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과 공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98173
안녕하세요. 의대를 목표로 반수중인 수험생입니다.
몇주전만해도 의대아니면 안돼! 이런생각이였는데 지금생각해보니 여러가지 가능성을 열어둘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제가 의대갈려는 이유는 생명과학 중 의학연구는 의대 기초의학쪽이나 임상의사하다가 나중에 연구쪽으로 하거나하는게 메리트가 많아서였는데, 공학에도 관심이 많은지라 생명공학과를 진학한뒤 전자공학을 부전공이나 복수전공으로 같이 공부하여 생명과학과 공학을 연계해서 연구하고싶다는 욕심도 생기네요. 좀 불가능한 이야기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키미가 오모우호도니 요와쿠와나이~~
-
41 41인데...흠...
-
4덮9번풀이 0
그림으로 그려보니 그냥 평범한 코사인법칙 문제였던..
-
더프 0
오답하고 다시 올게요
-
심심한은 1
.
-
진짜 부럽다 이게 딱딱 보이나 나는 턱턱 막히던데 필수유형 문제들을 더 풀어야하나
-
나 중학생때 의리사탕이라 해가지고 화이트데이에 사탕 주고받는 유행이 있었음...
-
2025학년도 숭실대 논술, 면접 기출(선행학.. : 네이버블로그
-
사탐런을 한다 <과탐을 안하니까 국어수학을 잘해진다 <<경쟁자가 잘해지는거니 손해임...
-
ㄹㅇ어케했노
-
안녕하십니까아 작수 30점 이번 더프 수학 69점(13 14 15 21 22 27...
-
이거 그냥 도함수값 구하는거 시험에 내도 상관없나 성질 잘쓰면 식 구할수있긴하니까
-
4덮 잇올 6
빌보드 들수맀을려나 영어 2라서 애매하네..
-
단점 잘하는 사람이 많다
-
쎈b 풀었는데 3모 61점 떠서 기초부터 다져야하나 생각중인데 확통 길찾기 더하기...
-
동아리 입단시험인데 2503모, 26수특이랑 완전적중함 모든 문제 정답률 30%대
-
이영표 : 월드컵은 경험하는 자리가 아니라 증명하는 자리입니다. 0
오늘 많이 힘드신 분들도 있으신 것 같은데, 11월에 웃으면 좋겠습니다.아직은...
-
과외용으로 할거고 수능 문제 다 풀수 있을때까지 얼마나 걸릴까요 아예 노베고 순열...
-
여긴 ##시티
-
국어 개못해서 항상 한지문 날리는데 그때마다 발췌독으로 풀어내서 1등급 만듦 작년...
-
몰라서 못품 진짜임
-
고2 정시파이터인데 수학 노베에요 고1 수학 5등급이라 다시 해야 할것 같은데...
-
4덮 기준 화작 82 확통 76 영어 2 한국사 1 사문 47 지1 35 고려대...
-
야이 개~새끼들아
-
맞는 거 얼마나 어려움?
-
물2 14번 물1에 나와야될애가 나옴 근데 얘마저 없었으면 ㄹㅇ 더 아찔했음
-
그리고 다른 얘기인데 한수 과학기술 괜찮나요? 과학기술 너무 못해서 매일 한 지문씩은 풀고싶어서요
-
권태기가 여자였으면 좋겠다... 태기야 난 늘 널 기다리고 있어
-
안녕하세요. 한방국어 조은우입니다. Day2 업로드 합니다. - 양식을 조금...
-
똥글사랑꾼은 4
.
-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주는 안토시아닌과 같은 성분이 풍부하여 입시판의 악성 병원체인...
-
잇올 4
하원태깅 안해서 벌점받았네..
-
징집가려다 3사단걸려서 닷지치고 운전병지원 근데 사회서 운전거의안해봐서 걱정이네
-
최근 2년은 다 맞았는데!!! 올해도 잘 됐으면 좋겠다
-
화작 확통 정법 사문 91 93 47 47 무보 1111가능할까요??
-
감기약 먹어서 0
너무 나른나른하다 좀만 자야지
-
3덮 67 4덮 80 이다노 잘해졌다노
-
맨날 독서 4지문 다풀고 언매푸는데
-
ㅇㅇ
-
4덮 생1 칼럼 0
https://orbi.kr/00072855905 4덮 생명과학 1 좋아요 한 번씩만 부탁드려요!
-
4월더프 3
미적 원점수 80인데 보정 후 1 ㄱㄴ????
-
26000원에 샀는데 새상품 10000원정도 되는거 널렸네 그냥 하..
-
4덮 지구 1
막 어렵지는 않았는데 낚시 선지들이 너무 많았는듯
-
06들 잘봣네 6
나만빼고 ㅠㅠ
-
고민 1도 안하고 쓱쓱 풀고 넘겼는데
-
국 93 수 85 영 80 사문 39 세지 41 사문은 2, 3틀리는 과오를...
-
ㅎ 1
헉
"생명공학과를 진학한뒤 전자공학을 부전공이나 복수전공으로 같이 공부하여 생명과학과 공학을 연계해서 연구하고싶다는 욕심도 생기네요."
-->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이고, 실제로 이러한 커리큘럼으로 학습한 뒤 대학원 진학하는 경우 많습니다. 단, 대학원(석사, 박사) 과정에서는 일단 세부전공 1개만 하기도 벅찹니다. 2개 이상의 분야를 협업하는 연구는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박사 후 과정(포닥)' 이후부터 제대로 시도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컴퓨터공학을 복수전공하거나, 복수전공까지는 아니더라도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 여러 개 수강하며 공부한 뒤, 뉴로이미징(neuroimaging) 전문성을 갖고 뇌 과학, 신경과학 등의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654287&showAll=true
위 소식과 같이 성균관대는 IBS 뉴로이미징 사업단을 유치하여 바로 올해부터 매년 100억원씩 10년간 총 1천억원이라는 거대한 규모의 정부 지원금을 받으며 최고 연구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국내 최고 수준의 병원/의료연구시설을 보유한 성균관대 의과대학에는 의대생뿐만 아니라, 타 학과 학생이 의대 일반대학원(의학전문대학원과 다름)을 진학하여 연구하는 경우도 있고,
성대 약학대학 일반대학원도 연구가 활발한 기관입니다.
생명과학과, 유전공학과,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의공학 분야), 식품생명공학과에도 다수의 우수 교수님들과 연구진이 있습니다. 얼마 전 발표된 BK21에도 선정되었습니다.
화학과에도 미국 하버드대 의과대학과 공동연구를 하는 이동기 교수님(생화학 부문) 연구실이 있습니다.
http://chembio.tnaru.net/web/index
과학을 전공하고 정부출연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는 학부형입니다.
윗 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잘 나가는 과학자들 중에는 연간 100억원 정도의 연구비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억대 연봉자들도 많이 있습니다.
의학을 하는 것도 좋지만, 앞으로는 기초과학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 같아요.
제가 아는 의대 교수님 중에 기초연구하시는 분 있는데, 그다지 연구에 메릿이 있는 것 같지도 않고, 오히려 임상하시는 교수님에 비해 여러가지 면에서 (ex. 연봉) 상대적인 박탈감이 있는 것 같아 보였습니다. ^^;
의대 진학한다면 어렵더라도 임상의를 하면서 진료에 관련된 연구를 하는 것이 옳은 것 같구요. 굳이 기초의학을 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자연과학을 해서 잘 나가는 과학자가 되는 것을 꿈꾸는 것이 나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