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칼럼] 200928(나)로 보는 기출분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569746
I. Introduction
저는 수학 (가)형 응시자였고,
재작년, 즉 20년도 평가원 100 96 96 임을 밝힙니다.
(집에서 친 21년도 평가원은 92 100 100)
개념학습에 난항을 겪거나 풀이의 애매함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아 글을 씁니다.
혹여나 그런 분이 아니더라도 한 번 읽어보면 도움되실 겁니다.
글이 기니까 바쁘시면 쟁여두고 시간 날 때 읽으시길 바라요.
II. Body
다룰 문제입니다. 풀어보지 않으신 분들은 먼저 풀어보는 걸 권장합니다.
한 번 뚫으면 굉장히 쉬워지지만, 처음 보면 난해할 수 있어 가져왔습니다.
이 타입의 문항은 몇 번 출제가 되었기 때문에, 해당 유형을 학습한 분들은 아시겠지만
굉장히 다양한 풀이가 있고 무엇이 좋은 풀이인지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제가 알고 있는 풀이들을 써보겠습니다.
풀이를 처음 봤다고 가정하면, 수험생은 크게 두 가지 반응을 합니다.
① 해설을 보면 풀겠는데, 비슷한 문제를 보면 못 풀겠다.
② 대체 이런 생각을 어떻게, 왜 하는지 모르겠다.
지수/로그방정식 문제라 지수/로그 개념을 다시 보고 왔지만 모르겠습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개념인강을 다시 볼까요? 문제를 더 풀어야 할까요?
뭘 봐도 이런 문제는 어떻게 풀어야 할지 안 나와 있는데... 어떡하죠?
수학을 어느 정도 공부하다 보면 이런 순간, 즉 정체기가 오곤 하죠.
한 번 개념 공부를 다시 해봅시다.
어떤 책이든 상관없지만 가장 내용이 간단한 책, 교과서(천재교육)를 사용하겠습니다.
문제 푸는 데 필요한 개념을 추려보면 이쯤입니다. (기본을 제외하면)
그런데 달랑 저걸로 뭐 어쩌라는 걸까요? 이건 거제도에 있는 개도 아는 건데?
하지만 교과서에 다른 내용은 없는데...
열심히 보다 보니, 지수법칙 ④번을 제외하면
지수와 로그의 연산은 모두 밑이 같은 상황을 다루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밑이 같은 상황.... 밑이 같은 상황이라... 풀이를 다시 보겠습니다.
갑자기 밑 변환 공식을 왜 쓰는 걸까요? 혹시 로그의 밑을 같게 만드는 것 아닐까요?
다음 풀이를 봅시다.
이번에는 역수를 취하네요?
혹시 로그의 진수가 모두 k인 점을 이용해, 역수로 돌려 밑을 k로 바꾸는 걸까요?
윤곽이 잡히기 시작합니다.
여기서는 p로 두고 역수를 취하네요. 진수를 임의로 잡고 역수로 밑을 통일시켜 계산하려는 거겠군요.
k로 지수를 넘깁니다. 지수를 계산할 때, 밑을 k로 통일시켜 계산하려는 거겠네요.
아. 그럼 풀이의 생각들은 밑을 같게 만들기 위한 노력이었군요. 다음 문제도 풀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이 유형의 문제에만 국한되는 풀이일까요? 지수/로그 단원 전체를 아우르는 관점은 아닐까요?
우리는 사실 이 원칙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211207(나)
이런 문제를 풀 때 무의식적으로 밑을 같게 만들죠. 문항이 새로워 보이니까 당황했을 뿐입니다.
그러나 '지수/로그의 계산은 밑을 같게 만들어야 한다'라는 사실을 의식의 영역에 새기는 순간을 만들었습니다.
결과적으로 풀이에 필연성을 부여하고, 어려운 문제를 풀 때 안정감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다음부터 지수/로그 대수문제를 풀다 막힌다면 밑을 같게 만드는 방법을 고민해야겠군요.
III. Conclusion
이렇게 200928(나)에 대한 분석을 마쳤다고 합시다.
결론을 도출하면서 특별한 스킬이나 대단한 발상을 이용하지 않았습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교과서를 펴고 해당 단원을 훑어본 뒤, 이것밖에 없는데 싶은 걸 이용했을 뿐입니다.
그런데 해당 문제에 대한 분석뿐 아니라 비슷한 유형, 더 나아가 단원을 바라보는 관점을 얻었습니다.
어떤 생각이 유의미한 결과를 만들었을까요?
본문을 서술하면서 한 군데 강조를 했습니다. 딱히 내용이 이것밖에 없다.. 라는 부분이죠.
수능 시험범위는 교과서라고 못이 박히게 들었습니다.
이 말이 함의하는 바는, '최소' 교과서만 봐도 풀 수 있는 문제를 낸다입니다.
말씀드리고 싶은 건, 문제로 나온 내용이 교과서에 무조건 있다는 겁니다. (교과서만 보라는 게 아닙니다)
교과서에서 배운 상황과 다른 문제? 나오지 않습니다. 왜, 배우지 않았으니까요.
다르게 말하면 이렇게밖에 못 풉니다. 왜, 배운 게 이것밖에 없으니까.
따라서 내가 배운 것이 무엇인지,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은 언제인지 정확하게 인식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
문제를 천천히 내가 아는 범위로 끌고오세요. 본인이 세운 몇 가지 대원칙에 맞춰 행동하는 겁니다.
이 원리가 적용되는 건 풀이과정뿐만이 아닙니다.
'식의 개수와 미지수의 개수가 같다'라는 둥의 원칙은 발문분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런 원칙을 점점 다져가면서 통합시키고, 케이스를 나눠보고... 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문제에 적용하는 겁니다.
이를 반복하다 보면 단원에 학습할 내용이 점점 없어집니다. 다 비슷한 문제로 보이는 경험을 하게 될 겁니다.
다만 위의 예시와 같이, 교과서를 보고 '어떤 상황을 다룬다'라는 걸 인식하기가 힘듭니다. 불친절해서..
혼자 하기 위해서는 행간을 읽고,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찾거나 유기적으로 내용을 연결해야 합니다.
문제를 풀 때는 표현을 보고, 배운 내용들을 모두 정확하게 떠올린 후 연결해야 합니다.
(중학교 때 선생님이 하신 말씀 중에, 수학은 암기과목이라는 말이 떠오르네요.)
그래서 교과서와 기출문제를 대신 분석해주는 사설 컨텐츠를 이용하죠.
하지만 강의를 듣는다고 모든 문제가 풀리지 않습니다. 모든 내용을 단번에 흡수할 수는 없으니까요.
또 이 과정을 본인이 스스로 수행한다면 응용력이 비약적으로 강해집니다.
그러니까 개념을 '돌린다'라는데 너무 집중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공부해나가면서 자신이 이 문제를 풀려면 무엇을 해야하는지, 발견하지 못한 건 무엇인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책을 다시 펼쳐보고 문제를 풀어보고... 이 과정에서 개념학습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본문의 내용과 비슷한 무언가를 스스로 발견해냈을 때에는
분명히 괄목할 만한 성과가 찾아오리라고 믿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해내기를 소망합니다.
질문은 항상 받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500)
-
500
-
소농민 1
-
올해거도 ㄱㅊ 구해다가 벅벅 풀거라
-
고1수학 강의가 하고싶구나
-
20250515 0
현생이랑 공부랑 같이 하는 게 쉽진 않다 하지만 누구나 저마다의 어려움이 있다
-
환자한테 이렇게 불친절한 교수는 첨보네
-
그냥 새벽에 혼자 적적해서 다시 하는거임.
-
잇올 러셀 2
잇올 가격 얼마임요??? 반수생이용 글구 러셀 셔틀 얼마정도 하나요??
-
이게 사회문화다 0
사회화 기관에 대한 공식적 사회화 기관이 있구요. 비공식적 사회화 기관이 있구요....
-
수열이 분모에 있는거 볼때마다 그냥 풀기 싫다는 생각밖에 안들고 너무 힘든데 이거...
-
기하 과외 숙제 복습 더브로커 프로15개 Qed위콤 하루치
-
시간 낭비 조지게했네
-
우진쌤이 공통 스타일 차이 있다고 하셨는데 전 2회가 널널해서 이 차이를 알고 좀 개선하고 싶음요
-
외워야하나
-
퀄리티는 좋은데 이게 수능이랑 좀 괴리가 있는거같음 미적은 ㄱㅊ은데
-
미적 28~30번 문항입니다. 난이도는 3.5~4.0 / 5.0 정도 입니다....
-
92점. 14번 28번. 문제 되게 좋고 개인적으로 체감난도가 상당히 높았다.....
-
부엉이우흥 1
?
-
4일차 1
감기 걸린 거 같아요 내일 병원을 가야겠어요
-
준식국어야~~ 1
너 방법처럼 공부하니까 1.보조사 독해가 엄청엄청 중요하다는것 2. 생각한후...
-
어 이길거야
-
시대인재 생지 0
작수 생명3 지구4였고 지금 오지훈이랑 백호 인강으로 듣고 있고 서바때부터...
-
3모 84 4덮76 5모88 킬캠 1회 76, 2회 81
-
정신과가서 약타먹는 수밖에 없나 걍 고쳐지질 않음
-
아주 오래된 생각임
-
차비라도 하라며 돈 챙겨주시면 기분이 좋음
-
흠... 전장조건 맞추고 다니면 밥도주고 시간표도 빡빡하고 외출금지도 맘에들고...
-
잇올에서 사람들 역사만화? 그런거 많이 보던데 그거 어디서 보나요ㅜ 5
와이파이는 막혀있는데 뭐 보는걸까요..
-
보통 4~5시에 자고 학교가서 자는데
-
꽉 채워서 가야겠음 모든 문제의 도구와 발상은 내 노트를 못벗어남
-
5연1틀함
-
ㅈㄴ 쥐꼬리만큼 뽑는 정시도 요즘은 2등급 2개정도 있어도 갈 수 있는데.....
-
작년꺼 푸러야하나..
-
흠..
-
효율은 모르겠고 일단 추가 공부하는중이라 신나구먼
-
https://m.cafe.naver.com/pnmath/3833718 허걱스
-
아닌가 이게
-
위치 대전에 to 순천향급 아닌가 왜 인식 들어보면 건글이랑 비비는거지
-
ㅠ 0
파동단원 왤케 어려운거야 역학이 훨쉬움
-
살아서 무엇하냐 8
도태된 삶 캐삭하고 새로 파고싶다
-
Kbs 고전시가 너무 보기 싫어서 지금 한 강도 수강 안했는데 ㅜㅜ
-
뭐가 맞을까요 15
넵
-
수2 질문 5
박스친 부분이 가능힌 이유가 맞는지 애매해서 질문드려요 ㅎㅎ.. 아 x<1
-
재수생 안뽑음 +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어이없는 수시우대 학교라서 수시 일반...
-
김승리 모고 1
현장 기준 화작이나 언매 등급컷 알고 계신분들 있으신가요??
-
다들 안녕히 주무세요 저 기절 직전임
-
병원 다녀왓더니 진이 쭉빠져서 계속 잠
-
문학은 12
-
이재명 왕님 공약대로 서울대 10개 되면 서울대 졸업장 값어치 개박살날듯 ㅋㅋㅋㅋ...
안배워서 못푸는 건 없죠...보고도 이게 어디 단원인지, 그때 뭘 해야 하는지 제대로 몰라서 못푸는거지 ㅜㅜ
전자는 학습이 부족한 것이고, 후자는 이 글의 목표 독자입니다.
저거 교육청 모의고사에서 이미 많이 나오던 유형이었어요
본문에 해당 내용이 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