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ector Javert [1005325] · MS 2020 · 쪽지

2021-04-06 11:09:27
조회수 647

그냥공부하다가 든 생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029871

며칠전에 쓴거처럼


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논문입니다) 


혈액 30% 이상을 잃는 상황에서 

vasoconstrictor->vasodilator 로


혈액 내 성분이 3시간 후에 바뀌었는데


이걸 생물학, 생리학에서는 중요할수 있지만

의학의 관점에서는 이미 그정도로 심각한 출혈 후 3시간이면 사람이 죽었을 것이기에


다루지 않는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본다


자세한건 또 배우겠지만..

생리학의 바이블이라고 하는 교과서에서 다루지 않음은

이유가 있지 않을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