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과의 꽃인 cpa의 최근 10년간, 5년간 대학별 합격자 수. jpg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22228


최종합격자의 학부 전공은 경상계열이 대부분 81%로 절대적이었으나 최근 들어 비경상계열 출신의 합격자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비경상계열의 경우 2008년에는 15.6%에 그쳤으나 2011년 23%로 껑충 뛰었으며 올해도 23.7%로 증가했다.
대표적인 상경계열 아웃풋입니다.
서울대는 06년도부터 경영학과 정원감소로
합격자수가 갑자기 줄어드네요.
혹시 대학 진학후 cpa에 관심있으신 분은 참조하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19일이라.. 7
한참 남았네
-
이성애자임
-
아님
-
한 번만 재보자
-
어떡해!!
-
다들 대단하십니다..
-
나 사실 키큼 2
3cm임
-
ㄹㅇ 수석임 나는
-
남자임
-
내일부터는 일상으로 복귀하고 학점도 챙겨야겠지요.. 군대도 가야하네 곧
-
아시는 분
-
나는 이상형 2
완벽한 사람
-
이상형 말해드림 2
이상형
-
에휴
-
뭐 우째 걍 놔둬
-
걍 퉤학시켜주셈 0
제발
-
ㅇㅇ
-
조금 심한말 해버림..
-
여자친구나 남자친구가 제 본모습을 보고 실망할까봐 겁나요
-
요즘 불면증.. 감기 걸려서 약도 먹었는디 잠이 하나도 안오네요
-
너무 특이한가 자주웃는 사람도 별로야 자주 우는사람도 별로여
-
저게 가능한가 사람인가 싶던 점수들 이제 내가 다 이겨버렷음 사실 아직 못 이긴 사람도 잇음
-
뭐임 3
뇌에 문제가 잇나
-
어쩔 건데. 못만나면 그만이야~
-
나는 극히 정상
-
미안해. 우린 만날 수 없어
-
하는게 없음;
-
무슨심리일까
-
또 신기록임 5
칭찬해줘
-
자기도 오르비하면서 내로남불임
-
안녕 해원누나야 7
-
내일 아이패드 못찾으면 14
진짜 홧병나서 뭔 짓을 할지 모르겟음
-
그것부터가 기만의 시작인 것임 그냥 기만하지마라 이런 말 할 필요가 없음 인생 자체가 기만인데
-
군상극을 원함 실존적 존재들의 투쟁을 그리고 싶음
-
모아보기 근황 3
-
인증함 6
ㅇ.
-
뭐 어때~
-
그래서 이거 모아보기 위에 클럽. 뭐시기뭐시기 이거 뭐임 9
아직도 정체를 모른다.
-
응응
-
배가 다시 아파짐. 야메추
-
나 화 잘 안 냄
-
사실 난 웬만하면고 썸이라고 생각을 잘안함 나 혼자 오해하는 거면 어캄 ㅋㅋ
-
현역때로 돌아가게 해달라고 빌엇음
-
고닥교땐 말야. 나좋다고.따라다니는.여자도.잇엇어 16
진짜야
-
안 타서
-
연애는 아얘 없고
-
썸타는 중임 5
안탐
-
배아파서 못버티겠다 15
끄아악
-
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CPA, 경영학과.. 이래서 조건반사적으로 처음처름 글인 줄
중대의 경우 CPA 1차,2차 합격자를 자교로 편입시켜주는 제도가 있어서
예전에 비해 CPA 합격자들이 많이 늘었죠. 기타 대학에서 CPA 준비하다가
중대로 전부 편입해서 준비하다보니..
....머야...
저도... 바로 욕달준비 하고 잇엇음...
항상 모든 고시 및 기타 서열의 경우 "서연고 서성한 중경"까지는 거의 고정되다시피 나오네요.
저걸 보면 성서한 입니다 , 10년 이면 100 명 차이나요
근데 고대의 경우 상경계가 저렇게 압도적으로 많지 않았던 것 같은....
시험 자체는 비상경도 준비할 수 있는데 아무래도 경영대는 분위기 자체가 CPA 많이들 준비하는 분위기고, 경제학과도 영향을 좀 받는 듯요.
리스크가 있는 시험이다 보니 그래도 학교 수업에서 기초를 쌓을 수 있고 정보 획득이 빠른 경영대에서 많이 치는 것 같습니다.
참고로 CPA는 1차 5과목 중 하나인 경제원론(이름은 경제원론인데 범위는 더 넓음)만 경제학과 과목이라(그나마도 경영대생들을 경제원론 듣죠), 기본적으로 경영 쪽. ㅇㅇ
고대는 경영대생 중에 한 30% 정도는 발은 담궈 보는거 같네요.
근데 고대 경영대 자체에서 CPA를 위한 커리큘럼이 거의 최악에 가까운지라...
저도 고대 다니고 CPA는 합격했었지만, 고대 덕을 본건 4개월 정도 있었던 "정진초" 정도?
그리고 CPA보다 할 것도 많은데 CPA를 꼭 고집하는 것도 아닌거 같긴해요~ (요즘은 오히려 다른쪽으로 더 많은 준비를 하는거 같네요, 제 주변만 봐도...)
그리고 한 가지 확실한건 여자분이 할 만한 직업은 아니라는거 정도?
제 주위에 CPA 최연소 한분 있었는데,
그분도 여자가 할만한 직업이 아니라 생각했는지
행시를 다시 보더군요.
그런가요? 타 대학과 비교해서도 안 좋은지.
대학 강의에서 배운 걸로는 시험을 못 치지만 일단 기본적인 이해를 가지고 들어가서 이득을 보는 걸로 아는데....
성별 문제는 역시 업무 부담 문제가 크겠죠. ㄷㄷ
CPA가 여자가 할만한 직업이 아니라는 인식이 있는 이유가 뭐죠? 이과생이지만 궁금해서요.
씨파가 경영학의 꽃이라고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