고 그냥 느껴지는대로 줄줄줄 읽고 머릿속으로 상상하는 느낌으로 이해하는데도 문제를 맞추는게 신기했었죠. 신기하게도 1~2등급은 꾸준히 나오고해서 이렇게 푸는게 나쁜방법이라고는 크게 생각 안했었는데 지금 sd모의고사를 풀면서 많은 생각이 드네요..
연계된 문제는 저번에 한번 같은 방법으로 해석해봤기 때문에 오답률이 낮은데 비연계로 출제된 문제들이 난이도가 상당하게 느껴져서 쭉쭉 날라가더군요;; 그래서 하나하나 다따져가면서 푸는방법으로 공부법을 좀 바꿔볼까 고민도 많이 하는중이에요.
질문하신거에 답변한건 아니지만 저랑 푸는 방식이 비슷하고 같은 고민을 가지고 계신것 같아서 반가운 마음에 그저 답글 적고갑니다.
연역적이든 귀납적이든
반복이 중요한데, 수능시험에서 안정감을 갖는 방법은 아무래도 연역적이다라는 말씀이시네요
그 선생님 댓글에도 동조하는 글을 올렸었는데
이 글을 보니 제방법은 1회독할때 구조 분석을 하고 2회독부터 해석읽기를 반복하니 연역적이였네요ㅋㅋ
어쨌든 제방법이 맞다는 글이 올라오니 기분이 좋네요
건승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