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답률 59% 문학, 문제만 보고 푸는 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601700
아까 글에 있던 친구가 한 질문입니다.
정답률 59% 21.12.40 문학 문제입니다
아시다시피 문학에서 이 정도 정답률이면 꽤 어려운 문제입니다
이번 겨울 독서를 위주로 가르쳤던 저는 작년 수능날 이후로 문학을 본 지가 꽤 됐었습니다.
방금 과외 끝나고 오는 길에 문제만 보고 풀어봤습니다.
여러분도 한 번 풀어보세요
일단 보기와 선지를 보니 지문은 시 문학이고, 적어도 소설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설이면 인물관계가 위주로 출제되니까요
기억을 더듬어보니까 (나)는 시 문학, (다)는 수필이더라고요
딱 이 정도 잡고 보기 봅시다
이항대립입니다
고요 - 외적
- 내적
(나)는 고요의 충족 여부는 말해주지 않고 있지만, 외부와 내부를 모두 봐야한다고 합니다.
(다)는 외적 고요가 충족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내적 고요를 이루는 노력을 보여주는 것 같네요.
여기까지 잡았습니다
선지 들어갑시다
정답을 고르는 게 아니라 정답의 후보를 고를 겁니다
1) 12%
낙엽 소리가 들리니까 외적 고요가 깨진 거 아니냐고 판단하는 게 주요 오답 포인트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합시다.
낙엽 소리가 시끄러움의 상징인가요? 고요의 상징인가요?
고요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게 더 개연적입니다.
일단 정답의 후보는 아닌 것 같네요
2) 4%
낙엽소리를 임이 오는 소리로 착각한다?
다시, 상식적으로
고요와는 결이 멉니다.
'화자는 고요할 때 임이 오는 걸 잘 파악할 수도 있잖아요?'
그게 뇌피셜입니다
문학은 전제/근거를 추론하는 과목이 아닙니다
------------------------------------
3) 13%
슬픔은 당연히 고요와 연결지을 수 없겠죠
'사물에 닿는 것'과 '옛집을 돌아본 경험'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잘은 모르겠지만
일단 정답의 후보로 보긴 무리가 있습니다
4) 11%
필자가 내적 고요를 추구하는 건 당연합니다
'당호를 새집에서도 사용하는 것이 외적 고요와 연결되는가'가 문제네요
솔직히 이건 잘 모르겠습니다
지문을 봐야 확신을 얻겠네요 (지문을 보니까 당연한 소리였습니다)
일단 정답의 후보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 갖고 5번 보겠습니다
------------------------------------
5) 59% : 정답
외적 고요만으로는 내적 고요를 이루기 힘든 건 문장 자체만으로 봤을 때 개연적입니다
누군가가 선지와 같이 지적하는 건 틀린 지적이 아니죠
화자가 외적 고요만으로 내적 고요를 이룰 때는 그렇습니다
그러나, 화자가 그런 식으로 고요를 추구할까요?
비관적인 시가 아닌 이상 화자는 언제나 자기가 가장 옳고 좋고 그럽니다
게다가 이 시는 고요의 추구를 말합니다 ( (다)는수필이긴 합니다만, 그게 중요한 건 아니죠 )
당연히 외부에서 고요가 안 일어나도 내가 고요하면 된 거다 라는 태도를 보이는 게
훨씬 개연적입니다
따라서 너무 말이 안됩니다
5번 선지가 답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답이었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봅시다
있는 그대로만 보세요
보기에서 주는 작품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내가 필자라면, 어떻게 시를 쓸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관점도 있다'라고만 챙겨두세요
피램으로 기초를 다진 뒤 최인호 선생님의 문학 방법론을 잘 섞으시면
이렇게 풀게 되더라고요
굳이 이거 따라하려고 안해도 됩니다
자칫하면 오히려 독일 수도 있어요
그리고 저도 시험장에서 문제만 보고 풀지 않습니다 ㅎㅎ
여담인데,
이제 문학은 일정한 문학 작품 해석 능력만 갖추면
'독서 능력이 좋아야 잘합니다'
제가 거의 수능 독서 위주로 가르치는데 작년 9평 문학을 20분 안쪽으로 푼 이유는 여기에 있습니다
(작년 수능은 학교생활 틈틈이 푼 거라 시간을 모르겠지만, 20분 조금 더 걸렸던 것 같습니다)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
고등학교 내신대비 사회 과학 단기완성특강, 이지수능교육과 함께!
[상상국어 이벤트] 상상국어 x 유현주쌤 6모 대비 모의고사 베타테스트
[SWITCH 학습PT] 전과목 1등급 학습코치진 1:1 ON+OFF 학습코칭 시스템
0 XDK (+100)
-
100
-
심심쓰
-
시간부족 맞음? 절대 오답률 탑3 난이도가 아닌데
-
실제로 도와주다가 역관광 당하고 누명쓰고 감사하단 말 듣지도못하는 일이 실제로...
-
감사합니다 7
성원에 힘입어 자러가겠습니다 굿밤
-
3평 수학확통 2
확통 원점수 96이 표점하고 백분위가어떻게되죠??
-
새르비 입갤! 2
ㅈㄱㄴ
-
맞는 게 없어서
-
본인 이상형 1
이과여자 이거면됨
-
뭐가 좋을까요??? 바가지? 투블럭?
-
어제 노래 재업 4
https://soundcloud.app.goo.gl/EjCfa2NuwyjJ3bbU9...
-
옯신이라고 합시다 옯 + 신 옯창은 어감이 별로임
-
3분 정도의 짧은 비공개 칼럼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칼럼으로 연결됩니다.)...
-
이거 호불호 많이 갈리던데 전 뭐든지 저를 1순위로 챙겨주는 사람이 좋음. 괜히...
-
개인적인 생각이긴 한데 상황이 뻔한건 둘째치고 값이 두개인데 최소라는 표현을...
-
월월 12
멍멍
-
"틀린 문제가 없으니까"
-
맞나요? 어느정도임?
-
아 근데 잘부르면;;
-
나만 개꿀잼으로 시청했었냐ㅑㅑ ㅋㅋㅋ 아내의 맛 다시 살려내라고...
-
팔로워 구함 8
추하게 맞팔같은거 안함 근데 저는 팔로워분들은 다 팔로우해드림
-
개인적으로 탑텐 대학일수록 과잠 극혐이라 (뭔가 자아도취 티내는 느낌) 지방대...
-
호우 !
-
왜 벌써 졸리니 4
아직은 때가 아닌데
-
문제는 4
제가 야식을 먹으면 한 20% 먹다 질림...
-
그냥 확통 아랍어로 존버 타는게 맞죠?
-
세수만 하고
-
2021수능 산수 1컷을 92로 만든 치타들과 항상 6.9보고 문과로 도망오는...
-
ㅈㄱㄴ
-
뉴스에 작은 잘못이라도 나오면 온갖 욕,악플을 달음. 그정도로 심각한일이 아닌데도...
-
고민.. 0
수능 안치기로 생각했으면서 여기 들락날락 거리느뉴것도 그렇긴 한데 하나만 들어...
-
그러니까 단결해보자 엔팁드라 우리가 mbti중에 최고인 이유 설명할수 있자나
-
대신 문과도 똑같이 보는거야 문제는 45문제로 늘리고
-
오늘은 세월호 7주기 날입니다. 안타깝게 사고당하신분들을 추모하고 기억합시다
-
날짜 아시는분 계세요??
-
속보)국민의힘 이채익 의원, 기업 승진 군경력 반영... 2
군복무로 인해 늦게 입사했는데, 승진자격에서도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은...
-
미쳐버린 실검과 마지막까지 연기를 외치는 사람들.. 무당떡밥도 절대 못잊을듯.....
-
기하못잃어 엉엉 8
기하러들 꼭 공통과목 만점 받아서 우리 기하 꼭 지켜내자! 난 기하못잃어 엉엉
-
1.스왓컷 2.바가지(?) 머리 3.옆에 살짝 곡선있는 투블럭 뭐로 할까요?
-
정시 수시 0
일반고 문과 내신은 5점대 나오고 모고는 436444 나오는데 정시로 돌릴까
.
칼럼이나 자료를 보고 생긴 질문들이나, 본인의 학습 방향 등을 상담을 통해 점검받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수단으로 자유롭게 연락하시면 됩니다.
오픈채팅방 : https://open.ㅋakao.com/o/sGeS8oOc (ㅋ을 k로 바꾸세요!)
인스타 DM : gist_harrykane
[케인의 2020년 칼럼 정리]
https://orbi.kr/00034624645
[필독] 여러 공지사항들
https://orbi.kr/00034607455
지문을 아예 안 보고 푼 거라 실제 옳은 풀이 과정과 조금 결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가볍게 봐주세요 :)
ㅅㄷㅎㄷ
우와..........
ㅋㅇㅊ

옯인호어... 외적 고요가 있든 없든 나는 내적 고요만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해석하는게 맞나요?
5번 선지에서 '누군가'의 비판이 정당하려면, 그들의 비판처럼 화자가 외적 고요만으로 내적 고요를 추구해야겠죠
그런데 화자가 그럴 리가 없다는 겁니다
차라리 외적 고요가 있든 없든 내적 고요를 추구하는 게 훨씬 개연적이라는 거죠
오우 깔끔하게 바로이해됐어요 ㄷㄷ...
구웃 ㅎㅎ
이는 독서 지문에서도 적용됩니다
사실 전 보기를 보자마자 외적 고요는 고요를 이루기 위한 형식적인 측면, 내적 고요는 내용적인 측면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형식은 내용을 효과적으로 담기 위해 설계된 것일 뿐이기에, 내용이 항상 우선입니다
이는 평가원 독서 지문에서도 빈출되는 대립코드이자 흐름입니다!
참고해보세요 ㅎㅎ
실제로 (다)의 첫 부분은 '마음이 고요하면 날씨가 어떻든 상관 없다'는 내용이 나와있습니다 !
문학이 아무리 날고 뛰어봤자 비문학에 비비개 쌉 불가능 지금 수능국어가 어렵다 워딩 자체가 틀림
수능 비문학이 어렵다 이게 맞음
중상위권 학생들이 문학을 어려워 하는 이유는 비문학은 순수 독해력으로 뚫을 수 있고 문학은 문학적 해석력을 어느 정도 갖춰야 하기 때문이죠
즉, 거칠게 말하면 문학을 못한다는 건 공부를 안했다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이거 풀때 천천히 1번부터 보면서 긋고 있었는데
5번이 너무 말이 안되어서 응 틀렸어 하고 넘어갔던게 기억나네요
ㅋㅎㅋㅎㅋ 좋죠~~~
와 ㅋㅋㅋㅋ 케인님 글은 읽을 때마다 감탄하네요

어휴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문제만 보고 4 또는 5는 알았는데 여기서 5 추론하는게 예술이네요 ㄷㄷ
ㅎㅎ 고맙습니다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