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 푸는 속도가 느린 두 가지 요소가 있는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508932
(1) 조건을 통해 도출되는 식을 세우고 이를 정리해서 아는 꼴로 바꾸기
(2) 변형된 식에 적당한 수를 대입해 계산 후 결론을 내기
보통은 (1)에서 80% 이상 걸립니다. 잘할수록 (1), (2) 시간 차이가 거의 안 나게 빨라지는 거고요.
아마 '나는 (2)에서 더 걸린다.' 싶은 사람도 있을 건데 대개
1. 연산 경험 부족(단편적으로 말하면, 계산기 같은 거에 의존하거나 끝까지 계산해본 적이 드물어 산수를 거의 안 해봤다거나...)
2. 본인의 역량보다 훨씬 낮은 난이도의 문제를 풀고 있음
3. 그냥 문제가 쓸데없이 지저분한 숫자 투성이
일 겁니다. 수학 질문 받으면서 경험 상 3.인 문제는 시중 N제에 거의 없고(굳이 있다면 커뮤니티에서 자작문항으로 올라오는 것 중에 있긴 합니다.)
크게 1,2 중에 하나이긴 한데, 객관적으로 어려운 문제인데 머릿속에 풀이가 다 떠오르는데도 수식을 계산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거면 '게으른 천재'형이고(개인적으론 가르칠 때 이런 부류 가장 안 좋아합니다. 자기가 뭐가 문제인지 알고 안 고치는 타입이라...) 그닥 어렵지는 않는데 계산에서 시간을 많이 쓰는 거라면 스스로 연산속도가 느림을 자각하고 있거나 너무 쉬운 거만 계속 풀고 있는 거일 거에요.
진짜 천재면 아무리 어려운 거라도 (1)<<<(2)인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 저는 그냥 말하는 감자라는 결론을 지을 수 있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향으로 하나 쓰려는데 님들이라면 어디 씀?
-
100일 반수 가능한 부분일까요… 사실 작년에 지방교대에 너무 널널하게 최초합...
-
내일이면 1
육지감
-
내가 오르비 배포 모의고사에서는 유일함 다른 잘만드시는 분들 많지만 그 분들이...
-
?
-
선생님들 안녕하세요 이제 막 군대 전역하고 예전부터 꿈꿔왔지만 나태함으로 인해...
-
1회부터 5회까지 난이도 분포도 다양하고 시험지 스타일이 전부 다름 그래서 시험지...
-
이거 18번 문제 풀 땐 ㄱ문장만보고 오해가능성을 없애니까 2번 선지의 성향이...
-
나는김빠비다 0
그러타
-
사탐(생윤,사문)을 아예 처음 시작하고 개념공부를 할 땐 "과탐에 비해 범위가...
-
지금이 아침이구나 아차차
-
씨 발! 3
-
삼수중 오랜만에 연락온 친구가 뭐하고지내냐고 하는데 꽁꽁 숨기고 싶진 않지만 뭔가...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 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
야돔 한 번 쭉 빨면 좋음.
-
장단점 어떤가요?
-
우웅 12
우웅
-
저는 대학마저도 졸업한 틀이지만,, 아끼는 사촌 조카가 강원도 지역 메디컬로...
-
고3 수학 낮은 4등급 너기출 , 어삼쉬사 , N기출 셋중 어떤 걸 푸는게 좋을까요?? 1
수능 목표 수학 등급은 높3입니다
-
ㄱ>ㄲ 이게 왜 조음 방법 변화 없는거임? 된소리로 변화한거 아님?
-
고1 전학고민 0
강남 자사고 갔다가 5등급제 기준 2.6정도 나왔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전학가도 된다고...
-
어른 하기 싫어 17
늙기 싫어
-
181129 나 이런 문제 뭔가 자꾸 감으로 풀게 돼요. 제가 푼 방식이...
-
이건뭐지 2
-
85 15,21,22,25틀 8시 10분에 기상해서 그런가 뇌가 안풀려서 초반에...
-
이건 대체 뭐임 이딴 게 실모?
-
하시발
-
이런것도 있네 1
-
오르비의 심연을 보여주는 캡쳐본들이 많네 다 지워야지
-
그 음성테스트에서 설탭 모의 수업 제출 할 때 학생 답이랑 질문은 어떻게 하나요??...
-
세월이 야속하다..
-
계산 많은거 안피하는 성격임
-
미적에서 삼도극 무등비만 존나 잘푼다 공통에서 지로함 그래프 해석 문제, 사인코사인...
-
개수세기 가족 문제 틀리신건가요
-
수학 공부 0
김기현 아이디어랑 현우진의 수분감이랑 같이 듣는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
설맞이 시즌2 2
이거 풀어보신 분 있나요?? 드릴드2 지인선이랑 비교했을 때 난이도 어느정도인가요?
-
원준아너만믿는다 8
날 국잘남으로 만들어다오
-
김상훈 듄탁해 들을려는데 둘다할까요 하나만할까요
-
무물보 1
ㅇㅅㅇ... 오늘 된장국 끓였는데 잘 끓임
-
100일 안에 ㄱㄴ? 화작 통통 사탐임
-
.
-
그럴 일은 없겠지만 만약 내가 수학 컨텐츠를 만들어서 해설 쓸 사람을 구한다면...
-
오르비를 직접탈퇴를 하는게 아니고 오래동안 로그인을 안해도 3
탈퇴한걸로 되나요???
-
최저 반수하려고 하는데 국어는 도저히 못올릴거 같고 수학 1컷이라도 안정적이게...
-
덕코기부해줭 0
-
자꾸 쇼츠 떠서 조각조각 보게 되는데 결말까지 떠버리네 난 이 애니를 본 적이 없는데
-
죽어라 이런거까진 아니어도 쟨 수능 조졋으면 좋겠다 이런거
-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고2 학생이며, 내신이 좀 빡센 학군지 주변 여고를 다니고...
문제를 보고
??? 그냥 이거 이거 하면 식 몇개 나오고 문자 몇개니까 그냥 계산 밀어도 답 나오겠는데?
아.. 근데 설마 이걸 원한게 아닐거같아 다른 방법이 뭐가 있을까<<<이 시간이 너무 긴 것 같아 고민이에요
원하는 방식대로 푸는 게 아니니까요. 물론 사후적으로 충분히 시간을 두고 봤을 때는 현장에서 봤던 거와 달리 매우 논리적이고 복잡한 방식으로 출제자가 설계한 대로 풀 수는 있을 겁니다.(다소 극단적인 예시는 171130 수식풀이...현장에서 정답자의 절대다수는 6³=216 찍거나 그 선생님 성함으로 찍든가 기울기 함수로 '우연히' 보여서 풀어냈습니다.)
다만 학생 입장에서는 현장에서 처음 마주하면 그냥 풀이 보이는 거 하나 잡고 푸는 거에요.
점수순으로 대학 결정권을 판단하는 수능에서 일단 풀어내는 게 중요한 거지 '출제자의 의도대로 풀 시에 가점 부여' 이런 것도 아닌 상황에서 '어 이 의도가 무엇일까' 하고 고민하는 거 자체가 모순이죠. 공부할 때야 그런 고민을 많이 해보고 최대한 여러 풀이를 현장 가서 실전적으로 쓸 수 있게 연습해야겠지만 막상 수능장에서 쓰는 풀이는 그 중 하나이니까요.
ㄹㅇ 아무 부담없이 그냥 학생들 질문받을때는 풀이 여러개 전부 파바박 하고 보이는데 시험장만 가면 밀어버리는게 너무 잘 보여서 다른 생각들이 잘 안 떠오르는듯ㅠ
그냥 저는 문제보고 직관에 의존해서 푸는 타입인데 한번안보이면 잘 안풀리더라고요 ㅠㅠ 조건 여러개 얽힌것도 힘들고.. 수ㅜ학 잘하고 싶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그래서 내가 문제 푸는게 느렸구나!
? 얼마나 계산이 느리시길래 보자마자 어떻게 푸는지 보이시는데 그러시는거지
개소리 좀 해봤음. 그냥 봐서 풀이가 보이면 넘어가긴 함.
속도는 벡터.. 메모...
네?

네!2를 가장 무난하게 키울 수 있는 방식은, 많은 문제를 풀어보는 겁니다. 좀 계산이 지저분한 경찰대 기출문제라도 직접 풀어보면서 '아 이거 기존 방식대로 연산하면 너무 계산 지저분한데' 이런 생각과 직관적으로 '어 이 숫자는 들어가면 지저분해질텐데' 경험을 쌓고 이를 최대한 피해가는 방식으로 귀납적 경험 축적을 하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