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점 시절의 수학 흐름에 대한 설명.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436332
제가 실력이 최고 정점이었을땐
사실 문제를 푸는건 더 이상의 문제가 아니었어요
실모풀든 뭘풀든 다맞았고
애초에 교육청시험부터 시험끝나고 컴으로 옯 접속해서 답올리고 가기도 했고 ㅋㅋ
그래서 정점 시기에 최고로 중요한 문제는
문제를 푸는 이론, 문제를 푸는 사상에 관한 것이었죠
이 문제를 사람이 풀라고 냈는지 풀지 마라고 냈는지는 중요한게 아닌거죠
결국 풀 수 있다는 사실 하나만 보고 가는겁니다.
풀 수 있는 문제를 냈을거 아니에요? 오류가 없고 답이 있는.
그런 생각으로 문제를 풀기 위해서 저는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들어야 한다고 확신했습니다.
SI대 N 짧은길(번역 이거 아닌거 암 ㅇㅇ) 문제들이 참 예시로 좋은데... 안타까울 따름
그런 알고리즘을 가장 잘 보여주는건 제 171130 풀이입니다.(이전에 올린적 있음)
171130을 봅시다
뭐 풀이가 다양하게 있는데 저같은경우에는 현장에서는 진짜 급하면 극점풀이, 시간이 여유로웠으면 이풀이 썼을거같고 만약 제가 당일날 해설을 올렸으면 이런식으로 올렸지 싶습니다
풀이
일단 모르겠고 우리가 다루는 함수가 뭐죠? f(x) 아닙니까? 그걸 다뤄 보자구요.
우리가 구하는게 뭐죠? f(x)가 극값을 가지는 두 x값이랑 그떄의 f(x)의 극값이죠? 그죠?
그러려면 f'(x)를 구해서 이놈 부호가 변하는 걸 조사해야 됩니다. 그러려면? 미분해야죠.
몫의 미분법이네요. 전개하면 이렇습니다.
흠 위의 부분이 부호가 바뀌는게 핵심이네요. 적어 보면 g'(x)(x-a)=g(x)인 경우 아니겠습니까?
여기에서 변수가 뭐죠? x 아니겠습니까? 정리하면 g'(x)(x-a)-g(x)=0인 경우죠? 흠 근데 이 자료만 가지고는 우리가 g'(x)가 4차함수라는거 빼고 별거 없죠? 여기에서 갈립니다. 사실 이걸 여기에서 편하게 푸는 경우는 3가지가 있는데
1) 저게 접선의 방정식 꼴이라는걸 우연찮게 생각한 경우
2) 접선의 방정식이라고 보자마자 깨달은 경우(정보 누적)
3) 저걸 보고 접선의 방정식이구나 라고 깨달을 수 있는 방법까지 생각한 경우
사실 1),2)는 뭐 당연한거고
3)이 궁금하죠?
저는 이걸 저만의 추상화라고 부릅니다. 저만의 추상화의 code는 집합론입니다.
자 우리가 구하는게 뭐죠? 이게 극값을 가지는 집합 아니겠습니까?
자 저어기 수많은 x값들이 있는데 저 방정식을 만족하는게 뭔지 고민해야 되는 거에요. 그런데 우리가 x에 대한 방정식으로 보면 너무 복잡하죠? 그래서 저걸 a에 대한 걸로 다시 보는 겁니다. 왜냐구요? 해의 집합은 단순해야 하거든요.
그래서 우리는 저걸 그때 아~ 하고 접선의 방정식으로 볼수 있는 겁니다.
자 다시 봅니다
g'(x)(x-a)=g(x)
이걸 a에 대한 방정식으로 보는 겁니다. 왜냐? 그래야 해집합이 단순하니까요.
그렇게 보면 이건 (x,g(x))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이라는게 딱 보입니다.
이게 뭔 의미일까를 생각하면 되죠. 이정도가 연습의 경계라는 겁니다.
이정도는 문제 많이 풀면 암기해서라도 보입니다.
자 그러면 계속하면 저게 0이라는건
alpha랑 beta에서 그은(만족하는 x의 값이니까)
접선의 방정식이 (a,0)을 지나죠?
그러면 우리가 말하는 "기울기 풀이" 의 전개방식을 무시하고 완벽하게 똑같은 결론을 얻습니다.
또한 극값이 같기에 접선의 기울기가 같고, 따라서 하나의 접선임을 알 수 있죠.
더 나아가 저게 0이 된다는게 접선을 그을 수 있다는걸 의미하기에.
즉, (a,0)에 그을 수 있는 접선의 개수를 따져 보면
그게 3개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이로부터 함수 꼴도 나오죠.
나머진 계산이죠?
뭔가 못 느끼시겠습니까?
저는 저기에서 제 행동 하나하나에 제가 납득 가능한 설명을 달고 있죠.
”그냥 생각한다“ 같은건 없어요.
제가 목표로 한 것이
제가 그냥 생각할 수도 있지만 물론(실력이 좋으니) 그런 가능성마저 배제함으로서
그냥 생각하지 않고 모든 것을 하나의 원리 아래에서 생각할 수밖에 없는 경로를 최선으로 만들고자 작업을 하기로 생각했습니다. 제가 이런 경로로 설정한 것은 ”집합“이었습니다.
모든 수학적 상황은 집합 간의 관계로 설명될 수 있으며,
문제를 푼다는 과정은 기본적으로 연산이므로 집합의 카운팅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바꾸는 것이 문제를 잘 푸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다루는 집합의 수준을 최대한 단순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집합의 수준이 단순하지 않다고 해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은 아니나, 연산을 위한 집합의 수준을 최대한 단순히 한다면 연산과정이 단순해지는 것은 자명하기 때문이다.
171130에서 a를 기준으로 봄으로서 접선에 대한 것으로 문제를 바꾸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x에 대해서 정리한다면 4차식이기에 (a,b,c,d,e) 라는 수의 나열로 집합을 표현할 수 있으나 a에 대해서 정리한다면 (a,b)의 간단한 수의 나열로 집합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차식으로 정리한 거죠!)
따라서 학생들은 기반 지식을 쌓아올림으로서 수학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그것을 직/간접적으로 활용하여 문제를 푼다면 어떤 문제든지 빠른 속도로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 정점 시절의 방식의 특징은 하나입니다
모든 걸 하나의 원리 아래에 놓고
그걸 명제로서 증명한 상태에서
명제 자체의 불완전성이 드러나거나
제 연습의 부족으로 드러날 수 있는 한계를 부수기 위해
더 어렵고 더 어려운 문제를 만들고 푼 것
이게 답니다 ㅎㅎ
별거 아니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
-
빌넣결과 0
정정기간에 해보고 그때도 못잡으면 다시 찾아와라
-
고민때문에 오르비에 처음 글 남겨봅니다.. 재수하게된 06입니다 작년까지 주변에...
-
독서: 니체 위버맨쉬, 기타 아무거나 문학: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질투는...
-
1. 인증을 한다. 2. 인증을 안지운다. 3. 인증 한 후 어그로를 끌지 않고...
-
사람한테서 나올 수 있는 점수임? 아니 ㅅㅂ rc는 잘 본 줄 알았는데 310...
-
근데 그 사람들이 검토위원이면 안되는거 아니냐?
-
참고 계란이랑 닭찌찌먹기.. 하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미리 하나 장만해두세요~~...
-
시중에 있는 아재개그 너무많이 쓰여서 사람들 알게모르게 n화독이 끝난 셈임 새로운...
-
공군사관학교나 항공대 가야하는거 맞아요? 동생 진로때문에 물어봅니다
-
아침 패스 점심 먹고싶은거 저녁 패스거나 과일 조각만 이렇게 먹어도 배 안고프네요...
-
이거 난이도만 개떡상시켜서 낼거 다 뒤져봐라
-
검토진 전원오답은 뭐임 ㅋㅋ
-
아예 안먹어야되나요? 그러기엔 배가 너무 고픈데 닭찌찌라도..
-
탐구 선택 2
국영수 부족하면 그냥 자신있는 과탐 하나 살리고 사탐 하나 끼는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패드팔아야하나 3
군대가면 패드못쓰니까 파는게 낫겠죠.?
-
오르비의 적백의대생 혹은 변태들이 더 잘풀거 같은데
-
젠지전 이후 언팔이 아닌게 더 궁금한게 아니야..? 2
시우, 하람이는 팔로우 아직 되어있으면서 갑자기 인스타 ui 업데이트 하는 그...
-
ㄹㅇㄹㅇ
-
라는 내용의 글을 쓰기로함 그래서
-
내일 생명과학 1 유전파트 4시간 무료 강의 들으실분? 1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kdP1...
-
나만앰생버러지백수쓰레기틀딱도태남이지
-
아침에 등교해야 하는가? O 공부를 잘하면 장학을 주는가? O 수능 공부를 하는가?...
-
국수영물1지1로
-
수학모고 0
작수부터 내려가면서 모의고사 풀고 있는데 원래 옛날 시험이 더 쉽나요? 최근 시험은...
-
본인 딸이 수시로 충청권 지방사립대 경찰행정학과 합격했는데 수능치니까 정시로 서울대...
-
추천해주세요 볼게 업음요
-
아 고민이네 1
지하철에서 프세카 스토리 7화까지 봤는데 지금 강의실에서 8화 봐도됨뇨? 이게 마지막화인데
-
수능 검토진 231122 전원오답ㅋㅋ 23수능 수학 만점자 934명...
-
음..
-
여학생=>거의 무조건 여자쌤 선호 남학생=>여자쌤 선호 걍 유대종 조교해서 시급...
-
나 아기호랑이 1
응애
-
맛난 점심 먹었습니다
-
Sky 다녀요=높은 확률로 고려대 서성한 다녀요=높은 확률로 서강공/한양문 중경외시...
-
점심시간 1
-
작년에 국어 37% 수학 70% -> 올해 국어 70% 수학 94%로 세종대...
-
??:넌 병신같이 생겼으니 병신샷~병신샷~ 나:힝 ㅠㅠㅠ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난 남자쌤하고만 하는데
-
무튼 여론은 도사님이 해결하셔야됨 무튼 이게 맞음
-
솔직히 나 정도면 투자 1등ㅇ급 가능하다고 봄... 1
전재산 풀 베팅 예금함
-
3명만 있으면 되는데ㅠㅠㅠ 연간권 80,700원인데 번장 당근 에타 다 올리고 똥줄타는중...
-
저는 투자 2
타점(저점) 잡는 건 상위 10퍼 안에 들 듯 줄먹이 힘들어서 그렇지
-
여르비 있긴 함? 16
다 남르비 같은데..?
-
지금까지 투자 받은 모든 금액에 제 마음을 얹어 돌려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옯스타 홍보글 보고 14
아무생각 없이 본계로 걸 뻔했네
-
강민철은 가능하지 않다 가능하다 필연적이다를 뒤에 일관성, 포괄성, 완결성이랑...
-
현강 모자 0
아니 맨날 머리 감는데 걍 앞머리땜에 거슬리기도 하고 아는 애들도 많아서 신경...
-
윤통시펌
Si대N 단발
17 11 응시하셧나요?
ㅏ뇨
그렇게 늙진 안음
이런건 푸는데 얼마나걸리셧나오
이거 10분?
저는 저런 방식이 제일 타협적이라고 봅니다
연산이 많다고 봅니다
결국 케이스연산도 연산이므로...
식이든 뭐든 수열로 정리 가능하니
그걸 최소화하고 단순화하는거
다만 절대 나쁜풀이는 아닌
이거의 핵심은 저걸 어떻게 생각하느냐 인거죠
저걸 생각하는 방법이 이 글의 핵심!
쪼개고 쪼개고 환원주의적으로 올라가서, 귀납적으로 맞다고 생각되면 공리와 같이 세워서, 근원적인 명제가 다시 디테일하게 적용되는.. 그런...
저어엉확
축하금 5000덕
ㄳㄳ
보자마자 x-a를 x로 바꿨다면..
그런게 차이죠
이제 x-a를 하나의 집합의 구성성분으로 보고
단순화 목적으로...

정말.. 발끝만큼이라도 따라가고 싶네요 맛집니다!잘못 읽으신 것 같은데...(x,f(x))가 아닌 (x,g(x))입니다. a를 새로운 변수로 보았을 때 (a,0)을 지나고 (x,g(x))에서 y=g(x)에 접하는 직선이니까요.
이항하면 0=g'(x)(a-x)+g(x)가 되서 그런거 같아요
아니요 율붕이님 말씀이 맞습니다. 자세한건 글을 쓰겠습니다
(?):존나 카리스마있어.
결국 스스로 하나의 체계에서 필연성을 자연스럽게 부여할 수 있을 때를 말하는건가요?
네 다만 필연성의 경로는 무한하죠
그게 물론 사바사일수도 있지만 현역 때 가능하다고 보시나요? 어느 정도 해야 안목이 트일지 넘 궁금해서.......
제가 아는 분 중에 20년정도 수학강사로 일하신 분이 계십니다. 그런데 글의 내용이 그 선생님이 추구하시는 방향과 상당히 유사한 점이 많아 글쓰신분의 대단한 내공을 느낍니다 ㄷㄷ.
A slight difference makes it a masterpiece
라고들 하지 않습니까?
그 선생님과 저의 차이는 작지만
제가 이해 못하는 더 높은 질서를 그 선생님이 가지고 계실 거 같네요 ㅎㅎ
칭찬 감사합니다
진짜 소름이 빡돋네 대박이다
이 문제 문돌이도 풀 수 있는 건가요..?
네 엄밀하게는요

긴말 안하겠습니다 "ㄱㅁ"와
질문이 있는데요, f프라임을 구하고 난 뒤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것은 x에대한 방정식에서 그 방정식을 만족하는 x가 원소인 집합이라 볼 수 있다고 하셨잖아요. 그런데 저 식을 a에 대한 방정식으로 보고 해석하셨잖아요. 그럼 해석 결과가 a에 대한 집합인데 원래 설정된 x에 대한 집합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나요? 혹시 식이 x, a의 관계식이니까 a의 대한 해집합을 해석하면 결국 x에 대한 해집합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는 생각이 내포되어있는 것인가요? 그래서 처음에 저 식을 해석할 때 a의 대한 식으로 해석해도 되겠다는 생각이 필연적이라고 느끼신건가요? 너무 어렵네요ㅠㅠ
그리고 번외로 해석하는 거 말고 단순 연산 관련부분은 그냥 문제를 많이 풀면 해결되는건가요?
그리고 마지막에 "모든 걸 하나의 원리 아래에 놓고
그걸 명제로서 증명한 상태"가 정확히 어떤 뜻인가요? 예시좀 더 주시면 안될까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