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다가 막힐 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62504
.......;;;;
거의 1시간 가까이 붙잡고 있었네요.....ㄷㄷㄷㄷㄷ
15분 정도 넘어가면 그냥 답지 보는 게 맞는거죠...;;????
그리고.....고수님들...
행렬합답형이랑 증명완성형 도대체 어떻게 하는거에요.............??ㅠㅠ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르비에서도 틀어주나??
-
이 ㅅ3ㄲ 족쳐야해
-
알바끝 6
헤으응 힘들어 낼 11시까지 어디 가야해서 얼마못잠
-
나만 알겟음
-
여자만 임신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정지었다는 것은 먼 옛날 남자한테도 시도해보았단 뜻인가
-
근데 옯스타 2
에 뭐 올림…? 난 지금 공부 안하는뎅
-
라면 요즘엔 4
진매보다 열라면이 더 맛있는 듯
-
근데 아이큐검사 0
좀 재밌지 않냐
-
계속공급이 들어와!!!!!!
-
300원~500원
-
잘나가던 서울대 출신 증권맨…서부지법 난입 구속돼 '강제퇴사' 1
(서울=뉴스1) 신건웅 김민수 기자 = 서울대 출신 여의도 증권맨이 서울서부지법...
-
의미를 찾지 마시길 바랍니다
-
일단 팔짱 허용에 자습허용 시켜서 좀 여론 좀 누그러트리자
-
말하면 이미지타격이 상당해서 안할래
-
국어 ㅈㄴ 0
유기했는데 ㅈㄴ 그냥 글읽고 십장인마냥 슥삭슥삭 뚝딱 다 풀어버리고 싶은데 어떻게...
-
1. 윤성훈 2. 임정환 3. 이기상 4. 돌고래
-
22수능으로끝내기
-
하 ㅠㅠㅠ 오지훈과 함께한 내 추억은??
-
큐브 쌀먹핑.. 0
-
하루만 더 새자 7
이거 못 잘 거 같아. 극혐하는거 < 자려고 누워서 눈 감고 잇는데 정작 잠은 못...
-
평능아로 과탐 잘보는거힘들어
-
다리 꼬지마. 팔장끼지마. 턱 괴지마.
-
종강날 강대 두각 시대 물리러들 감금시켜놓고 샤워실에 넣어야됨 급격한 물리력...
-
다들한번씩해봤나보네
-
갤럭시워치7 0
당근으로 구매할건데 40mm 44mm 큰 차이가 있나요?
-
어싸 + 브릿지 + 시중N제 다풀건데 작년실모같은거 구해다가 더풀필요없나요
-
저는 진짜 잣댔습니다..
-
지하철게임슈바 8
외우기귀차나
-
일찍자고싶어
-
졸린데 0
잠자기시름 이럴수가 몸은 졸린데 머리는 깨어잇으래요
-
쭈욱 밤샛는데 머지 나.. 왜... 아직 안 자고 잇는거야..?
-
지능 검사 일부 공개 13
-
역시 봇치더락 프사가 아이큐가 평균적으로 높단걸 확인 고로 봇치=>지능상승 시켜줌
-
이번에 연시반 1
뻥 난건가요?
-
못푸는 문제는 없는데 처리속도가ㅜ딸려서 시간안에 다 못풀어
-
제곧내
-
평균만 가졌다면...
-
아 맨날 이래 ㅛㅂㅈㅐㅏㅎㄷㄱ푼ㅇㅊ
-
대치에만 400명ㅋㅋㅋㅋㅋ 2등급도 올핸 보장 못하겠다
-
ㅈㄱㄴ 있나여?
-
라면 4
하루에 두개 먹는 건 에바겠지 아까 오후에 하나 먹었는데
-
고2개학시점에서 고2말까지 국영수탐 어디까지 공부를 끝마치시고 고3 들어가셨나요??
-
키빼몸 100대였는데...
-
왜 다들 100 넘냐
-
아이큐 검사 8
초등?중?학교 때 학교에서 했었는데 145 나옴 근데 난 공부를 못하니까 오류인걸로ㅋㅎㅋ
-
아이큐검사 2
120 몇인가 그랬음
-
새르비에 2
기만자들 왤케 많음
-
키빼몸 4
???
-
ㅈㄱㄴ
-
열삼로노력하니 2ㅁ가진 오르더라고요 넴둘도 노력하세요 잠
저는 십분정도 고민하다가 답안나오면 나중에 다시와서 봅니다
30분정도 고민하다가 안 풀리면 체크해 둔 다음 다음 날에 보는 식으로 하는게 더ㅈ좋은듯 그리고 행렬합답형은 ㄱ ㄴ 은 쉽게 풀리잖아요 ㄷ을 ㄱ ㄴ+기본 조건들로 풀어보세요 그리고 증명 완성은 증명 흐름을 못 따라가겠으면 앞 뒤 식이 같다 이런거 이용해서 푸세요
행렬합답형은 기본조건이 있잖아요. 이 기본조건을 해석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ㄱ,ㄴ,ㄷ을 풀기전에 기본조건을 해석하고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있고,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일단 전자의 경우에서 기본조건으로부터 반드시!! 알아내야할 조건들이 있습니다.
교환법칙 성립여부/역행렬의 존재성 2개가 끝입니다.
뭐 조건을 활용해서 어떤 행렬을 다른 행렬들의 합으로 나타내는 것도 해볼 수 있지만
이런 건 미리 해보기 보다는 ㄱ,ㄴ,ㄷ을 풀며 해도 됩니다.
그리고 두번째로 중요한 건, ㄱ,ㄴ,ㄷ을 풀면서 나온 결과를 기본조건에 추가시켜 활용하는 센스죠.
후자의 경우에는 이런 식의 문제가 있죠. 어떤 특정 조건을 가진 행렬을 주는 겁니다.
예를 들어, "1행2열 성분과 2행1열성분의 합이 4이고, 1행1열 성분과 2행2열 성분의 곱이 28312인 행렬."
이런식으로요.
이걸 보자마자
"아! 이 조건을 만족하는 두 행렬 A, B에 대해서 반드시 AB≠BA이구나!
또한 A의 역행렬이 존재할 때는 A^(2n)를 s×A^n+2A^(-1)+t×E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성질이 있군.(막 쓴겁니다. 풀어보지 마세요.;)"
이렇게 해석이 되진 않죠..?
물론 이런 류의 문제에서도 교환법칙 성립여부/역행렬의 존재성 을 판단할 수 있으면 판단해야하는데 첫번째 유형보다 훨씬 쉽습니다.
그리고 보통 ㄱ,ㄴ,ㄷ이 주어진 행렬을 해석하는 내용입니다.
행렬문제에서 보통 '잘 틀리는 자(갑)'와 '잘 맞추는 자(을)'의 차이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갑 : 행렬의 곱셈에서 일반적으로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아. 그리고 이 조건으로부터 AB=BA를 도출해낼 순 없어. 그렇다면.."샹 뭐야!!!!!!???!!!!!!"
을 : 어? 이것봐라..? 오.. 오옷 AB=BA네.
이 말은 곧.. 교환법칙 성립여부/역행렬 존재성 만 잘 판단하면 웬만해선 맞춥니다.
그런데 틀린다면 그 때 필요한건 연습~
저도 옛날에 둘다 고민 많았는데 그냥 기출문제 많이 반복해서 풀어봤습니다.
많이 풀다보면 특유의 흐름? 뉘앙스? 방향? 그런게 느껴져요. 많이 하다보면본능적으로
이게 이렇게 이어질거 같다는 (평가원의 논리같은?) 느낌이 드는데 이걸 말로 설명하기도 그렇고 본인이 기출에 실린 문제를 계속해서 반복해봐야 감이 와요.
1주일간격으로 행렬합답형 기출이나 완성형(증명형) 문제를 틈틈히 풀어보세요. 처음에는 외워서 푸는거 같다가도 계속 돌려가며 풀다보면 그 규칙의 감이 올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