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294773
지린이입니다.
a별이 b별보다 감마max가 작기 때문에 온도가 더 높고, 그러므로 단위 면적당 에너지도 많을텐데
왜 a별의 저 그래프 전체 면적이 b보다 작나요?
저는 우선 빛의 세기=복사 에너지라고 생각했고
저 면적은 단위 면적당 에너지라고 생각하긴 했습니다...
제 생각이 잘못됐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294773
지린이입니다.
a별이 b별보다 감마max가 작기 때문에 온도가 더 높고, 그러므로 단위 면적당 에너지도 많을텐데
왜 a별의 저 그래프 전체 면적이 b보다 작나요?
저는 우선 빛의 세기=복사 에너지라고 생각했고
저 면적은 단위 면적당 에너지라고 생각하긴 했습니다...
제 생각이 잘못됐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저 그래프 면적은 광도라 보시면 됩니다
온도는 a>b지만 광도는 a<b, 즉 반지름이 a<b라는 거까지 추론가능하죠
허엄...그러면 복사 에너지 상대 강도랑 빛의 세기는 다른 말인가요?
같은 말이죠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에서 나오는 에너지->표면 온도에 비례
단위 시간당 나오는 에너지->광도에 비례
둘이 달라요
아 그러면 곧 복사에너지의 상대 강도=빛의 세기는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아니라 단위 시간당 나오는 에너지랑 관련된거군요
네 그쵸 우리한테 닿는 에너지 기준이니까요
아하 그러면 a는 온도는 높지만 쬐끄마한 별, b는 온도는 낮지만 a보다 커서 우리에게 주는 에너지는 a보다 많은..!!
여기까지는 알겠습니다.
그러면 a보다 b가 우리에게 에너지를 많이 준다는 것은 곧 a보다 b가 밝게 빛난다는 것인가요?
그러면 a는 파란색으로 옅게 빛나고 b은 주황색으로 밝게 빛나고?
네 그렇게 이해하셔도 됩니다 다만 지구까지의 거리에 따라 겉보기등급(우리가 보는 별의 밝기)은 달라질 수 있어서 확신은 못 내리는 상황이죠 저 자료만으로는
헐...그러면 결국 우리에게 얼마나 밝게 빛나느냐는
광도, 거리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거네요
그리고 하나만 더 여쭤볼게요...
파란색으로 빛난다는 것은 곧 파장이 짧은 빛을 가장 많이 방출한다는 거고 그렇다고 이게 전체 에너지가 높다라고는 바로 못 가는거죠?
위의 사례처럼 반지름이 작을 수 있으니까..
그러면 같은 크기의 두 별이 있는데 하나는 감마max가 작고 하나는 크면 둘의 광도는 뭐가 더 큰가요??
질문 많이해서 죄송해요 ㅠㅠㅠ
광도는 표면온도외에도 반지름의 영향도 받으니까여
감사합니다!!!!!!!!!!!
클리어러브님 저 뒤쪽에서 광도 찾았습니다 ㅋㅋㅋㅋㅋ
제가 그냥 한페이지보고 질문한거라 뒤에 답이 있었네요 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정말

다행이네요 ㅎㅎ감사합니다!!!!
딱 첫 강 듣고 저 그래프보면서 ‘적분’ 개념 생각해서 어..왜 저 그래프는 저러지 이러면서 여기 질문했는데
지금 세번째 강좌 듣고있는데 단위 면적 당과 전체의 차이를 바로 설명해주시네요!!!!!
ㅋㅋㅋ대박 뭔가 제가 의문을 갖고 있던 부분을 엄청 중요하다면서 가르쳐주시니까 신기하네요
아무튼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화이팅입니다 열공하세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