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321568
저 그래프 아래 면적은 ‘단위 면적당’이 아니라 ‘별 전체가 단위 시간 당 방출한 에너지’ 이고 이는 곧 ‘광도’라는 것은 알겠습니다.
근데 어쨋든 에너지는 지구에 도달한 것을 측정한 것이고 그러면 T와 R(반지름)이 영향을 주는 것 외에도r(거리)도 저 그래프 아래 면적에 영향을 주어야하는 것이 아닌가..하고 고민해봤는데
곧 저 아래 면적은 광도이고 광도는 T와 R에만 영향을 받고 광도는 절대 등급과 관련되어 있으니
아마 저 그래프의 a, b별 또한 지구에서의 거리가 같다고 가정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러니까 전체 에너지를 나타내는 곡선에서 비교되는별들은 모두 지구에서 거리가 같다라고 가정이 되는지 궁금해요.. 그게 아니면 애초에 면적이 광도인데 모순일 것 같아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또 1등
-
출석 2등 0
헿 출석부 2등했당 기분조아
-
안녕하세요, 백룡입니다. 지금 반수 중입니다만 제적은 안 당하고 싶어서 전략적으로...
광도와 절대등급이 HR도에서 사실상 같은 취급을 받는 걸 보면 그 별이 발산하는 빛의 양(?)을 계산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우리가 보는 밝기는 겉보기 밝기라는 것이 따로 있으니까..
음...그러면 저 별들의 광도, 즉 전체 에너지를 측정할 때는 어떻게 측정하는지 아시나요?
엑스터시님 말씀대로 당연히 겉보기 밝기도 있겠지만, 절대적인 밝기 또한 T와 R을 통해 파악하는 것이고 T는 또 그 별에서 보내는 파장들?을 분석해서 알아내는 것 같고, R은 어떻게 측정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어쨋든 이렇게 발산하는 빛의 양 자체를 계산할 때도 측정 자체는 필요하지 않을까 해서요ㅌㅋ
광도는 말그대로 별에서 내는 에너지의 양을 말하는거라서 거리랑은 무관
지구에서 측정했다는 말을 생각할 필요가 없음
별에서 내는 에너지의 양을 계산할 때는 그러면 어떻게 측정하나요!
지구에서 측정하는거 아니에요?
광도는 어떤 기준을 가지고 측정하는게 아니라
별자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서
크기와 온도가 얼마일때 광도는 이정도다라고 나타내는거죠
측정이라기보다는 계산?이죠
아하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