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지웠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457501
새로 대학에 입학하실 예비 대학생분들에게 먼저 대학에 들어온 사람으로서 하고 싶은 말을 적었습니다.
1.상경 vs 비상경
비상경vs 상경에서 상경이 더 취업이 잘 되고, 특정직렬은 상경만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달린 댓글에 제가 마치 비상경이 상경 마냥 똑같이 대우받는다 이런 식으로 댓글이 달렸더군요.
아니면 상경 vs 비상경 차이도 모르고 글 쓴 것 마냥..
원서 접수가 끝난 시점에 이미 진로가 정해진 수험생분들, 대학 가셔서 상경이든 비상경이든 학과에 얽매이지 말고 다양한 분야를 열어두고 취업을 생각하시라는 글을 적은 걸,
왜 또 상경과 비상경으로 나눠서 상경이 좋다, 비상경이 상경보다 차이가 있는데 그것도 모르는 것마냥 글을 쓰느냐 라고 공격적 댓글을 왜 쓰시는지요..
2.대기업 임원 또는 대표이사(or회장) 출신 대학 선호 현상.
gs 칼텍스와 현대차의 예를 들어
gs 칼텍스에서는 연대선호, 현대차는 한양대 선호
대표이사가 바뀐 gs 칼텍스는 고대, 앞으로 오너가 바뀔 현대차는 고대선호 등으로 표현을 했습니다.
분명 모든 기업이 임원이나 회장의 출신대학을 선호하는건 아닐지 모릅니다.
제가 유치하게 잘 모르고 쓴 말일지도 모르지만,
분명 유관한 상관관계를 가진 기업은 많습니다.
고대 물리학과 출신 최태원 회장의 sk 그룹은 임원진에 서울대가 가장많고 그 다음이 고려대입니다. 연세대는 비율이 고려대와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서울대/고려대 구도입니다.
청와대만 봐도 그렇지 않습니까.. 김영삼-서울대판, 이명박-고대판
연고가 같은 학교 챙기기는 분명 아닌 기업도 있지만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는 기업도 상당합니다...유치하지만 그런 경우가 보입니다.
제가 고대생이라 고대케이스를 많이 접하다보니 고대 위주로 소개를 했습니다. 이 점 고려해 주세요.
제 말이 다 옳다는 게 아닙니다.
저는 예비수험생분들이 펼치는 상경vs비상경 논의에서 비상경으로 대학가실 분들에게 학과에 얽매이지 않는, 대학생활을 하셨으면 하는 마음에 글을 적었습니다.
경영지원,재무 등 몇몇 특정 직렬에 비상경 제한이 있지만, 영업/마케팅 등 다른 직렬로 취직 하시는 많은 인문학부 분들이 계십니다.
오너와 임원의 출신대학 선호는 정말 죽자사자 진지글을 적은게 아니었습니다.
일부 이런 기업도 있다는 걸 웃자고 적은건데.. 왜 이런 반응을 보이시는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싸도 친구있어요 11
응...
-
수학 N제 2
높3정도가 풀기 좋은 N제 추천해주세요 지인선 N제 풀만한가요
-
기출 할때가 아닌가
-
안녕히 주무세 3
지 말고 밤새야지 어디가노
-
내일 하겟읍니다
-
비수도권 평준화 일반고 내신 2.9인데 학종으로 컴공이나 전자공학과 노린다면...
-
벌써 3시 10
-
괜찮겠지 잘자요 다들~
-
수면패턴 ㅈ됨 0
학교에서 풀수면 때려야겠다 스발;;
-
심사 꼬여서 매사에 불만 많고 말 삐딱하게 하는 사람들 너무 피곤함.. 오르비...
-
비교 2
ㅅㅂ 이제 와서 후회되네 님들은 어디가너
-
존나 우울하네 ㅅㅂ 재수끝나자마자 먹어야하나 아님 지금부터 먹어야 하나 착잡하다그냥
-
이날개예쁨... 12
-
피글린이 내 다이아 갑옷 뺏어감 ㅠ
-
잘지내니 4
잘하고 있겠지 그래.. 보고 싶다 그냥..
-
너로 지브리 사진을 만들엇서
-
나는 짜피 둘 다 포함될텐데
-
일루와잇
-
요즘 꽂힘
-
확통질문 5
이거 이렇게 풀어도 괜찮아요?
-
가야만 해
-
학사 전공이 중요한가
-
갈 곳이 없다
-
과외쌤이 오르비언이면 18
성적내기해서 이기면 덕코 삥뜯기 했을거 같아요
-
ㅋㅋ....;;;;
-
응응
-
지문 하나 풀면 모든 힘이 다 빠져서 하루에 2개는 도저히 못 풀겟음심지어 하나...
-
꿈나라 2
-
그 웃음도나에겐커다란 의미
-
사실 난 남들이 힘들어하는걸 하고 잇나봄
-
대 - 성 균 관 대 킹고킹고에스카라
-
돈내야하네
-
훠궈먹고싶다 17
-
트러스를 풀다 어싸를 풀다
-
이거들어바 6
굿
-
평가원/교육청 기출문제를 이용한 스토리텔링 전글에서 영감을 얻었다
-
대체 무슨 매력이 있는걸까
-
누구 만나는거 무서움
-
국어 비문학 공부할 때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그냥 이해될 때 까지 계속 읽으면 되나요?
-
배성민쌤 말고도 알려주는 쌤 계심?
-
사람이 어떻게 될까제가 실험해봣음
-
나 연애하는중 1
나랑
-
열반햄 어디가심
-
작년 11월부터 지금까지 새르비 멤버임
-
첫 n제로 엔티켓 시즌1 빅포텐 시즌1 풀었고 정답률 90퍼 정도 나왔음요 이...
-
안녕하세요 현역이고 지금부터 영어 인강을 들으려고 하는데 누구커리를 탈지 고민되서...
-
신뢰도 팍 떨어지네
-
수면임
이런 구분 자체가 이 상황에서 웃자고 받아들일 이야기는 아닌거 같네요. 각자 자기가 선택한 길에 최선을 다하면 그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맞습니다. 자기 역량 쌓기가 최고이고, 소속 대학에 얽매이지 않는 자기만의 길을 만드는 게 최선입니다.
하지만 취업에서 보면, a가 b보다 단순히 스펙이 뛰어나다고 되는게 아니라 스토리텔링과 보이지 않는 무언가(인상,면접,태도,등등)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큐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글쓴분의 의도가 왜곡된거 같아 제가 안타깝네요 ㅠ 글쓴분 의견외에도
한국사회가 불안해서 그런지 고시 공무원 공기업 은행 대기업
취직 쪽으로만 대학이 평가받는거 같네요
굳이 명문대를 가려고 했던것도 원하는대로 공부해보고 싶은거였는데
상경이니 비상경이니....
비상경을 전공하더라도 번역가 영화평론가 영화제작자 연출가
여행작가 등등등 전부 언급하기 어려운 다양한 직업과 각분야에서 독보적인 아우라를
갖추신분이 많은데 재단하기편리한, 등수 매기기 편리한,비교하기 편리한 직업군만
언급되서 '내가 생각을 잘못하나' 아니면 '너무 순진한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해갑니다.
다 부질없는 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