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바라기ㅎ [345010] · 쪽지

2013-07-31 23:12:15
조회수 1,707

과학논술 질문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64942

수능때 화1 생2 보려고 합니다.

화1은 거의 고정50에 생2는 1등급나오는데요.

제가 화1 생2를 제외한 화2나 생1내용을 전혀 모릅니다.

이런 상황에서 논술을 대비한다면 어떤 게 좋을지 선택이나 추천 해주세요.

1. 생1을 개념강좌를 수강한다.
2. 생물논술강좌를 수강한다.(사설이나EBS)
3. 화2 개념강좌를 수강한다.
4. 화학논술강좌를 수강한다.
5. 기타의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Evanescence · 449264 · 13/08/01 00:15 · MS 2013

    윤바라기님 모르비 아니시면 쪽지 한통 넣어주세요~^^

  • 윤바라기ㅎ · 345010 · 13/08/01 00:26

    앱르비지만 한번 넣어볼게요!

  • Evanescence · 449264 · 13/08/01 00:27 · MS 2013

    아이디필요할겁니다. 윤바라기님 아이디 알려주세요~

  • 윤바라기ㅎ · 345010 · 13/08/01 00:28

    cji422입니다ㅎ

  • Evanescence · 449264 · 13/08/01 00:32 · MS 2013

    쪽지확인 부탁합니다~

  • 애연 · 417106 · 13/08/01 00:18 · MS 2012

    올해 초에 잠깐 논술 준비하면서 인강을 들었는데
    인강t 께서 비슷한 질문에 대답하시길
    시간이 넉넉하면 '개념 전체'를 보는게 좋지만
    시간이 넉넉치 않다면 '빈출 단원(주제)'의 개념 정도만 확실하게 알아둬도 크게 마이너스 요인은 없을거라셨어요 (의대는 좀 다르지만)

  • 윤바라기ㅎ · 345010 · 13/08/01 00:28

    그렇군요.. 생1한종철t 화2김철준t 개념강의수 보니까 화2가 절대적으로 양도 적고.. 화학이 더 재밌는거 같으니 화2가 나을거같군요.
    감사합니다 ㅎㅎ

  • Evanescence · 449264 · 13/08/01 00:29 · MS 2013

    논술 준비하기에는 화학2가 훨씬 많습니다.
    쪽지보내드릴게요.

  • 윤바라기ㅎ · 345010 · 13/08/01 00:31

    총32강에 35분내외더라구요. 생물은 50강가까이되고..
    생2한 이유도 생1이 별로 안끌려서 한거라서요

  • Poetam · 330158 · 13/08/01 01:32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시든 상관은 없다고 생각해요. 생물1의 내용과 만만치않게 화학2도 양이 많아요.
    수능 개념과 논술 개념은 배경을 공유한다고 봅니다. (연대는....아닙니다. 그쪽 문제들은 1학년 과정의 일반과학 완벽하게 독파한 사람들도 어려워합니다.)

    학교마다 다르다고 봐요.
    모든 학교의 과학논술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한 필수조건은 수능의 개념입니다.
    거기에서 학교별로 차츰 다르게 쌓아가는 거죠.

    1. 연세대 일반전형 : 매우 어려움. 올해 출제예상이 어려움. (형식이 바뀌었죠. 선택으로.)
    2. 고려대 일반전형 : 같은 과목의 과탐1,2를 하셨다면 수월합니다. 거기에 일반화학, 일반생물 등의 내용을 조금 알고 있다면 금상첨화.
    3. 성균관대 일반전형 : 매우 쉬움. 수능 2.5점을 서술형으로 바꾸면 그정도 되려나요. 다만 문제점은, 물리 화학 생물 다 봐아죠.
    4. 한양대학교 일반전형 : 과탐논술이 없습니다!!
    5. 중앙대학교 일반전형 : 수학과 과학논술이 통합된 상태로 나옵니다!!

    화학을 선택하실거면 어느정도 도움을 드릴수 있습니다.

  • Evanescence · 449264 · 13/08/01 01:39 · MS 2013

    중대 통합논술에 관련해서, 탐구 내용이 어떤식으로 제시될지는 모른다는거네요..?

  • Poetam · 330158 · 13/08/01 01:39

    솔직히, 어떤 내용이 출제될 것인지는 아무도 모르죠. 작년의 경우 연세대에서 미적분만 파고들고 확률통계는 무시한 사람들 피보게 했으니까요.

    다만, 중앙대학교의 경우 "이러한 형식으로 나온다"는 식의 가이드라인이 될 예시문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Evanescence · 449264 · 13/08/01 01:48 · MS 2013

    감사합니다.

  • 윤바라기ㅎ · 345010 · 13/08/01 01:49

    감사합니다

  • Evanescence · 449264 · 13/08/01 01:50 · MS 2013

    주무신다면서요!ㅋㅋ

  • 윤바라기ㅎ · 345010 · 13/08/01 01:51

    더 고민하다가요 화2 오티듣고 화2로 정했네요

  • Evanescence · 449264 · 13/08/01 01:53 · MS 2013

    공통점 하나 더 늘었네요.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