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관리자 [24729] · MS 2003 · 쪽지

2013-04-08 18:31:38
조회수 1,126

"수준별 수능은 일반계고 죽이기 정책"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49910

"수준별 수능은 일반계고 죽이기 정책"

기사 이미지
더구나 내년 고교 신입생부터 기준 점수 이상을 득점하면 특정 등급을 부여하는 내신 절대평가가 도입돼 ‘일반계고에 가면 내신을 잘 받을 수 있다’는 마지막 남은 희망마저 사라질 것이라고 B교사는 한탄했다.

교육부가 대입 수험생의 학습 부담을 덜어준다는 명분으로 도입한 수준별 수능과 내신 절대평가제가 일반계고 위기를 부채질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교사와 입시전문가들에 따르면 일반계고는 구조적으로 특목고나 자율형사립고(자율고)보다 수능 준비를 하기 쉽지 않다. 특목고와 자율고의 필수이수단위는 각각 72단위와 58단위이지만, 일반계고는 116단위에 달한다. 이 때문에 일반계고에서는 수능 맞춤형 교육과정을 준비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일반계고는 자율고 설립 이후 중상위권 학생의 ‘탈일반계고’ 현상으로 학력저하가 심화하는 데다 교과 필수이수단위가 많아 수능 준비를 제대로 하기 어려워 수능 비중이 낮은 수시를 겨냥해 대입시를 지도해왔다.

수시에 지원해 합격하더라도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해야 최종 합격증을 손에 쥘 수 있다. 중·상위권 대학에 가려면 대체로 2∼3과목에서 2등급 이상을 받아야 하는 것이다.

(이 문서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문서 전문을 읽기 위해서는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십시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