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분 복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576695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저는 강의듣고 담날 그 지문 복사해서 분석해보고 전날 강의에서 하신거랑 비교해보는 식으로 하고 있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직 5모안본 재수생 오르비 놀러왔다 바로 ㅌㅌ
-
고딩때 했던생각이 차라리 빠따좀 맞고 끝내고싶다 이거였음 2
생기부 목줄쥐고 협박당하느니 걍 몇대 맞고 끝내고싶었음
-
괜히말했나 3
뭔가 ㅈㄴ 큰 공을쏘아올린거같은데 ㅋㅋ
-
이젠 행정구역마저 지 ㅈ대로 바꿔버리네
-
과외 팁좀 ㅈㅂ 0
공통수학 과외 하는데 이미 몇바퀴 돌린애라 개념수업은 안해도됨 마더텅 숙제 내준거...
-
이러시는 이유가 뭔가요 21
미성년자한테 ㅋㅋ
-
지금 378페이지 푸는데 6평 전까지 끝 낼 수 있나 개학날부터 풀었는데 돌아버리겠네
-
릴러말즈 3
조음
-
백만덕 가쥬아
-
부분집합의 성질이 전체집합으로 상속되지 아니한다.
-
왜 아무도 안 들어주는 지 알 것 같으면 개추
-
사랑한다연세
-
앞으로 평생 봐도 괜찮겠다 싶을 정도로... 그냥 반수를 접을까...
-
차단했었네
-
. . .
-
컨텐츠관리자
-
간 이유는 뭔지 물어봐도될까요??
-
시대인재 김현우 선생님 수업 관심있어서 들어보려고 합니다. 시대인재 강사분들 수업이...
-
작년 메디컬 입결 이정도고 (중복, N수 포함)나머지 입결이 이정돈데 (얘도 중복,...
-
강남 산게 자부심인가 11
부모덕 아님?
-
뭐야무슨메타야 8
어디야어디
-
3모 5모 다 높4로 마무리를 했지만 이투스 정도는 3입니다..ㅠㅠ 겨울방학때는...
-
빨리 듣고싶은데 답답하네요
-
엥? 2
그게 결론이 왜 그렇게나지
-
상습범이네
-
서울사는 게 저 사람의 유일한 업적인데 어떡함. . . 8
이해해드려야지 . . .
-
오르비에 11
무슨 빌런 보존의 법칙이 있는거도 아니고 한명사라지면 한명나오네
-
AB=√3 BC=2이고 각 CBA=π/2인 직각삼각형 ABC와 선분 BC를 이름으로...
-
아닙니다..
-
경한 가고싶다… 수학 12 15 29틀렸네요 10번에서 쓸데없이 너무 시간씀 힘들다 ㅅㅂ
-
확통 끝내주게 잘하는 여붕이랑 결혼하고 싶다….. 10
오늘부터 생긴 소망이다…
-
로 시작하고 00년생부터는 뒷자리가 3, 4로 시작한대서..... 이거 저만 신기한거예요?
-
ㅈㄴ맞아야댐?
-
수2 일주일 뒤에 끝낼거같아서요 참고로 5모 등급컷기준 미적중간2 엔티켓 빅포텐...
-
시발 다행이다
-
흠 5모 국어 3
풀어볼까요 풀지말까요 어차피 담주부터 앱스키마 시작이라 당장 내일은 할거없긴한디
-
안 불편함??
-
지금까지 학평 등의 시험 전날에는 항상 총정리하는 식의 공부를 해왔는데 아무래도...
-
5월 13일에 학원에서 미적으로 보는데 지금 기하런할까 고민중이여서 기하 한번...
-
언급이 전혀 없네요 문해전 들으면 굳이 들을필요 없을까요???
-
릴러말즈 4
조아
-
최저에 국어가 필수라 오히려 정시파들이 수리논술에서 이득일수도
-
한달에 엔제,기출,실모 전부 포함해서 대략 몇문제 푸시는거같나요? 현역인지 엔수인지도 알려주세요!!
-
으어 취한다 0
으흐흐
-
목표 대학 어디임 40
댓 ㄱㄱ
-
시간 박아도 감 안 잡히는 문제는 오랜만이네...
저는 강민철 선생님 방향대로 하려는 게 아니고 기존 제 방식에 조금씩 보태는 느낌이라서
다 끝나고 복습하려고요 대신 익힘책 풀면서 배운 부분을 한번씩 적용하는 느낌으로 하고 있어요
사실 다음날 지문 다시 보면 너무 기억이 선명해서 기억이 흐릿해졌을 때 체화가 되었는지 확인해보려고요
아하 그렇군요....
질문이 하나 더 있는데, 김승리 쌤을 작년에 수강했는데, 이 쌤은 지문에서 체크해둘 표지
(ex: 비교 대조>ㅇ◇) 가 있던데, 강민철 선생님은 이런게 따로 없는거 같아서, 어떨때 밑줄치고 그런걸 잘 모르겠던데 어떻게 처리하시나료?
제가 김승리 선생님 강의를 수강한 적이 없어서 그러는데 표지가 구체적으로 어떤 건지 더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예를 들면 서양과 동양에 대해 설명하는 글에서
서양에 특징 서술하고 동양에 특징을 서술한다 하면, 서양-동양이 비교 대조되는 특징이잖아요? 여기에 동그라미-세모 이런식으로 표지를 달아두고 특징을 비교하는 문제가 나올때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두는 거죠
아 저는 비문학은 지문 보기 전에 문제들을 대충 봐서 키워드를 알고 들어갑니다. 그래서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 어느 정도 알기 때문에 이 부분이 핵심 정보인지 아닌지 체크합니다.
문학 같은 경우는 인물과 감정이 나온 부분, 장소, 시간 등을 위주로 체크하고 이 부분도 역시 문제에서 물어보는 것을 위주로 더 체크하는 것 같습니다(시간의 흐름을 물어보면 시간 위주, 감정을 물어보면 감정 위주)
아 그러면 따로 표지는 없는건가요
결론적으로는 문제 또는 지문의 앞문장(비문학) 정도는 살펴보고 들어가는 게 좋습니다
그러면 지문에 연필로 아무 표시도 안하시고 읽으시나요?? 아니면 밑줄치는 기준이 있으신가요?
당연히 표시를 하죠
1.비례 관계(화살표로 위아래 표시)
2.공식(옆 부분에 따로 정리)
3.중심개념 하의 세부정보(동그라미 치고 번호)
4.전후관계(밑줄치고 반직선으로 이어줍니다)
5.대조관계는 각각의 문단별로 구분이 된다면(2문단은 동양, 3문단은 서양) 머릿속에 넣고 넘어갑니다
하지만 한 문단 내에서 바로 나오는 경우는 정리하기 힘들어서 체크를 해둡니다
비교 대조는 하나의 기준으로 비교하기 때문에 대괄호로 기준이 나오는 부분을 묶고 번호 표시해서 문제를 풀다가 돌아올 때 보기 쉽게 해놓습니다
방법은 사람마다 취향차이라서 최대한 많은 방법을 써보고 고르는 걸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