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 수학] 선택과목간의 유불리가 없다는 것의 의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210606
안녕하세요. Young Advisory입니다.
당사에서 이번에 "YA 수능 수학 공부방법론"이라는 책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책의 내용을 일부 소개할까 합니다.
이번에는 선택과목간의 유불리가 없다는 것의 의미를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산 바꾸는 상황으로 비유해서 설명드릴 것입니다.
그 영상을 아직 안보신 분들은 그 영상부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여러분들이 선택과목을 선정하는 상황은 우산을 들고 어느 강당으로 갈지 고민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여러분들 앞에는 "미적분학"이라는 강당, "기하"라는 강당 그리고 "확률과 통계"라는 강당이 있습니다.
먼저 학생 모두가 보다 좋은 우산을 가져올 수 있는 강당이 있을까요?
그런 강당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서로 우산을 바꾸기 때문이죠.
더 좋은 우산을 가져간 사람이 있다면 더 나쁜 우산을 가져간 사람이 있습니다.
교육부에서 이야기하는 선택과목의 유불리가 없다는 것은 이런 차원의 이야기입니다.
다만, 여기에서 세가지를 주의해야 합니다.
첫 번째는 그럼에도 약간의 유불리는 존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산 바꿔가는 상황이 완벽히 동작하기 위해서는 아주 제한적인 조건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수험생이 많고 동점자가 없고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라야 합니다.
이 중 어느 조건은 좀 완화되어도 됩니다.
예를 들어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이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고 서로 분포만 완벽히 같아도 됩니다.
이 경우 동점자가 있어도 됩니다.
그렇지만 실제로 다른 방향으로 이상적인 조건이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 유불리 존재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수험생 개인차원에서 유불리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가위바위보 게임을 할 때, 일반적으로 가위가 바위보다 유리하다거나 바위가 보보다 유리하다거나 그런 일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특정한 상황에서는 가위가 바위보다 유리할 때가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수험생이 기하를 아주 잘한다면 미적분보다는 기하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바로 위에서 말한 잘한다/ 못한다의 기준은 철저히 상대적인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기하를 제일 잘한다고 해도 기하라는 강당에 가는 애들의 우산이 다 자기 우산보다 못하다면 본전치기밖에 안됩니다.
그러나 미적분을 중간 밖에 못하더라도 거기에는 다 자기보다 좋은 우산만 들고 온다면 자기 우산보다 좋은 우산으로 바꿔올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세가지를 꼭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 좀 취했네 빠이티비 담에보자
-
하.. 0
아까전에 우울글들보고 고개를 절레절레했건만 지금 존잘존예6모만점자들을보고 나도 우울해져잇구나
-
하.. 존나 보송한게 레알... 첫알바사진같은데
-
수악중독 1
새벽 3시 40분에 수학을 풀어본건 인생 처음이네
-
딴거 ㅇㅈ 7
인생에 내세울게 이거밖에 없노
-
???:근데 아닐수도 있고..나중일수도 있어..
-
짜파구리 먹을까말끄
-
쪽지줘 :)
-
그냥 다 죽어라 2
개새끼들아
-
네시다 네시
-
그 눈 맞으면서 터벅 터벅 pc방으로 향했고 인터넷 등급컷을 보았었지 아직도 기억해
-
중학생 때였음 그리고 영재고 떨어짐 오히려 고3인 지금보다 더 열심히 했던 거 같음
-
하... 0
진짜 안자니까우울하네 공뷰나처할곳이지왜오르비를처하고안잣노 으아.
-
23년12월 다 올해 찍은것들
-
지브리 ㅇㅈ2 4
잘놀다갑니다
-
최고로 힘들었지만 역설적이게도 최고로 좋았던,, 그 때는 진짜 배움이라는 맛이...
-
보냄 끗
-
또 잠이 안 왕...
-
7월 6일이 밝았습니다...
-
그 땐 제가 공부 못했어서 그냥 벽 그 자체였는데 지금 수능 배틀 하면 제가 이길 수 있을까요?
-
세상 살면서 눈이 이렇게 소중하다는것을 몰랐음 초고도난시면 돈이랑 수술가능여부가...
-
지브리 ㅇㅈ 9
-
아잇 18
생각을 좀 잘못하고잇었ㄴ네 다들 감사해요
-
남자의 자취방에는 항상 15
콘돔이 있다
-
제곧내입니다 제가 교내에서 맡고있는 일이 있어서 어쩔수없이 등교자체는 해야하는...
-
나도 줘
-
덕코주세요 4
당당
-
큰닝앗어벌ㅋ서3십0나야
-
슬프다
-
지브리 인증.. 14
아니 근데 이렇게 안생김.. 이렇게 둥글둥글하지 않은데
-
ㅇㅈ 2 7
-
4시에 잘까 5시에 잘까
-
의사의사선생왈~ 0
와츄스모킹뭘피길래폐가녹색깔~
-
자러갈게용
-
ㅇㅈ 10
-
T1 지면 므시는 안봐야겠다
-
짜피 이제 모든 각도의 나를 알잖니 나는 보정하는 법도 모른단 말이다
-
인증 1
낚시
-
흠냐
-
언제와요
-
그 때 내가 졌었음
-
쪽지주세여 ㅎ 1
힣
-
자기 힘으로 감당하기 힘든 일들에 대해서는 신중해질 필요가 있는거같다 5
사촌오빠 평균 3등급 정도 되는 걸로 아는데, 한의대 가겠다고(정확하진X 걍...
-
7시에 일어나서 msi 봐야하는데
-
술을 안먹고도 술을 먹었던 급으로 정신이 오락가락함
-
몰르는 문제가 있는데..
-
추억 ㅇㅈ 2
내 친구 오뿡이
-
채점하기가 너무 무서운데 어떡하지요 중간 기말 합산한 등급과 결과는 방학식 때...
-
천마현세 만마앙복
확통 10분도 안걸리고 다맞는데 확통하는게ㅜ맞져
확통 선택자의 "공통과목" 점수가 기하 선택자들의 "공통과목" 점수보다 낮다면, 확통 만점보다 기하 몇 개 틀린 사람의 조정 원점수가 높을 수 있습니다.
어떤 선택과목의 점수를 높게 받을 수 있다 없다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기하 몇개틀린사람의 조정 원점수가 더 높다고 한들
미적,기하 하고 문과로 넘어오는 수가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잘하는 확통 버리고 문과임에도 불구하고 미적,기하 하는게 의미가 있나요?
1. 일단 문과임에도 미적, 기하를 잘할 수 있다면 바뀐 제도의 수혜를 가장 크게 입을 수 있습니다.
2. 잘한다/ 못한다의 기준은 잘 생각하셔야 합니다. 본문에서 언급한 세번째 경우를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순히 확통시험을 보면 기하보다 점수가 높을 것 같아서 확통 선택한다. 이건 좀 위험합니다.

감사합니다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시간 되시면 제 게시물 유의해서 보아주시길 바랍니다.
조정 원점수 산식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본문 중에 ‘서로 우산을 바꾼다’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게 무슨 의미인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네 아래 제 게시물을 참조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orbi.kr/00037192757
본문 시작에 그 영상을 보고 오라고 하신 것이 저 링크에 있는 영상이었군요. 안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
네 감사합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기 바랍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글과 영상들 전부 잘챙겨보고 있어요 앞으로도 많은 칼럼영상 부탁드립니다
네 감사합니다!
수험생이 10명이나 20명도 아니고 점수분포는 당연히 중심극한정리에 의해서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봐야죠...
정규분포를 따르려면 동질적인 수험생들 등의 조건이 필요합니다. 실제 원점수 분포는 정규분포와 차이가 있습니다. 앞으로 수험생들 분포에 대해서는 여러 주제에서 자세히 말씀 드릴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