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퍼펙트 [824196] · MS 2018 · 쪽지

2021-01-03 22:29:45
조회수 13,301

변리사에 대해 알려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4694721

개인마다 궁금한게 달라서 질문받을라 했는데...그냥 여기다 아는대로 썰을 푸는게 낫겠다 싶어서ㅎ

관심있는 친구들은 읽어보면 되겠고 더 궁금한 게 있음 질문하시고..


1. 출신 대학 네임밸류

일단 변리사들 중에 스카이가 젤 많긴 한데, 그 외에도 엄청 많고 일 잘하면 대학 상관없음..이 부분 의사랑 비슷?


2. 대학 전공

합격하면 거의 대부분 특허사무소(로펌)에 소속되게 되는데, 그때부터 사무소로 수임되는 건들을 기술분야 별로 배정받게 됨.

- 전자계열은 전자 관련 기술 (요즘 인터넷, 전자상거래, 게임 관련 기술 증가추세)

- 기계계열은 기계 전문회사 건, 아님 각종 회사의 기계관련 건 담당

- 화학계열은 화학/재료 관련 기술과 간혹 사무소내 바이오 변리사가 없으면 관련 기술 맡을 수도 있음

- 바이오/약학계열은 생명/의약/농업/화장품/환경/식품 등등

* 본인이 대학 전공 외에 가능한 기술분야가 있음 어필해도 됨


3. 석박 학위 필요여부

특허는 해당분야에 대한 이론이 아니라 실용성을 다루는 분야이기 때문에 대부분 담당 기술을 정확히 알기는 어려움. 

학사는 그 분야 용어를 아는 정도이고, 관련 학위가 있으면 S 전자 등 해당 기술을 계속해서 맡게되는 경우에는 확실히 유리한데, 그 외에는 그닥..

기술 발명자에게서 설명을 듣고 이해하고 문서화하는 능력이 좋으면 최고임.


4. 업계전망?

대한민국이 전세계 특허 4위임...즉, 특허 강대국이란 얘기...따라서 나라가 쇠락하지 않는한 앞으로도 업계전망 굿


5. 하는 일

젤 먼저 합격하면, 70~80%는 특허사무소(로펌)가고, 그 외에는 기업 사내변리사('인하우스'라 부름), 대학교 산학협력단으로 감.

특허사무소는 크게 세 종류로 나뉘는데, 첫번째는 국내 특허 전문 사무소, 두번째는 해외 전문 사무소, 세번째는 변호사 로펌 내 변리업무 파트. 대부분 첫번째로 감. 수요가 젤 많으니까. 위치는 대부분 강남역~역삼역 사이.

처음 입사하면, 특허 명세서(소위, 기술설명서) 작성 업무(대형 로펌은 선배가 교육시켜주고, 작은 데는 지난 자료보고 스스로 터득해야 함), 의견서 작성 업무(특허청 의견에 소명하는 자료)가 주 업무.

그러다가 사무소 내 명세서작성 전담직원(명세사)이나 후배가 쓴 명세서나 의견서를 리뷰하는 입장이 되고, 

본인은 심판/소송 문서작성/변론 업무를 맡게 됨(작은 데는 이런 기회 별로 없음).

본인의 업무능력을 인정받게 되면 연봉 상승율 올라가고, 파트너 제의가 들어올 수 있음. 

몇년차 이상되면 사무소의 경영을 걱정하는 입장이 되고, 동업이나 개업을 고려하게 됨.


6. 페이

일단 국내 연봉 1위? 이건 틀린 얘기인거 알테고...

본인이 소장이나 대표가 아닌 이상, 대기업 부장 연봉(보너스 제외) 정도가 맥스일 듯.


또 뭐 알려주면 도움이 될려나~~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너샤 · 905024 · 21/01/03 22:58 · MS 2019

    ㄱㅅㄱㅅ

  • 실수로 오후 6시에 일어난 김동욱 · 809131 · 21/01/03 23:16 · MS 2018

    합격 얼마나 어려워여??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04 00:01 · MS 2018

    이건 개인역량에 따라 케바케인데...
    본인이 이해력이 좋고, (시험)공부법을 터득한 케이스라면 단기간에 합격할 것이고...
    대다수는 2순환이 기본인 거 같아요,
    즉 시험 1년차: 1차합격, 2차불합
    2년차: 1차 유예(전해 1차합격이면 안봐도 됨), 2차 불합
    3년차: 1차합격, 2차불합
    4년차: 1차 유예(전해 1차합격이면 안봐도 됨), 2차 합격

    요 케이스가 가장 많음. 적절한 공부법이 중요해요.

  • 실수로 오후 6시에 일어난 김동욱 · 809131 · 21/01/04 00:03 · MS 2018

    ㄷㄷ 기본 4년정도군요 감사합니다

  • Elon Musk · 964251 · 21/01/03 23:21 · MS 2020

    “대기업 부장 연봉(보너스 제외) 정도가 맥스일 듯” 이 말은 초봉이 아니라 경력이 쌓이고 난 후에도 적용되는
    말인가요?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04 00:03 · MS 2018

    넹넹...초봉은 예전엔 대기업 신입보다 훨 많았는데, 요즘은 대기업도 많이주니...

  • Elon Musk · 964251 · 21/01/04 00:17 · MS 2020

    하나만 더 질문하자면 ㅎㅎ.. 자연과학대학(물리학과 등)에서 공부하신 분이 변리사 되는 경우도 많이 있나요?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04 00:21 · MS 2018

    본인도 자과대인데ㅎㅎ 엄청 많아요~
    물리학과는 전자공, 화학은 화생공.. 거의 같게 봄... 변리업계에선 공대냐 자과대냐 이런거 구분해 생각해본 적 없어요

  • Elon Musk · 964251 · 21/01/04 00:25 · MS 2020

    자과대라도 업무에 큰 지장이 없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04 00:30 · MS 2018

    네~ 업무능력만 있음 아무 문제 없어요..
    단, 워낙 전자공학 전공자가 많으니까 물리학과 출신은 비교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일만 잘하면 되요. 화학, 생명 쪽은 아무 지장 없어요..
    참, 지구과학 쪽은 공대랑 비교가 문제가 아니라, 아예 특허 꺼리가 거의 없어요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04 00:21 · MS 201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04 00:34 · MS 2018

    전공 업그레이드를 원하면...일단 변리사 합격한 다음에, 근무하면서 직장인들 대상으로 전자공학 등 야간석사과정 따는 경우도 많아요

  • 448294& · 883882 · 21/01/07 21:55 · MS 2019

    문과에서 합격하시는분들 있나요?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07 23:34 · MS 2018

    가능은 한데, 거의 없긴 합니다...총 200명 중에 한명 될까 말까...
    업무가 문과적성이 필요한 분야도 많은데 왜 없는지 이해가 안가는 부분...
    아마 자연과학 1차셤 과목 때문인 듯...

  • 조던피터슨 · 929644 · 21/01/09 01:16 · MS 2019

    전자,화공,기계 중 전자를 가장 추천해주시나요? 화공도 전망좋아요?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09 01:53 · MS 2018

    셋 다 괜찮은데, 굳이 따지자면... 전>or=화 >기 순 추천요
    전화기 중에서, 수요와 공급 모두 전자가 제일 많고, 일단 전망은 제일 밝아요..
    화공도 그 다음으로 괜찮고, 본인 역량에 따라 분야가 걸쳐있는 기술을 다룰 수도 있구요...전자쪽 공정이라든지, 전자도 아니고 기계도 아닌 물품, 용구 같은거 맡을 수 있고...
    기계는 기계관련 범용이구요

  • aiueo · 1027369 · 21/01/10 00:22 · MS 2020

    위험부담 때문에 1학년 마치고 군대 (웬만하면 공군)에서 도전해보려는데 괜찮을까요?
    군대에 이어서 2,3,4학년 때는 어떻게 해야될까요?
    병행하기에는 전공따라가기도 빡빡할 것 같은데 말이죠.
    하지만 병행 한다면 병행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애매합니다.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10 00:42 · MS 2018

    개인의 역량에 따라 다르긴 한데...평균적으로 다른 주된 업(전공공부나 군생활?)과 비슷한 정도로 노력하는건 추천하지 않음..이거 습관되면 수험생활 길어짐.
    만약 8:2 이상 수험생활에 쏟을 수 있다면 가능할 수도...
    군대에서 시작하겠다면, 일단 기본서를 읽고 이해를 마치는 수준 정도까지 하고, 제대 후에 학원다니면서 실전 단계로 하도록 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

  • aiueo · 1027369 · 21/01/10 00:53 · MS 2020

    군대에서 할 게 적으니 군대에서 도전해보고 괜찮으면 제대후 1~2년 휴학하는게 맞는 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 고고고고고s · 806721 · 21/01/10 14:31 · MS 2018

    외국어 능력이 중요하다고 들었는데 영어만 잘하면 되나요? 아니면 일어나 중국어도 배워야 하나요?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10 15:05 · MS 2018

    해외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사건들을 맡는게 아니면 외국어 능력 별로 중요하지 않은데요;; 영어에 자신없는 변리사들 많아요ㅎㅎ
    일어,중국어를 잘해서 나쁠건 없지만, 전문으로 하는 데서 일할거 아님 필요하지 않아요

  • 고고고고고s · 806721 · 21/01/16 20:19 · MS 2018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변리사 되는데 학벌 많이 중요할까요? 전자과라서 학과는 괜찮다고 생각하는데 학벌때문에 걱정이네요. 그리고 영업능력은 자신이 없는데 변리사 괜찮을까요?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17 01:28 · MS 2018

    흠...단순히 대답하긴 어려운 질문이라...변호사랑 비슷하게 생각하면 될 거 같은데요?
    영업을 잘하는 이도 있지만, 실무를 잘하는 이도 있잖아요..그에 맞는 사무소서 일하면 될 거 같고...
    학벌 역시 특허의 종류? 권리자의 유형? 기술 종류나 수준도 어마어마하게 다양하니까 크게 문제되지 않을 거 같아요.. 전자과면 일단 일거리가 많으니까 합격하면 어디서든 수요가 있을테고요~
    일단 뜻이 있다면 열심히 도전하고 미래를 개척해 보심이ㅎㅎ

  • 고고고고고s · 806721 · 21/01/19 16:39 · MS 2018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지금 변리사라는 직업에 만족하시나요? 변시에 들어갈지 치대를 위해 수능을 다시 한번볼지 고민중이라서요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20 00:14 · MS 2018

    변리사와 치과의사를 비교하기는 어려울 거 같고...본인은 변리사라는 직업 자체에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단, 변리사는 스스로 자리를 만들어 가야 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노력하긴 해야하고 (물론 그 자리에 머무르는 이도 간혹 있음),
    변호사와 마찬가지로,, 불합격시 그간의 노력은 "0"이 된다는 리스크는 있어요

  • 고고고고고s · 806721 · 21/01/25 11:46 · MS 2018 (수정됨)

    스스로 자리를 만들어 간다는게 무슨 의미인지 조금더 구체적으로 알려주실수 있나요? 그리고 쪽지한번만 확인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1/01/26 00:14 · MS 2018

    쪽지 확인요~~

  • 고고고고고s · 806721 · 21/01/26 19:29 · MS 2018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고고고고고s · 806721 · 21/01/27 13:47 · MS 2018

    아 저 혹시 스스로 자리를 만들어간다는게 무슨.의미인지 조금만 더 구체적으로 알려주실수 있나요?

  • 훌라훌라훌라 · 893171 · 22/01/26 16:08 · MS 2019

    안녕하세요 혹시 아직 오르비 확인 가능하시다면 쪽지로 질문하나 드려도 괜찮을까요?

  • 트랜스퍼펙트 · 824196 · 22/01/26 18:45 · MS 2018

    쪽지 확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