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파27 [774125]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21-02-07 14:57:17
조회수 9,373

2022 예비평가 문학 분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014169

안녕하세요. 희파입니다.


이번주 목요일 오전에 있을 특강에 대한 내용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 문학의 일부를 공개합니다


2022예비평가를 작년에 처음 보고 형식적인측면이 많이 달라졌구나 – 라고 느꼈습니다.

그리고 다시금 분석을 하면서, 내용적인 측면은 오히려 2020학년도와 2021학년도의 차이가 더 클 수도 있겠구나 –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예비평가의 특이점보다는 작년 수능, 모의평가간의 공통점을 아는 게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큰 틀은 같습니다.


그래서 그냥 예비평가가 시사하는 바 +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무엇인가? 에 대한 말을 짧게 하고자 합니다.


우선 평가원이 주는 각주에는 활용하라는 의미가 어느 정도 내포가 되어있습니다.

역대 해석 문제에서 가장 어렵게 꼽히는 2011 수능 그 나무문제의 5번 선지도 각주를 활용해서 풀라고 각주를 줬고, 월선헌십육경가 역시 활용하라고 각주를 줬습니다. 같이 문제를 봅시다.


2020.수능


강호 어조(魚鳥)애 새 셰 깁퍼시니

옥당금마(玉堂金馬)*의 몽혼(夢魂)*이 섯긔엿다

초당연월(草堂煙月)의 시업시 누워 이셔

촌주강어(村酒江魚)로 장일취(長日醉) 원()노라

이 몸이 이러구롬도 역군은(亦君恩)이샷다

- 신계영, 「월선헌십육경가」 -


옥당금마: 관직 생활.

몽혼: .


25. ⓐ와 ⓑ를 비교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는 가 강호에서의 은거를 긍정하지만 정치 현실에 미련이 있음을, ⓑ는 공백공이 정치 현실에 몸담고 있지만 강호에 은거하려는 지향을 나타낸다.(O)


-> 논란이 있던 문제인데, 평소에 아는 내용이 달랐어도 각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헷갈리지 않았을 문제이기도 합니다.

옥당금마(관직생활->정치현실)의 몽혼(꿈)이 성기었구나. 라는 말을 살펴보면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섯긔였다는 말은 섞였다는 말이 아닙니다. 물론 대다수의 학생들이 섞였다고 해석해서 풀었을 테지만, 큰 문제는 없었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예비평가.

2022예비평가.

()

거미 새끼 하나 방바닥에 나린 것을 나는 아무 생각 없이 문 밖으로 쓸어 버린다

차디찬 밤이다


어니젠가* 새끼 거미 쓸려 나간 곳에 큰 거미가 왔다

나는 가슴이 짜릿한다

나는 또 큰 거미를 쓸어 문 밖으로 버리며

찬 밖이라도 새끼 있는 데로 가라고 하며 서러워한다


이렇게 해서 아린 가슴이 싹기도* 전이다

어데서 좁쌀알만 한 알에서 가제* 깨인 듯한 발이 채 서지도 못한 무척 작은 새끼 거미가 이번엔 큰 거미 없어진 곳으로 와서 아물거린다

나는 가슴이 메이는 듯하다

내 손에 오르기라도 하라고 나는 손을 내어 미나 분명히 울고 불고할 이 작은 것은 나를 무서우이 달아나 버리며 나를 서럽게 한다

나는 이 작은 것을 고이 보드러운 종이에 받아 또 문 밖으로 버리며

이것의 엄마와 누나나 형이 가까이 이것의 걱정을 하며 있다가 쉬이 만나기나 했으면 좋으련만 하고 슬퍼한다

- 백석, 「수라(修羅)* -

어니젠가: 어느 사이엔가.

싹기도: 삭기도. 긴장이나 화가 풀려 마음이 가라앉기도.

가제: . 방금.

수라: 끊임없이 싸움이 일어나 고통이 지속되는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예 제목에 각주를 달아 놨습니다. 문학은 <보기> -> 제목 -> 작품 순으로 읽는게 해석의 방향에서 더 옳은데, 이 경우에는 ‘수라’라는 제목이 ‘고통이 지속되는 세계’라고 달아놓았습니다. 그리고 ..


2. 공간을 중심으로 ()를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방바닥은 가 거미 새끼를 감지함으로써 자신의 외로운 처지를 깨닫는 공간이다.

② 쓸려 나간 곳은 큰 거미의 출현으로 인해 가 심적 고통을 느끼게 되는 공간이다.

③ 새끼 있는 데는 큰 거미가 도달하기를 바라는 지점으로서 의 상실감이 해소되는 공간이다.

④ 큰 거미 없어진 곳은 거미에게 도움을 주려는 의 행위로 인해 거미들의 고통이 해소되는 공간이다.

⑤ 문 밖은 방바닥에 대비됨으로써 가 거미들의 만남이 실현 된다고 확신하는 공간이다.

-> 제목에 각주가 있음을 활용하면 화자가 고통을 느끼고 있음을 잘 인지하고 작품을 읽었을 것이고, 답이 2번임을 쉽게 골라냈을 것입니다


각주에서 나온 '고통이 지속되는 세계'가 이어져 '심적 고통을 느끼는 공간'으로 답선지가 지정됩니다. 각주를 활용하라는 이야기가 이어진 셈입니다.

결국 예비평가에서도 각주를 활용하라라는 힌트가 나왔기에, 현 수능에도 연결될 것 같습니다. 1,3,4,5번 선지에는 각주의 내용인 싸움이나 고통에 관한 내용이 전혀 나오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3,4,5번 선지는 각주 내용의 반대라고 말할 수 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주제가 정답으로 나오는 경우는 꼭 그런건 절대 아닙니다. 아닌 경우 많으니 이상하게 맹신하지는 말아주세요.


문학개념어도 하나만 짚어보고 갑시다.

대화 VS 대화체 -> 실제로 청자와 대화를 해야 대화고, 한 명만 말을 건네는 식이면서 답이 안 돌아오면 대화체. 여기까지는 모두 아실 겁니다.


근데 대화적 구성’ / ‘대화의 형식이라는 선지가 대화인지 대화체인지는 아시나요 ? 둘다 평가원에 나온 선지입니다.


실제로 08학년도 9월 모의고사에서 대화의 구성이라는 선지가 나왔었는데, 여기에 대해서는 실제로 논란이 많았기에 더 나오지 않는 듯합니다. 그리고 이건 해설지마다 아직도 해설이 다릅니다. 이 선지의 경우 앞의 말인 목가적 구성이 틀렸기에 틀린 선지라 '대화의 구성'이 대화인지 대화체인지 평가원이 정해주지 않았습니다. 말이 좀 길어서 생략을 하자면, 저는 교수님 두 분께 문의한 끝에 대화적 구성 = 대화로 결론지었습니다.

물론 평가원이 다시는 이 선지를 안 냈기에 제가 따로 이건 가르친 적이 없습니다. 알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화의 형식은 그렇다면 뭘까요? 실제로 14학년도 수능의 매화사 지문에서 대화의 형식이 등장했는데, ‘형식임에도 불구하고 대화에 초점이 맞춰져 대화의 형식=대화로 결론지어졌습니다. 이건 논란의 여지가 없어요.


그리고 이번 예비평가에서 처음으로 대화적 어조를 등장시켰습니다. 이것 역시 대화체로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나올 수 있으니 이것도 유의해서 배워둬야 겠지요. 예비평가에 이런 문학개념어가 나왔다는 걸 배워갑시다.


<요약>

0809- 대화적 구성 -> 논란이 있지만, ‘대화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함.

1411 - 대화의 형식 -> 대화임.

2022예비평가 – 대화적 어조 ->대화체임.



<보기>문제의 활용의 정도에 대한 얘기는 여기서 하면 너무 길 것 같아서 .. 그리고 제가 이제 곧 수업을 다시 가야해서.. 생략하겠습니다



설 특강 날짜 : 2/11 (목) 오전 9시 - 12시

장소 : 대치오르비(서울시 강남구 도곡로408 디마크빌딩 5층)

가격 : 2만원

설 특강 신청 링크 : https://forms.gle/9GQyocTikc3unkfz6

자세한 내용 : https://orbi.kr/00035961374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