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사회탐구 역배점을 하는 이유가 뭔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731526
올해 생윤도 그렇고 작년 사문도 그렇고 어려운 문제에 2점 주고 비교적 평이한 문제에 3점 주는 경우가 있는데 왜 그러는지 모르겠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2 내신용으로 풀기 좋은..
-
겨울방학 망한 사람? 12
예비 고2 옯 유튜브 드라마 영화 보다가 게임도 공부도 많이 못했다..
-
학교 다닐때는 학교에서 최대한 자습해도 어쩔수없이 애들이랑 떠들고 그러는 시간...
-
현역 고3 문과 3등급만 계속 맞았는데 .. 알텍이랑 뉴런중 고민되고 이거들은다음...
-
생활패턴이완전 이상하게꼬였는데 10시30기상 11시30 부터 독서실 12시까지공부...
-
3월달부터 인강 0
방학 때 알텍 듣고 3월부터 뉴런들어도 되나요? 현역인데 시간 안부족하려나....?
-
작년에도 이 글을 썼는데 올해도 방황하고 있을 모든 수능 친 고3 및 엔수생...
-
하루에 기출 모의고사 1회씩(마더텅 2005~2012 6,9,수능 기출문제 가형)...
엿한번 먹어보라고
아마 시간 없으면 풀지 말라하는거 아닐까요 틀리라 낸거니 틀려도 괜찮다고
솔직히 이건 풀기 많이 어려우니까 현역이들 울지말라고..?
흠 그렇게 따지면 수학 21번도 3점줘야 하는거 아닌가요 ㅋㅋㅋ
1컷을 높이려는 꼼수이기도 하죠. 1컷 50은 변별력에 문제가 있어서 안 되고...그런데 아마도 쉽게 출제하라는 정치적인(?) 압박은 있을거고...그러면 1컷 47점보단 48점이 혹은 44점보다 46점이 그래도 압박을 피할 구실은 되니까요.....이건 삐딱한 정치적 시각을 가진 무명 강사의 근거없는 추측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