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사 [684650] · MS 2016 · 쪽지

2021-03-19 13:53:25
조회수 5,000

C형 간염 환자로부터 수혈 받아서 간염에 걸리면 누구 책임일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742643

작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 주제가 C형 간염입니다. 그 동안 C형 간염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는데 수상자들이 이 바이러스에 대해 자세히 밝혀냈죠. 수혈을 통해 C형 간염이 전파된다는 내용입니다. 


이건 C형 간염 환자로부터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들이 항바이러스 케어를 잘 받으면 해당 간염에 걸리지 않는다는 NEJM 기사입니다. 바꿔말하면 해당 조치를 하지 않으면 C형 간염에 걸리게 된다는 말이죠.



그럼 그 동안 항바이러스 처치 없이 C형 간염환자의 피를 수혈받은 환자들은 해당 간염에 걸렸다는 건데 이를 병원이나 의사 탓으로 돌릴 수 있을까요? 아니면 의학발전이 더뎠던거라서 어쩔 수 없었다고 책임을 회피할 수 있을까요? 여러분들 의견이 궁금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Honk · 953724 · 21/03/19 13:55 · MS 2020

    책임을 물을려면 잘못된 행동이라는 인식이 있어야 하는경우가 대다수니까 새 사실로 과거의 일에 소급적용하는건 무리인듯

    그렇게 따지면 어디꺼지 소급해야하는가에 대한 문제도 생기고

  • 영어교사 · 684650 · 21/03/19 14:01 · MS 2016

    소급적용이 어렵다는 말씀이시네요. 사실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어요. 그런데 만약 저 사실이 알려지고나서도 해당 조치가 없어서 간염에 걸리는 일이 생기면 그때도 책임질 필요가 없는 지 궁금합니다.

  • Honk · 953724 · 21/03/19 14:10 · MS 2020

    사실이 널리 알려지고나서도 할 수 있었는데 안했다면 책임을 물을 수 있겠죠

  • 무색성향미촉법 · 815490 · 21/03/19 13:55 · MS 2018

    법학에서 말하는 책임성의 조각과 비슷한 식으로 생각하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 영어교사 · 684650 · 21/03/19 14:02 · MS 2016

    비난받을 수는 있어도 책임질 필요는 없다는 말씀이시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사실 토론수업 주제라서 찬성반대 모범의견을 수집하고 있어요.

  • 노루 · 478820 · 21/03/19 13:58 · MS 2013

    장기이식 안받았었으면 죽을텐데 선택의 여지가 있나요. C형 간염은 당장은 죽는 병은 아니고 최근에는 충분히 완치도 가능하죠..

  • 영어교사 · 684650 · 21/03/19 14:05 · MS 2016

    일단 생명을 살려놓는게 중요하다는 말씀이시네요. 이전에 있었던 일들은 어쩔 수 없지만 앞으로 생기게 될 수혈이나 장기이식 중 발생하는 감염병에 대해서 의사의 책임은 없는건 지 노루님 의견이 궁금합니다.

  • 팟팅팟팅팟팅 · 1010584 · 21/03/19 21:04 · MS 2020

    수혈을 맡은 의사,간호사가 채혈당시 본인의 행위가 중대한 결과를 야기시킬것이라는 것을 예상치 못하였고 중대한 과실이라고 보기에 적합하지않음으로 의사와 간호사에게 비난의 화살을 날릴순 없겠네요,다만 이제부터 같은일이 발생치 않도록 대비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