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지문 검토가 어려운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692655
놀랍게도,
아직 아래 문제 아직까지 맞힌 사람이 없음.
이 문장 독해 가능? (치킨 기프티콘 퀴즈)
https://orbi.kr/00033666180#c_33691035
개인적으로 물어본
경제학과 대학원생도 맞히지 못했음.
분석철학 전공한 분도 맞히지 못했음.
정확한 답변을 준 분은
보험경제학으로 논문 쓰고 강의하시는
경제학과 교수님뿐이었음.
독해력만으로는 이 문장을
도무지 뚫어낼 수가 없다고 생각했고,
댓글 보니 실제로도 그런 듯.
이 정도면 독해력, 이해력의 문제가 아니라,
글 쓴 사람의 문제일 것 같기도 하고...
덧: 정답 굉장히 허무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월프리패스는 한달동안만 프리패스인거죠?
네~
댓글 달아드렸어요. ㅎ
저 이거 시간이 없어서 댓글까지 읽어보진 못하고 본문만 스르륵 읽고 한 생각인데요
그 지문에서 사적 연금을 어떤 의미로 썼는지는 모르겠지만,
- 가입자는 재산이나 소득에 관계없이 연금을 받게 되기 전까지 동일한 금액을 납입
- 일단 연금을 받기 시작하면, 죽을 때까지 연금을 계속 받음
이라는 조건이라면,
통상 가난한 사람들이 기대수명이 짧다고 가정을 해도 될 거 같고
그러면 부자와 가난한 사람이 같은 나이에 같은 금액을 납입하다가
같은 나이가 되어 연금을 받기 시작한다면
오히려 평균적으로는 부자가 더 많은 돈을 보험사로부터 받아가게 될 것이어서
저 지문에서 얘기하는 역선택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거 같아요
오히려 역선택은 건강보험/의료보험 쪽에서 발생하게 되죠.
건강/의료보험을 필수가 아니라 임의로 가입할 수 있게 되면 + 보험료가 소득이나 재산에 비례하게 되면
혜택을 보는 사람들은 보험료를 적게 내고 혜택은 많이 받는 가난한 사람들이고
부자는 건강/의료보험에 가입하지 않는 게 이익이어서 점점 더 가입하지 않게 될테니까요
삼성화재 링크를 보니 그 글에서 얘기하는 사적연금이라는 게 65세부터 80세까지 15년 동안, 혹은 80세가 못되어 죽으면 잔액을 그냥 heir에게 주는 건가요?
그러면 소득 수준이든 기대수명이든 안정된 노후 생활이 예상되는 사람이든 아니든 간에
어차피 내는 돈이랑 받게 될 돈이 같아서 역선택 우려는 전혀 없음.
은행 정기적금이랑 하나도 다를 게 없는데요 뭐...
누가 계약을 하느냐에 따라 상품의 health가 변동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계약을 하기 전에 보험사가 얼마 이익을 볼지가 실질적으로 정해져 있는 상품이라 (운용수익으로 인한 차이가 있긴 하겠지만)
보험 가입자가 도장 찍는 순간 즉시 가입자로부터 보험사로 돈(정확히는 현재부터 미래까지 정해져있는 모든 cashflow 를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합산한 기대금액)이 이동하는 구조죠.
출제의도상 해당 지문을 이해할 때, 계약자의 사망으로 인한 피상속인 승계까지는 염두에 둘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질병보험이랑 헷갈리는 학생들이 많아서 사례로 넣어둔 것이긴 한데, 약관까지 읽는 분이 계실 거라고는... +_+)b
아래가 제 답변이긴 한데, 설득력 있게 들리실지 잘 모르겠습니다.
경제학자가 수능 국어 지문을 본다면?
https://orbi.kr/00033876602
같은 이유로 감정 다 떼고 통계적인 숫자만 생각하면,
건강보험공단은 암검진을 필수적으로 해주지 않거나 금연 금주 캠페인을 하지 않으면 재정이 개선되죠.
보험료를 적게 내고 보험금은 많이 받아갈 가난하거나 불우한 환경에 있거나 병이 많은 사람들이 더 적은 보험료를 소진하고 빨리 죽게 되니까요.
일본이 파친코 산업을 유지하는 것도 비슷한 논리로 해석할 수도 있죠. 사회에 기여 못할 도박중독자들은 빨리 재산 탕진하고 죽으라는.
이정도면 치킨을 안주겠다는 생각이드는군요..
이미 잘 알려진 기출문제라서... 정확히 가르친 분이 있지 않을까 희망을 걸어보고 있습니다. ㅎㅎ
답이 정말 궁금해지네요.. 아직 시간이 남았으니 고민해보겠습니다
저 게시글에 댓글 달았는데
혹시 정답 아직 공개하신거 아니면 제 댓글 확인해주실 수 있나요?
정답을 방금 공개했으니 확인해주세요~
선생님 제가 쓴답은 맞았나요?!!
곧 공개합니다.