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는 정말 은퇴 시기가 빠를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822762
오늘 낮에 쓴 부동산 글이 국시 전 마지막 글이라고 했지만 사실이게 진짜 마지막입니다...
이전 글들
의치한 가야하는 이유
개원 소득과 전문직 소득
집은 언제쯤 살 수 있을까?
타직종 타대학 타과 깎아내리지 맙시다
세 줄 요약
>65세에도 잘 은퇴하지 않는다
>은퇴할 특별한 이유가 없이 할 수 있다면 오래까지 한다
>식구들이 많다면..더더욱 그래야 할듯
>우리 때는 수입이 더 줄어서 더 일해야 하지 않을까?
>치과의사의 은퇴 시기가 빠르다는 말을 많이 보았습니다. 저도 주변에 은퇴한 치과의사 분은 안 계셔서 과연 사실일지 알아보겠습니다.
2020년 02월에 치학신문에 실린
서울대 치대를 졸업하신 김재영 원장님의 수필입니다.
http://m.chihak.co.kr/news/13710
‘필자의 대학동기가 100명인데 대학교수 말고 개업의로 65세에 은퇴한 사람은 거의 없다.
오히려 몇 명은 교수 은퇴 후에 의욕적으로 치과 개업을 했다.’
교수님들은 보통 65세가 정년입니다. 동기 100명 중 개업하신 분들은 이 때도 은퇴를 다 안 하셨다고 합니다.
참고로 1967년까지 서울대 한 곳에만 치대가 있었고
다른 학교들은 67년 경희대, 68년 연세대, 74년 조선대, 77년 경북대, 79년 부산대, 원광대, 전남대, 전북대, 80년 단국대, 92년 강릉원주대에 치대가 개설되었습니다.
83년까지 배출 인원은 연간 350명 정도였고 88년부터는 900명이 배출되다가 98년부터 700명대 후반~850명 정도 배출되고 있습니다.
치대가 많이 신설된 79,80학번 이제 60대 초반이시고 70세에 은퇴하신다면 앞으로 10년 후부터 은퇴자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부분의 치과의사는 특별한 은퇴계획이 없으면, 아프거나 치과가 망하지 않을 경우 계속 개업을 한다고 대답을 했다.
그러나 필자는 가능하면 빨리 은퇴하여, 제2의 인생을 살고 싶다.’
가능하면 빨리 은퇴...저는 그럴 나이도 아니지만 왠지 공감되네요...
>다른 직업의 은퇴 연령도 알아보겠습니다.
대기업 LG51.4, SK52.6, 삼성53.6
공무원 일반직60, 교육공무원62
교수 65
군인 소령45, 중령53, 대령56
경찰 60세이지만 계급근속년수가 정해져 있음
틀린 내용은 반드시 지적해주세요. 고치겠습니다.
쪽지로 질문도 계속 받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교수 정년-http://magazine.kcue.or.kr/last/popup.html?no=3934
군인 계급 정년
경찰 정년, 공무원 정년
https://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1129535
https://0muwon.com/entry/공무원-정년-65세-연장
대기업 은퇴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805516&memberNo=43209292
치의학 역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의 시발점에 충실한, 조력자 지인선과 기초를쌓는 N제 "수시충 조지기 N제"...
-
문과고 수능수학 3등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내신 때는 수학 공부를...
-
죄송합니다
-
0.5학점이 최소학점이라 반수할 때 0.5학점만 듣고 하려고 합니다. 근데 만약에...
-
편의점치킨꼬치ㄹㅇ 양적은거말곤좋음 매콤하고 적당히불량해서
-
2021 9 21(가형) 그래프가 아닌 원으로 생각해보기 0
유튜브 정병훈 선생님 21년도 9월 21번(가형) 고찰 참고하여 단위원으로부터...
-
어차피 지금 사람없어서 이륙 못함ㅋ
-
ㄹㅇ 평소엔 외모 잘 안보고 진짜 개못생긴사람이어도 싫어하게되진않았는데 어떤 연예인...
-
방금 플러팅함 2
네이버폼으로 법사님이 수강후기 쓰라고해서 정성스럽게 5줄적고 사랑해요 는 참았다 얼빠라 미안해..
-
시대 차주현t 4
그냥 친절한 강기원이라 다음수업도 기대됨
-
작년 평가원.수능기준 하이커리어가 백분위 96 젤 못쳤을때(실수투성이) 백분위...
-
이대 꿀팁 5
기숙사 안에 미용실 2만원대인데 친구 레이어드 컷 맛깔나게 잘해줌 외부인도 머리 가능
-
보통 언제 얼마정도 하셧음???
-
입시 상담같은거 0
유료로 받을수 있는 곳이 있나요? 사탐과탐 선택과목 뭐할지나 어느학원 다닐지,...
-
자 이제 탈릅해볼까
-
우와 새르비 5
너무 오랜만이다..
-
방법이 궁금합니다.
-
탈옯창이군아.
-
그게 나야 바 둠바 두비두밥~ ^^
-
사실 아닙니다
-
문붕이 기하 0
작년 수능 직전 모의고사까지 못해도 높3~낮2는 떴는데 작수 확통에서 27번부터 쭉...
-
난청이있는건지 발음을 하나도 못알아듣겠음 한국어 해석하는데 에너지를 너무 많이 씀...
-
ㅇㅈ 22
생일이에용
-
약간 싸이코패스된것같음 20
존나뜬금없이 부모님 이혼통보받았는데 전혀안슬퍼서 그냥그렇군요... 한다음 바로...
-
현역 정시파이터이고 선택과목은 현재 언매 미적 생명은 좋아해서 계속 들고가려고...
-
젭알
-
지구1 1등급 지구2 1등급 둘 중 뭐가 더 어려움???
-
학고 반수할건데 지금 미리 친목 쌓아두는 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용히...
-
ㅅ 0
ㅜ ㄹ ㅅ ㅜ ㄹ
-
많이아픈건 아닌데... 자려고 누우면 허리가살짝아픔 원래 그런가
-
오야스미 0
네루!
-
뱃지 신청하면 3
보통 얼마정도후에 발급되나여? 빨리 받고싶다 !!!!
-
올해로 (만) 20세다
-
내 본명 5
김순대
-
일하는 곳 온도가 너무 낮아서 그런가 쪼금 아픈 거 같은데 괜찮겠지
-
풀이 까지는 아니더라도 사고과정 알려주면 5000덕 12
수학황들의 사고과정을 앞으로 덕코로 사겠음
-
뭐가나음? 만점백분위랑 개념량 등등 다 포함해서 참고로 한지는 내신베이스임 (9년전…)
-
회색 츄리닝 바지 면티에 후드집업 아니면 가디건 머리에 찍찍이 붙여서 고정하고...
-
응급의학과나 법의학 쪽으로 가고 싶었다고 근데 의대의 벽이 너무 높아서 슬플 뿐.....
-
공대기준 최소학점만 박고 1학기 다닌다고 치면 복학했을때 타격 큼?
-
근데 술 깨니까 다른사람들인데 이거 뭐지..
-
ㅠㅠㅠ 빡쳐서 힘줬더니 바스라짐
-
너무 마음아픈일이다..
-
메가스터디 :: 바른공부 링크 타고 들어가면
-
안해 3
ㅈㅈ
-
일물2 일화2중에 뭐가더 빡셈??? 나 생지로 대학가서 모르겠으,,
-
부엉이 인형이랑 담요가 더 필요한데 4월까지 어케 기다림
-
뭐냐 0
.
여지껏 치과의사가 제일 빨리죽는 전문 직군이라 은퇴가 빠르긴 했을듯.. 교사 평균 수명이 74세인데 치과의사가 65세;;
ㅗㅜㅑ ㄹㅇ이네요
약간 한계는 있는 조사고 표현이지만요전문직이 좋은건 아니라능... ㅜ 일찍 죽어버렷 ㅜ
평균 수명은 아니고 사망자 평균 연령이긴 하네요 다시 보니...다행인건진 모르겠지만요ㅋ큐ㅠ
아마 과거에 쓰는 재료에 비해 비중금속 재료로 많이 바꼈으니, 앞으로는 좀 더 나아지긴 할거 같음
어떻게 생각하세요?
선배님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https://orbi.kr/00033898123/%EC%B9%98%EC%9D%98%ED%95%99%EC%9D%98%20%EB%B3%80%EC%8B%A0.....%EA%B7%B8%EB%A6%AC%EA%B3%A0%20%EB%AF%B8%EB%9E%98
치대생이신가요? 궁금하네요...
제가 알기로 두경부외과는 생긴지 얼마 안 되지 않았고 ENT의 분과입니다. 각 과가 진료영역을 넓혀가는건 맞습니다. 그래서 진료영역이 겹치는 부분도 많구요. 하지만 그 중에서도 메인인 과가 있죠.
치과의사들이 구강악안면부위를 어려워해서 어리버리 했다는 부분이 재미있네요. 의과(PS ENT 등) 겹치는 부분이 악안면외상과 재건, 그리고 구강암 정도인데 이미 대학병원에서는 구강악안면외과에서도 하고 있고 개원가에서는 구강외과 전문의들이 양악수술도 하고 있습니다. 그 수는 많지 않지만요.
그리고 앞부분에서는 개원가의 얘기를 하면서 뒷부분, 즉 구강악안면부분은 대학병원 수준에서 얘기를 한다는 점이 말이 맞지 않습니다.
저 글이 대체 언제 쓰여졌는지 모르겠지만
‘ 구강악안면의학’내에서 치아와 관련된 보존, 보철, 치주와 치아와 턱뼈와 관련된 교정, 그리고 구강내과도 구강악안면내과로 바꾸어 얼굴신경 이상이나 턱관절 그리고 구강암이나 혀관련 질환의 내과치료를 담당하고 구강영상의학과도 구강악안면영상의학과로 바꾸어 얼굴전체의 CT와 MRI판독으로 확대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구강내과는 이미 턱관절질환과 혀관련 질환을 보고 있고 영상치의학과도 치아뿐만 아니라 악골질환을 보고 있습니다. CT MRI는 물론이고요.
전체적으로 치의학이 발전하고 파이를 키워야한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이 글이 앞 뒤가 안 맞는 점, 이미 보고 있는 진료영역을 미개척영역인 것처럼 얘기한 점, 실제로 그러한 수요는 적은 점, 개원가와 대학병원의 현실을 섞은 점에 있어 맞는 말이라고는 보기 어렵습니다.
진료영역 확대보다는 정원 조절이 차라리 현실적인 선택일겁니다. 어차피 저 글에서 예시로 든 확장되어야 하는 영역은 수요도 적고 확대해봤자 개원가와는 거의 무관하게 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