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가즈아 [1029162] · MS 2020 · 쪽지

2021-01-29 23:51:51
조회수 1,187

성대 자과대 v.s 토목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751326

성대 자과대 복전 메리트 감안해서요... 어디 가실것 같아요?

자과 vs 토목

최대 1개 선택 / ~2021-02-05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무금융 · 1020810 · 21/01/30 01:22 · MS 2020

    토목가세요

  • 문과가즈아 · 1029162 · 21/01/30 08:39 · MS 2020

    자과에서 바이오메카트로닉스공이 낫지 않을까요?...

  • Johan · 854192 · 21/01/30 08:16 · MS 2018

    성균관대 자연과학계열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건설환경공학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설명입니다. (각 학과 홈페이지 참조)

    * 건설환경공학부
    1969년에 설립되어 창학 50주년 역사의 「건축공학과」와 「토목공학과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그리고 「조경학과」가 건설환경공학부로 통합 · 운영되고 있는 학부로 삼성건설,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에버랜드 등 굴지의 건설 엔지니어링 대기업과 건축사사무소, 조경 · 경관계획설계사무소, 감리회사, 건설사업관리회사, 금융기관, 법률사무소, 감정평가원, 정보시스템관련 회사, 기술직공무원, 부동산및 개발사업전문회사, 대학등 교육전문기관에 진출하고 있는데 미래 도시를 건설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스마트시티 건설에 필수적인 생활 밀접형 학부라고 보면 되고 진출 분야에 따라 수준높은 전문가로 활동합니다.

    * 자연과학계열 - 생명과학, 수학, 물리학, 화학, 식품생명공학,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

    *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 - 생명․의공학 기술과 컴퓨터, 전자, 기계기술을 접목한 융합학문으로 21세기 융합바이오공학 분야의 기술혁신을 주도할 중견 기술 인력으로서 졸업자들은 국내외적으로 바이오메카트로닉스와 관련하여 학문연구의 기회가 다양하게 주어질 것이며 앞으로 다가올 바이오 융합생명산업과 의공학 산업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업종별 취업 현황을 보면 주로 전자, 자동차, 중공업, 정보통신 관련 대기업은 물론 국공립연구소, 정부기관, 대학병원 등에 취업하고 있으며, 관련 전공의 대학원은 물론 의학 및 치의학 대학원에 진학하고 있다. 대학원 졸업생들은 국내외 국공립연구소, 대기업 등의 산업체, 대학 등에 취업하여 바이오메카트로닉스 분야의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 파란댕댕이 · 828538 · 21/01/30 12:18 · MS 2018

    당연히 토목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