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시기다리는 · 702831 · 21/02/20 22:30 · MS 2016

    파업 자체를 할 권리를 존중한다는데서 했겠죠...?

  • 화지충 · 1040001 · 21/02/20 22:32 · MS 2021

    그런게 아니라면.

  • 경북대훌리 · 826641 · 21/02/20 22:30 · MS 2018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화지충 · 1040001 · 21/02/20 22:31 · MS 2021

    그냥 파업하면 생각나는거 써봤네요

  • 유스티니아누스1세 · 1021975 · 21/02/20 22:31 · MS 2020

    민노총 파업, 현재 의사 파업 빼고는 앵간한건 다 지지한듯

  • 화지충 · 1040001 · 21/02/20 22:32 · MS 2021

    굿

  • 허웅지 · 981213 · 21/02/20 22:34 · MS 2020

    공장파업도 경향과 종류 노사갈등 종류가 많은데 일단 귀족노조파업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 화지충 · 1040001 · 21/02/20 22:35 · MS 2021

    귀족노조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허웅지 · 981213 · 21/02/20 22:41 · MS 2020

    일의 수준과 업무강도에 비하여 높은급여
    그리고 노사관계를 이용한 정치계와의 연결및
    사측에 부당한 급여요구

  • 화지충 · 1040001 · 21/02/20 22:50 · MS 2021

    1. 일수준과 업무강도에 대한 기준선이 정해진것도 아닌데 급여가 높다 낮다는 어떻게 구분지을지 의문이네요.
    그렇게 치면 중소기업 사장들은 자기 직원들 월급 180씩 주고, 형편이 안좋다 뭐다 하면서 본인들 차바꾸고 집사는건 어떻게 보시죠?

    2. 정치계와 연결해서 본인의 의견을 표시하는건 당연한 정치참여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정치권의 힘을 빌려 목소리를 내기 위한 수단이고요.

    3. 부당한 급여요구는 무슨 뜻인지 이해가 안되네요.
    일한 대가를 정당히 받는게 '공정'한것 아닌가요?

    그래서 전 한국 귀족노조란 말에도 동의 못하겠네요.

  • 허웅지 · 981213 · 21/02/20 22:57 · MS 2020

    그냥 생각이 정해지신거같은데

    1.중소기업사장은 리스크를 짊어지고 사업을합니다.
    그 리스크가 클수록 큰 보상을 받는것이 당연합니다.
    직원들은 그 리스크가 없지요.
    사장만큼의 보상을 받고싶시다면 대출로 중소기업을 경영하시는 리스크를 짊어지시면 됩니다.

    2.그리고 정치와의 연결을 말씀하셨는데
    기업인들이 정치인과의 연결을 통해
    근로기준법을 폐지한다면 그것이 당연한 것인가요? 노사관계는 사법의 영역에서 정의되어야합니다.

  • 허웅지 · 981213 · 21/02/20 22:57 · MS 2020

    3. 그리고 현대차 노조와같이 단순노동이 억대의 연봉을 챙기는것이 부당한것이 아니라면 무엇이 부당한 것일런지요?

  • 화지충 · 1040001 · 21/02/20 23:00 · MS 2021

    뭐 님 생각은 존중합니다.
    각자마다 생각이 있는거니까요

  • 간다갈수있다 · 1018198 · 21/02/21 00:09 · MS 2020

    의사파업을 변호하는데
    택배파업을 지지하지 않으면 안되는건가요?
    의사파업이던 택배파업이던 각자의 기준이 있을텐데요

  • 화지충 · 1040001 · 21/02/21 00:11 · MS 2021

    뭐 지금 생각해보니 그것도 개인 자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